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119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연구진 중증 코로나19 감염 동물모델 세계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10.28
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세종센터와 전북대 의대에서 공동 개발한 중증 코로나19 감염 ‘SH101 햄스터 모델’. 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팀 ... 홍 교수팀은 SH101 햄스터를 감염시키고 임상 분석하는 연구를 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독성’온라인판 9월 14일자에 발표됐다 ... ...
[과기원은 지금] GIST 에코시스켐연구센터 개소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0.28
광주과학기술원(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 에코시스켐 연구센터는 26일 GIST 삼성환경동에서 개소식을 열었다. 센터는 국내 온실가스 3번째 규모 배출원인 ... 뇌 안으로 침투하는 것을 막는 ‘혈액-뇌 장벽’도 통과했다. 연구결과는 이달 7일 국제
학술
지 ‘종합환경과학’에 실렸다 ... ...
[과학게시판] ETRI, 환자 건강 예측하는 '닥터 AI'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0.28
무용매 제조공정으로 합성해 생분해가 가능한 PLA 가소제를 개발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그린 케미스트리’ 10월호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7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연구실 안전 실천, 과학기술 인재 보호’를 주제로 ‘2021 연구실 안전주간’ 행사를 연다고 ... ...
미세플라스틱, 뇌에 쌓여 신경독성 물질로…DGIST 연구
연합뉴스
l
2021.10.27
수 있음을 뜻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7일 환경 분야 국제
학술
지인 '종합환경과학'(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에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 ...
생분해 플라스틱 완전 분해한다…유연성 향상 자연 첨가제 개발
연합뉴스
l
2021.10.27
범용 필름 포장재 분야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
지 '그린 케미스트리'(Green Chemistry) 이달 호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
재미 한국과학자 코로나19 검사 결과 5분 만에 얻는 탄소나노튜브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10.27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팀이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5분 만에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코로나19 진단 센서를 개발했다. MIT 제공. 한국인 공학도가 포 ... 공을 들이지 않고, 신속한 설계와 검사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분석화학' 26일자에 게재됐다 ... ...
바이러스 확산 특성 깬 것 같던 코로나19, 저온 저습 환경 좋아해 독감처럼 계절성 감염병 될 듯
동아사이언스
l
2021.10.27
에어로졸의 크기가 커져 공기 전파가 어려워지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계산과학' 21일자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코로나19가 유행하는 지역마다 기온과 습도가 낮아지면 바이러스 전파가 활발해지고, 기온과 습도가 높아지면 유행이 다소 잦아드는 패턴을 확인했다. ... ...
한국인 남성은 사회적 고립감, 여성은 외로움에 더 취약해
동아사이언스
l
2021.10.27
살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올해 7월 16일 대한신경정신의학회가 발간하는 국제
학술
지 ‘정신의학 연구’에 실렸다. 홍진표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삼성서울병원 제공 ... ...
홍합 접착 단백질로 심근경색 치료제 개발 가능성 열려
연합뉴스
l
2021.10.26
효과적으로 촉진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연구 결과는 바이오소재 분야 최고
학술
지인 '바이오머티리얼스'에 최근 실렸다. 홍합 접착 단백질 소재 기술은 네이처글루텍에 기술 이전을 마쳐 임상시험이 추진되고 있다. 차형준 교수는 "한국의 원천 소재인 홍합접착단백질을 이용해 실제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새는 고추의 매운맛 못느낀다
2021.10.26
위의 아미노산을 쥐의 것으로 바꿔치기하면 캡사이신이 달라붙을 수 있을까. 지난해
학술
지 ‘사이언티픽 리포츠’에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내놓은 연구 결과가 실렸다. 578번째 아미노산인 알라닌(A) 대신 쥐의 해당 위치 아미노산인 글루탐산(E)으로 바꿔주자(A578E) 캡사이신이 잘 달라붙었다. ... ...
이전
676
677
678
679
680
681
682
683
6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