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군고구마 네온사인과학동아 l1996년 01호
- 군고구마 귤 사과를 이용한 무공해 건전지를 만들어 보고 건전지의 작동원리를 알아보자.추운 겨울 거리의 네온사인을 군고구마로 켤 수 있다면 한결 따뜻하고 구수한 분위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군고구마가 건전지가 될 수 있을까. 함께 만들어 보면서 그 비밀을 캐보자. 군고구마를 이용해 ... ...
- 윈도95 VS OS/2 윈도95 '깡통'을 '도사'로 만드는 쉬운 사용법과학동아 l1996년 01호
- PC운영체제의 대표주자인 윈도95와 OS/2. 기능상으로는 OS/2가 훨씬 낫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사용자 확보 면에서는 단연 윈도95가 앞서고 있다.직업상 통신을 많이 사용하는 터라 OS/2 워프는 언젠가 꼭 한번 써보고 싶은 욕심이 있었다. 인터넷과 관련한 각종 통신 기능을 아예 운영체제 차원에서 지 ... ...
- 4. 우주개발의 원천 로켓과학동아 l1995년 12호
- 위성발사체(로켓)의 개발로부터 우주개발은 출발한다. 그러나 우린 위성발사체를 만들 수 없다. 그 이유가 뭔지, 또 우리나라 기술은 어느 수준인지 알아보자.한국 최초의 현대식 로켓은 1958년 국방과학기술연구소에서 개발됐다.1959년7월27일 인천 고잔동 해안에서 발사된 556호가 그 주인공이다. ... ...
- 철학종교-죽음은 소멸이 아니라 소생과학동아 l1995년 12호
- 철학적 종교적 입장에서는 죽음을 단순한 소멸로 보지 않는다. 따라서 본인의 의지가 존중되는 장기이식은 새 생명 탄생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인간의 죽음에 대한 공포나 슬픔의 문제를 생각할 때 하이데거를 위시한 유럽의 실존주의 철학은 많은 것을 생각하 ... ...
- 모험 스포츠의 백미 번지점프과학동아 l1995년 12호
- 고무줄을 몸에 묶고 추락하는 번지점프가 현대인들에게 큰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목숨을 건 '짜릿한 맛' 뒤에는 풀기 힘든 우리 뇌의 비밀이 담겨 있으니….과학으로 풀어보는 레포츠외줄 자일에 몸을 맡기고 무작정 꼭대기로 향하는 암벽등반, 가파른 계곡의 험한 급류를 헤쳐가는 레프팅, ... ...
- 1. 통신방송위성 무궁화과학동아 l1995년 12호
- 세계는 지금 정보 전쟁을 치르고 있다. 냉전시대에 군사위성이 활보했다면 정보시대에는 통신방송위성이 핵심 무기다. 출정식을 치른 무궁화위성이 앞으로 어떻게 우주시대를 헤쳐 나갈지 살펴본다.깜짝 놀랐다. 1995년 8월 5일 오전 7시10분 케이프 캐너베럴 발사장을 떠난 무궁화 1호가 발사된 지 ... ...
- 의학-죽음의 새로운 인식, 뇌사과학동아 l1995년 12호
- 이미 뇌사로 사망한 환자에게 인공호흡기 등을 다는 행위는 여러가지 면에서 불합리하다. 이는 '생명의 연장'이 아니라 단순한 '심폐기능의 연장'일 뿐이다.죽음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누구에게나 다가오는 가장 중대하며 엄숙한 주제다. 죽음은 고래로 사회적 종교적 의식의 주축을 이루었으며, ... ...
- 4 펜티엄프로(P6)발표, 기로에 선 펜티엄 운명과학동아 l1995년 12호
- 11월초 인텔의 승부수 '펜티엄프로'(P6)가 발표되면서 PC시장의 주력 제품인 펜티엄의 향배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펜티엄이 일반 소비자시장에서 486기종을 밀어내고 주요기종으로 등장한 것은 올해 상반기로, 지금으로부터 7개월 전에 불과하다.그러나 시중에서는 펜티엄프로가 출현하면서 "펜티 ... ...
- 5. 한국의 NASA 꿈꾸는 항공우주연구소과학동아 l1995년 12호
- 나라마다 위성개발의 메카가 있다. 미국의 NASA, 프랑스의 CNES, 일본의 NASDA, 그리고 한국에는 항공우주연구소가 있다. 항공우주연구소가 어떤 일을 하는 지 알아보자.1957년 10월4일 인류 역사상 최초의 인공위성이 발사됐다. 지름 58㎝, 무게 83.6㎏인 이 인공위성은 R-7 로켓을 타고 우주궤도에 올라가 ... ...
- 법학-죽는 사람에게도 권리 있다과학동아 l1995년 12호
- 뇌사자는 뇌만 죽은 것이지 심장이나 폐장, 간장 등의 장기가 살아 있는 상태다. 조만간 '죽을 사람'이기는 하지만 아직 '죽은 사람'은 아니다.사람은 누구나 태어났다 죽는다. 출생과 사망은 시작과 끝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 시작과 끝의 정확한 시기를 언제로 보느냐에 관해서는 의견이 일치되지 ... ...
이전6776786796806816826836846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