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2011 노벨상 세상의 이치를 구하다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있던 우주의 변화를, 화학상은 세상을 이루는 물질의 몰랐던 모습을, 생리의학상은 우리 몸이 스스로 보호하는 원리를 보여줬다. 과학계에서 가장 영예로운 노벨상이 이번에는 자연의 원리를 탐구한다는 과학의 가장 기초적인 임무를 선택한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1 노벨상 ... ...
- Part 1. 노벨 물리학상 - 우주는 점점 빨리 팽창한다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따르지 않는 15개의 암흑사과(암흑에너지)도 함께 있었던 것이다. 2011년 노벨물리학상은 우리가 아는 것은 20개의 사과 중 눈에 보이는 단 하나, 즉 우주의 5%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다시 상기시켜줬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1 노벨상 세상의 이치를 구하다Part 1. 노벨 물리학상 - 우주는 ... ...
- 뇌과학으로 본 버럭순재과학동아 l2011년 11호
- 기억력이 떨어지고 몸이 둔해진다고 말하는 것도 뇌에 노화가 오기 때문이다.우선 뇌는 우리 몸의 다른 부위와 마찬가지로 크기가 줄어든다.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촬영한 노인의 뇌를 보면 젊은이의 뇌에 비해 뇌가 줄어 안쪽에 액체가 차 있는 공간인 뇌실 부분이 현저하게 커져 있고, 뇌 바깥쪽 ... ...
- 소셜엑스레이 안경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다음에 올게요. (빨간색 등이 켜짐, ‘동의하지 않음’음성 신호)지훈: 아니야, 오빠가 우리 예쁜 민정이한테 선물하고 싶어서 그래요.민정: 정말? 오빠, 최고 ... ...
- 우리는 개를 이해하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1년 11호
- 과정을 모았다. 늑대나 까마귀, 침팬지, 미어캣 등 동물들을 집요하게 관찰하는 과정은 우리와 다른 종을 이해하기 위한 사람들의 노력 그 자체다.10월 17일 수암생명공학재단의 황우석 박사가 북아메리카에 사는 야생 포유류 코요테를 개의 난자를 이용해 복제했다고 발표했다. 개와 코요테는 종이 ... ...
- INTRO. 아인슈타인의 종횡무진 시공간 여행기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빠른 입자의 출현 소식을 듣고 이탈리아 그란사소 국립연구소 현장을 찾았다.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다. 4파트에서는 SF작가가 꽁트로 각색한 타임머신의 발견 순간을 소개한다. 아인슈타인과 함께 시공간을 여행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아인슈타인의 종횡무진 시공간 ... ...
- PART 1. 타임머신의 탄생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출판된 웰즈의 소설 ‘타임머신’이 10년 뒤에 아인슈타인의 이론으로 재탄생한 것처럼,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더 많은 상상일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아인슈타인의 종횡무진 시공간 여행기PART 1. 타임머신의 탄생PART 2. 타임머신 터미널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PART 4. SF꽁트 - ... ...
- 스티브 잡스는 어떻게 시대의 아이콘이 되었나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제품명에 빗대어 ‘나는 디스크를 갖는 게 더 좋아(I Prefer Owing Discs)’, ‘멍청이가 우리의 기기에 가격을 매겼다(Idiots Price Our Devices)’, ‘나는 다른 기기가 더 좋다(I Prefer Other Device)’ 등 아이팟을 비웃는 글들이 인터넷을 휩쓸었다.잡스의 가장 최신 작품인 아이패드도 마찬가지였다 ...
- [hot science] 브레이크 없는 사막화 기후 양극화 부른다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양의 물을 필요로 해 수자원 부족 상황에 더 큰 압력을 줄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우리가 사막화를남의 이야기로만 치우쳐버린다면 사막화는 더 이상 손 쓸 수 없는 상태로 빠르게 진행될 것이다. 무엇이든 균형을 잃으면 언제나 정점을 찍은 뒤에야 안정화된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사막화가 ... ...
- “정글 성큼성큼 걷는 거대로봇 만들 겁니다”과학동아 l2011년 11호
- 지금까지 만든 로봇은 다 스타워즈를 따라하는 셈이에요.”홍 교수는 인터뷰 도중 “우리 실험실이 미국의 로봇 연구소 중에서 최고”라고 몇 번씩이나 강조했다. 그의 실험실에 있는 대학원생은 18명, 대학생은 30명이 넘는다. 홍 교수는 “다양한 전공을 공부한 학생들이 한곳에 모여 지식과 ... ...
이전6796806816826836846856866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