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미
manh
mann
MAN
스페셜
"
만
"(으)로 총 6,866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신약개발, 사업화 역량
만
키우면 승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11.01
인력을 운영하는데 자율성이 꼭 주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장종환 센터장의 ‘이것
만
은 꼭!’ △인재가 답. 신약사업을 키우려면 연구기관의 인력운영 자율성 높아져야. △분업체제 강화 필요. 산업화 역량, 기초기술 역량 키우려면 연구기관끼리 협력해야. 장종환 센터장은 - 1973 서울대 화학과 ... ...
떠오르는 해양생명공학…세계적 수준 따라잡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10.17
수 있도록 정부차원에서 최선의 노력을 다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광열 국장의 ‘이것
만
은 꼭!’ △정부 계획대로 R&D 투자가 될 수 있도록 재정 확보 필요 △R&D의 목표는 젊은 과학자의 육성 박광열 국장은 -1989년 경기대 행정학과 학사 -1997년 영국 웨일즈대 해양정책 석사 -1998년 영국 웨일즈대 ... ...
바이오 산업이 지구온난화-급등하는 기름값의 해법
동아사이언스
l
2011.09.27
누가 더 경제성을 더 높일 수 있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양지원 단장의 ‘이것
만
은 꼭!’ △바이오 분야의 핵심은 기초원천기술. 최종 상용화를 위해 기업 참여는 필수 △환경과 경제가 동행할 수 있는 연구분야를 개척해야 양지원 단장은 - 1973년 서울대 화학공학 학사 - 1980년 미국 톨레도대 ... ...
"발전 가능성 높은 바이오화학 분야 적극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02
과학정책을 연구할 수 있는 전문기관이 필요할 때입니다.” 정준기 본부장의 ‘이것
만
은 꼭!’ △시장 규모나 세계적 추세를 보면 바이오화학이 유력하다. △바이오화학에 적극적인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 △이제는 선진국 뒤쫓는 과학정책 벗어나 앞서는 정책 수립해야 한다. 정준기 본부장은 -198 ... ...
한국 바이오 기업이 주목해야할 미국 바이오 분야의 특징들
동아사이언스
l
2011.07.20
수준으로 올리는 게 센터의 목표”라며 “활발한 소통을 위한 정책과 지원 프로그램을
만
들어 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 이 좌담회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의 공동기획에 의해 취재, 보도되고 있습니다 ... ...
“연구자 홀로서기 지원하는 박사후연구원 정책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8
더욱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정책 지원이 있었으면 합니다.” 박상원 회장의 ‘이것
만
은 꼭!’ △독립된 연구자로 홀로 서기 위한 박사후연구원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해외 한인 과학자를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박상원 회장은 - 1996년~2000년 고려대 생명과학부 학사 - 2000년~2002년 ... ...
세계 최대 바이오박람회 키워드는 ‘바이오시밀러’
동아사이언스
l
2011.07.12
평했다. 이어 그는 “지난해 임상 수행 건수로 한국은 세계 2위다. 전 세계에서 신약을
만
들면 임상을 맡기기 위해 한국으로 몰려든다”며 “우수한 인력과 기술, 인프라를 바탕으로 이제 대기업까지 본격 진출하면서 하나의 산업 생태계가 완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차원에서 기초 연구에 보다 과감히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동욱 단장의 ‘이것
만
은 꼭!’ △가능성 있는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수월성 경쟁’이 이뤄져야 한다. △생명과학 분야에 스타 과학자를 키워야 한다. △정부는 장기적 안목으로 기초 연구에 지원해야 한다. 김동욱 단장은 -1989년~199 ... ...
삼성, 글로벌 바이오 전시회에 단독 부스로 참가
동아사이언스
l
2011.06.29
김 대표는 “미국식품의약품안전청(FDA)과 유럽의약품청(EMA)의 까다로운 조건을
만
족시키는 생산능력을 갖도록 공장을 짓고 있다”며 “이후에는 자체 개발한 바이오시밀러와 혁신신약까지 이 공장에서 생산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정혁 생명硏 새 원장의 포부… “연구를 취미생활처럼”
동아사이언스
l
2011.06.21
일. 그것이 정 원장이 말하는 ‘행복한 연구현장’ 이론의 핵심이다. 정혁 원장의 ‘이것
만
은 꼭!’ △기초연구, 인프라 구축, 실용화 연구 분야를 나눈 다양한 평가 방식이 필요하다 △안정된 연구비 지원으로 창의적이고 연속적인 연구기반을 제공해야 한다 △과학자가 연구에 애정을 갖고 즐겁게 ... ...
이전
678
679
680
681
682
683
684
685
6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