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5 마이크로마우스와 미로게임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빠져 나오는 일은 별로 힘들지 않다. 그러나 로봇에게는 그렇게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인간
역시 미로안에 있다면 빠져나오기가 결코 쉽지 않을 것이다. 미로의 크기가 매우 협소하기 때문이다. 그 속을 달리는 마이크로마우스의 크기도 작아질 수 밖에 없다. 실제 경기에서도 마이크로 마우스의 ... ...
「한국의 스티브 좁스」 꿈꾸는 젊은 프로그래머들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이렇게 되기까지에는 30년도 채 못걸렸다.컴퓨터가 젊어지고 있다는 의미는 그것이
인간
과 달리 시간이 흐를수록 그 크기가 작아지면서 성능은 오히려 무한대로 커지고 있음을 뜻한다. 또 웬만한 사무실 하나를 온통 채워야 했던 최초의 컴퓨터를 마침내 조그마한 책상위로까지 올려 놓기까지 ... ...
세계 최초로 담배잎에서 인슐린 뽑아낸 홍주봉박사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수율(收率)을 경쟁력 있는 5%선까지 높이는 작업을 계속할 거예요"
인간
의 섬이 식물의 섬으로 이사갔다. 사람의 췌장에서 만들어져야 정상인 섬이라는 어원을 가진 호르몬, 즉 인슐린이 엉뚱하게도 담배의 잎에서 생산된 것이다. 이런 '자리바꿈'은 전세계적으로 전례가 없는 데 우리의 한 ... ...
PART2 다가온 우주레저 시대 첫 우주관광여행은 1999년에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장기여행이 될 것이기에 여행으로서의 가치를 가질 수 있을지 의문이다. 1989년 7월 20일로
인간
의 달착륙 20주년을 맞은 미국의 팬암항공사는 지난 1964년부터 1971년에 이르기까지 모두 10만명의 달여행 희망자의 예약을 받았다. 이들 희망자는 각각 예약번호가 찍힌 카드를 발행받았으며 적게는 18년, ... ...
사냥의 명수 사자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살았다. 그래서 이들 지역에서는 사자가 최고의 맹수로 알려져 왔다. 그러다가 사자는
인간
문명의 북새통에 점차 밀려 오늘날에는 거의가 아프리카 동부와 남부의 넓은 보호구역에 갇혀서 살고 있다. 아시아에는 인도의 '거'(Gir)라는 산림보호구역에 조금 남아있을 뿐이다.왜 이렇게 사자가 멸망의 ... ...
1990년대의 과학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1990년대에는 어떤 종류의 돌파가 멋있을 것인가? 과학자들은
인간
의 게놈, 곧 모든
인간
유전자의 상세한 분석을 하고 있다. 아마도 이런 방법으로 그들은 지금은 아무도 꿈꿀 수 없는 것을 배울 것이다.또한 우리는 뇌의 상세한 작용에 대해 거의 아무 것도 모른다. 이 문제에 대해 참된 통찰을 얻을 ... ...
분해가능한 플라스틱이 개발된다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가능한 플라스틱이 개발되면 지구환경보존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인간
이 만든 제품 중 가장 유용한 것 중의 하나가 플라스틱이다. 어떤 형태든 쉽게 만들 수 있으며 녹슬거나 변색하지 않는다. 쉽게 깨지지도 않으며 썩지도 않는다. 그러나 이처럼 유용한 플라스틱도 한가지 결함 때문에 골치를 ... ...
90년대 우주개발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있어 90년대가 닺는 의미는 크다.
인간
의 행성방문을 위한 정보취득이라는 구체적인 목적을 가지고 태양계탐사가 진행될 것이며 제3세대 우주왕복선이 등장하고 우주정거장건설이 실현될 것이다. 이제까지 우주개발에 관한 한 방관자였던 우리나라도 「93년 과학관측위성 발사」라는 목표를 내걸고 ... ...
PART1 태양계 탐사
인간
의 행성방문을 위한 정밀조사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진전된 화성 북반구조차 평원의 형성기원이 밝혀 지지 않은 상태인데, 하물며 새로이
인간
이 착륙하고자 하는 땅을 찾는데는 더 큰 위험과 어려움이 따른다는 것을 쉽게 예상할 수 있다.유럽은 이번 계획에서 미·소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역할을 하고 있다. 유럽은 화성탐사선의 부품제작에 기여하고 ... ...
뉴로컴퓨터의 베일을 벗긴다(상) 인공지능연구의 돌파구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발견하여, 그것을 처리하는 컴퓨터를 발명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암중모색중에 있는
인간
의 지식과 지각처리 과정의 알고리즘화 혹은 그것의 발견은 기대는 할 수 있지만 장담하기 어려운 일이다.이와 같은 점들이 현재의 인공지능연구의 기술적 한계다. 다행히 남아있는 선택의 길이 있다. ... ...
이전
677
678
679
680
681
682
683
684
6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