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숨} 어디까지 참아봤니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저산소증으로 위험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
에 참여한 마이크 그로콧 영국 사우샘프턴의대 교수는 “셰르파들이 낮은 산소 농도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원리를 이해하면 중환자실 환자들 중에서 저산소증에 빠지기 쉬운 사람들을 미리 찾아내 적절한 ... ...
[Origin] 모세혈관 따라 10만km ‘건강 게이트키퍼’ 모세혈관 총정리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지름 약 8μm, 전체 길이 약 10만km, 몸속 ‘골목길’로 불리는 이것. 바로 모세혈관이다. 굵은 혈관인 동맥과 정맥이 ‘고속도로’라면 세동 ... 셈이다. 이충근 IBS 혈관
연구
단
연구
원은 “모세혈관이 뼈를 단단하게 유지하는 원리를
연구
해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결정론을 내포한다며 분노했다. 과학사회학자인 김동광 고려대 과학기술학
연구
소
연구
원은 2010년에 발표한 논문 ‘사회생물학의 인식론적 경향, 그리고 그 대중적 차원들’에서 “마치 유전자가 자율적 능력과 기제를 갖춘 복제자인 것처럼 과장했다”며 도킨스를 비판했다. 도킨스는 유전자가 ... ...
[수학뉴스] 생물다양성 위해 내부 경쟁은 필수?!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두 집단이 함께 살 수 있는 경우도 생겼어요. 수학이 생태계를 설명한다니 놀랍죠? 이번
연구
는 네이처 자매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8월 7일자에 실렸습니다 ... ...
Part 2. 빈 방 없는 호텔에서 묵을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무한호텔의 지배인, 다비드 힐베르트는 모든 방이 꽉 찬 호텔에서 아무도 내쫓지 않고 손님 한 명을 추가로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제안했다. 모든 손님이 각자 자신이 묵고 있는 방의 번호에 1을 더한 번호의 방으로 옮긴다. 1번 방에 묵는 손님은 2번 방으로, 2번 방에 묵는 손님은 3번 방으로 옮긴 ... ...
[Focus News] 해수 온도 급상승 한반도 위험주의보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남반구 쪽으로는 평균 62km 이동했다. 즉, 30년간 적도로부터 약 160km 북상한 셈이다. 코신
연구
원은 “일본과 한국이 태풍의 위험지대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홍수 등 2차 피해 대비 해야”우리나라에 ‘슈퍼 태풍’이 닥치면 어떤 조치부터 취해야 할까. 반 소장은 “상황을 신속하게 ... ...
[과학뉴스] ‘똥’으로 계절 변화 확인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많은 우기에는 그 수가 매우 적었다. 소넨부르크 교수는 “하드자 부족의 장내미생물
연구
를 통해 농업을 시작하기 전 수렵채집을 했던 초기 인류의 식습관과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고 말했다. doi:10.1126/science.aan483 ... ...
[과학뉴스] 습관 좌우하는 중간뉴런 첫 확인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중독과 같은 인간의 위험한 습관을 치료하는 데에도 관여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이라이프’ 9월 5일자에 발표됐다. doi:10.7554/eLife.2623 ... ...
[과학뉴스] ‘카시니’의 마지막 비행 음악으로 탄생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캐나다 천문학자들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토성 탐사선 ‘카시니’의 마지막 임무를 기리기 위해 토성의 고리와 주요 위성들의 공진을 음계로 ... 비행 궤적을 손가락 끝으로 따라갈 수 있다. 이 조각은 9월 15일 캐나다 국립시각장애인
연구
소(CNIB)가 주최한 기금 모금 행사에 전시됐다 ... ...
Part 1. 그 男자의 ‘개기름’ 그 女자의 콜라겐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피부 수분과 유분을 측정해 ‘대한화장품학회지’ 2013년 39권 3호에 논문을 발표했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자 피부가 남자에 비해 볼 부위의 피부 수분 함량이 약 1.2배 많다. 김 교수는 “아직 그 이유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면서도 “여성호르몬이 손상된 피부 장벽의 회복 속도를 ... ...
이전
677
678
679
680
681
682
683
684
6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