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같은 사건도 다르게 기억할까?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얼마나 역동적일까. 미국 워싱턴대 심리학과 엘리자베스 로프터스 교수가 2002년에
발표
한 연구결과를 보자. 로프터스 교수는 어린 시절 디즈니랜드에 가본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벅스 버니’가 디즈니랜드에서 어린이의 손을 잡고 서 있는 사진을 보여줬다. 그 뒤 실험참가자에게 어린 ... ...
파일럿이 두려워하는 메가번개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자이언트 제트’가 발견됐다. 대만 국립성공대 과학자들이 2003년 6월 ‘네이처’에
발표
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2002년 7월 22일 밤 연구팀은 대만 남단의 한 건물 꼭대기에 고감도 디지털카메라를 설치한 뒤 거기서 400km 떨어져 있는 남중국해 상공에 피어오른 거대한 뇌운 위쪽 하늘을 촬영했다 ... ...
유전자 상호작용으로 아토피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이전까지 세계 생명과학계는 상호작용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연구는
발표
되자마자 큰 파란을 일으켰다.김 교수에 따르면 두 유전자의 상호작용은 매우 조직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면역반응의 수위를 정확히 조절한다. 몸 안으로 병균이 들어오면 AP-1은 병균을 포위 공격할 수 ... ...
투명인간 가능하려면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과학소설(SF)의 창시자로 불리는 영국의 허버트 웰스가 소설‘투명인간’을
발표
한지 꼭 110년이 되는 해다. 소설에서 그리핀이라는 과학자는 빛의 성질을 연구하다가 몸속 붉은 피와 검은 머리카락의 굴절률을 공기의 굴절률과 똑같이 만드는 실험에 성공해 스스로 투명인간이 된다.투명인간은 ... ...
난류 타고 훨훨 나는 박쥐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느린 비행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고 ‘사이언스데일리’ 온라인판 5월 10일자에
발표
했다.헤든스트롬 박사는 좁은 통로에서 공기의 흐름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며 박쥐의 비행을 관찰했다. 그 결과 박쥐가 날 때는 날개의 뒤쪽에 난류가 생겼다. 박쥐는 새와 달리 위쪽으로 날개를 들어올릴 때 ... ...
우주에서 소포요!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이 기술을 시험할 예정이다. 이 내용은 ‘사이언스 데일리’ 온라인판 5월 14일자에
발표
됐다.260~300km 상공의 우주로 올라간 이 비행체는 물건을 매단 0.5mm 굵기의 줄을 지구방향으로 30km 늘어뜨린다. 물건은 중력의 영향을 받아 앞뒤로 진자운동을 하게 되는데, 목적지의 상공에 비행체가 도달하면 ... ...
언어가 색상 인식에 영향 끼쳐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더 잘 구별한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8일자에
발표
됐다.연구팀은 보스턴 지역에 사는 50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서로 채도가 다른 파란색을 구별하도록 했다. 총 20가지 파란색 가운데 3가지 색을 삼각형 형태로 배열해 하단의 파란색 가운데 상단에 있는 파란색과 ... ...
흙진드기, 다시 사랑해도 될까요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했던 유성생식을 다시 시작했다고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판 4월 16일자에
발표
했다.흙진드기는 크로토니데(Crotoniidae)과를 포함한 대부분의 종이 출아법과 유사한 처녀생식을 하고 있다. 어미가 낳은 알에서 부화한 새끼들은 대부분 암컷이다. 간혹 수컷이 탄생할 때도 있지만 이것들은 ... ...
캐나다인이 미국인보다 가벼운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캐나다의 중력 변화를 측정하는데 성공했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5월 11일자에
발표
됐다.약 2만년 전 북아메리카 대륙은 ‘로렌티드’라는 거대한 빙하로 덮여 있었다. 특히 3km 이상의 두꺼운 빙하가 덮여 있던 캐나다 북서부 허드슨 만 유역은 빙하의 압력 때문에 땅이 구덩이처럼 눌리고 ... ...
'올빼미족' 유전자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생체시계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를 ‘사이언스’ 5월 11일자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쥐를 무작위로 돌연변이시킨 뒤 생활하는 모습을 관찰했다. 정상 쥐는 하루를 23.6시간으로 인식하는데 비해 돌연변이 쥐는 27시간을 하루로 인식했다. 하루를 보통보다 길게 인식하면 ... ...
이전
678
679
680
681
682
683
684
685
6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