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1,11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배아·줄기세포·유전자변형
과학동아
l
200107
생명공학이라는 보검을 들고 인류의 바이오토피아를 찾아 떠나는 대장정이 펼쳐지고 있다. 그런데 과연 생명공학은 휘황찬란한 보물섬으로
우리
를 데려다 줄까. 만능세포인 줄기세포에서 유전자변형 물고기까지 지구의 모든 것을 이용하고 바꾸는 생명공학의 빛과 그림자를 살펴보자. ...
1. 인간배아 이용한 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0107
않은 배아(생배아)를 바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윤리적 문제가 크기 때문에 현재
우리
나라에서 이런 시도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폐기될 운명의 냉동배아에서 어떻게 줄기세포를 얻는 것일까. 우선 영하 1백96℃의 냉동상태에서 37℃로 해동해 착상전 단계까지 배양한다.착상전 배아는 태반이나 태막이 ... ...
자신을 가두는 반복의 굴레 -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과학동아
l
200107
조작적 조건형성에 의해 공포반응이 지속되는 과정이라고 주장했다. 예를 들면 역겨
우리
만치 더러운 공중화장실에 들어갔다가 충격적이고 혐오스러운 경험을 하게 됐다고 치자. 그후로 당연히 공중화장실 사용을 꺼리게 되고, 점차 자극이 일반화되면서 모든 화장실을 꺼리게 되고 어쩔 수 없이 ... ...
사랑과 이별의 하늘강 은하수
과학동아
l
200107
양이 된다고 한다. 저 들판에 피어있는 한송이 꽃도 밤에는 별빛을 받으면서 성장한다.
우리
나라 어린이와 젊은이도 이런 별빛을 온몸으로 맞으며 자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수많은 사람이 방방곡곡 들어선 천문대를 견학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 천문대는 어느 정유회사, 자동차회사, 철강회사를 ... ...
새롭게 밝혀진 피라미드의 신비5
과학동아
l
200107
줄지어 있는 작은 봉
우리
가 수없이 펼쳐졌다”고 묘사했다. 그의 가이드는 이런 봉
우리
를 야르당(yardang)이라고 불렀는데, 투르크어로 야르(yar)는 가파른 언덕이란 뜻이다. 이런 야르당은 이집트 서부사막에서 많이 나타난다. 이곳에서 발견되는 야르당은 선체를 뒤집어 놓은 모습인데, 뱃머리가 ... ...
누구나 주인인 또다른 정보의 바다 넌 인터넷 하니? 난 위키한다!
과학동아
l
200107
보게 되겠지. 그러고는, 링크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해당 제목의 페이지가 생성된다. 그럼
우리
의 K씨는 아까 LatinDance 페이지에서 그 부분의 글을 가져다가 새로 만든 페이지에 옮긴다(윈도우 전문 용어로 복사/붙이기라고도 한다).그리고는 원문 말미에 자신의 의견을 한두줄 간단히 적는다. “남녀가 ... ...
조윤제 암블랙박스 파헤치는 구조생물학자
과학동아
l
200107
암센터에서 박사후과정을 할 때 암과 관련된 기초연구를 하면서 인연을 맺게 됐다.
우리
몸 속에는 여러 종류의 종양억제 단백질이 존재한다. 이 단백질에 이상이 생기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해 암이 발생한다. 이것이 현재까지 알려진 얘기다. 하지만 단백질의 어느 부분에 이상이 생겨서 어떤 ... ...
달콤한 물을 마시다!
과학동아
l
200107
일이다.환경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 요즘, 수질오염이나 수돗물 불소화 등
우리
사회의 민감한 문제에 대해서도 이 책은 찬찬히 살펴볼 만한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4장 물을 극복한 사람과 역사에는 얼음골과 석빙고에서부터 자격루와 측우기 등 전통과학 속의 물과 관련된 이야기를 ... ...
2백60억원짜리 최초 민간우주여행
과학동아
l
200106
뜻인 ‘하라쇼’를 외치며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엄지손가락을 내민 사람, 데니스 티토.
우리
돈으로 약 2백60억원인 2천만달러를 러시아에 지불하고 최초로 우주관광에 나선 억세게 운좋은 사람이다. 하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그가 우주여행을 꿈꾼지 40년만에 이룬 일이기 때문이다. 그의 여행 ... ...
별은 매일 4분씩 일찍 뜬다
과학동아
l
200106
남중하지 않고 오른쪽 그림에서처럼 반드시 서쪽으로 약 1°씩 치우치게 된다.이는 물론
우리
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시간이 별이 아니라 해를 기준으로 정의돼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정오’란 해가 하루 중 가장 높이 솟아 있는 시각을 보편적으로 의미한다.마찬가지로 ‘자정’이란 해가 ... ...
이전
678
679
680
681
682
683
684
685
6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