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광견병 바이러스로 뇌 장벽 뚫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넣기 어렵게 만들죠. 이‘뇌 장벽’을 뚫고 뇌혈관에 약을 넣는 방법이 개발됐어요. 한양
대학
교 응용생명과학부 이상경 교수는 바이러스의 단백질 조각에 약을 붙여 뇌세포에 직접 전달하는데 성공했어요. 뇌염에 걸렸던 쥐는 이 주사를 맞고 병이 나았죠. 연구에 쓰인 바이러스는 광견병 ... ...
넷째 손가락 길면 수학 잘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바스
대학
교의 심리학자들이 일곱 살의 남녀 어린이 75명의 손가락 길이를 재어 영어, 수학 점수와 비교했어요. 조사 결과 약지(넷째) 손가락이 집게(둘째) 손가락보다 더 긴 어린이는 영어보다 수학을 더 잘했대요. 집게 손가락이 더 길거나 비슷한 어린이는 영어를 더 잘했어요. 과학자들은 아기가 ... ...
코 많이 고는 사람 치매 조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심하게 골면 치매에 걸리기 쉬운 것으로 밝혀졌어요. 영국 리즈
대학
교 과학자들이 연구한 결과예요. 코를 심하게 골면 자면서 순간적으로 호흡을 멈추기 때문에 뇌에 산소가 부족해져요. 이 때 뇌세포가 뇌 속에 글루타민산염이라는 물질을 쌓이게 해 치매를 일으키는 거죠. 글루타민산염은 매우 ... ...
원시인은 고구마를 좋아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조상이 고구마를 즐겨 먹었대요.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교의 저스틴 애클 박사팀은 인류의 조상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파란스로푸스의 치아를 조사한 결과 토란과 고구마 같은 구근식물을 즐겨 먹었다는 것을 알아 냈어요.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파란스로푸스는 150만~250만 년 전 남아프리카 ... ...
천문학자의 '청계천 연가'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꽤나 인기가 있었다. 02학번 학부 1학년 여학생 4명이 그를 만나러 천문대까지 몰려들었고
대학
원실 자리배치도에서 그의 위치에 누군가 하트를 그렸는가 하면, 학부생이 함께 쓰는 컴퓨터 배경화면에는 누군가 그의 사진을 깔아놓았다고 한다. 전파천문대에 들어서면 실험실에서 커다란 원통형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30.....“바람이 차요.”부두에 묶인 배들이 좌우로 흔들렸다. 나는 래빗의 중절모를 챙기지 못한 것을 후회했다. 상선과 상선 사이로 몰아치는 바람은 한겨울 계곡을 따라 흐르는 시내처럼, 귓불이 쩡쩡 어는 소리가 들릴 정도였다. 래빗은 시선을 밤바다에 고정한 채 고개만 끄덕였다. 입가에 미소 ... ...
물고기에게 '맞춤형 가옥'을 지어줍니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말했다.수산물을 즉시 냉동시키려면 바다로 가야 함은 당연한 일. 씨엔텍에서는
대학
원을 다닐 때보다 더 자주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 그리고 이때의 경험은 지금 남해수산연구소에서 일하는 데 결정적인 도움이 됐다. 연구소에서 ‘뱃사람’을 필요로 했기 때문이다.“뱃사람들은 배에 여자를 ... ...
똥꼬가 간질간질, 기생충이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그런데 사람도 나에게 감염되면 성격이 바뀐다는 거 아니? 호주 시드니 테크놀로지
대학
교의 감염증연구팀은 사람도 톡소플라즈미 곤디에 감염되면 성격이 바뀐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 재미있는 점은 남자와 여자가 다르게 바뀐대. 남자는 지능지수와 집중력이 낮아지고 법을 어기거나 위험한 ... ...
티라노는 느림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공룡 티라노사우루스가 시속 40㎞ 이상 달리지 못했다는 주장이 나왔어요. 영국 수의과
대학
교의 존 허친슨 박사팀은 티라노사우루스를 컴퓨터 모델로 계산한 결과 몸무게가 6~8톤에 달했다고 말했어요. 뛰는 속도도 빨라야 40㎞라고 해요. 예전에 일부 학자들은 티라노사우루스가 3~4톤이며 시속 60㎞ ... ...
돌격! 동물특공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땅 속에 묻은 지뢰가 아직 많이 남아 있거든. 우리 아프리카 들쥐는 탄자니아 소코인농업
대학
교에서 지뢰를 찾는 훈련을 받고 있어. 지뢰가 있을 만한 곳이 나타나면 우리를 땅 위에 올려 놔. 그럼 우리가 지뢰 냄새를 맡고 그 부분을 발로 긁어서 신호를 보내지. 이 때 사람들이 와서 지뢰를 제거하는 ... ...
이전
677
678
679
680
681
682
683
684
6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