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d라이브러리
"
이상
"(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능형 항만물류시스템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연안개발에너지연구부 채장원 박사는 현재 세계 최고 수준 항만의 선적 속도보다 2배
이상
빠른 ‘지능형 항만물류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인공지능 크레인에서 떠다니는 부두까지항만물류시스템의 핵심은 속도다.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네덜란드 로테르담 항과 독일 함부르크 항은 한 ... ...
[물리]유체의 운동 원리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F와 면적 A에 작용하는 압력 P 사이에는 F=PXA와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라) 점성이 없는
이상
유체는 운동 중에도 접선변형력이 항상 0이다. 흐르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어떤 물체도 흐름에 밀려 떠내려가지 않는다. 이는 점성을 무시해 실제와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생각의 편의를 ... ...
[생물]광학이성질체의 양면성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결합하는 작은 분자이다. - 2008학년도 건국대 수시 발췌 1) “거울 나라의 앨리스”는 “
이상
한 나라의 앨리스”의 속편으로 거울 나라로 들어간 앨리스의 이야기다. 우리가 거울 나라로 들어간다면 거울 안 세계에서 몸에 필요한 아미노산을 흡수해 사용할 수 있을까? 제시문을 읽고 논하라. 2) ... ...
우주에서 몸무게 0, 다이어트 고민 끝?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씩 돌게 하는데, 고작 400km 상공에 떠 있는 ISS에 지구의 중력이 미치지 않는다고 하면
이상
하지 않은가.지구 중력은 ISS가 지구 주위를 원운동할 수 있게 하는 힘이다. 지구 중력은 ISS 안에 있는 우주인에게도 똑같이 작용하지만, 우주인은 ISS와 똑같은 속도로 원운동하기 때문에 ISS 안에서 중력이 ... ...
과일 맛 결정하는 ‘황금비’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따라 달라진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과일은 꽃이 핀 뒤 2달이면 세포 수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이때부터는 세포의 부피가 커진다. 그래서 과일을 크게 만들려면 미리 세포 수를 늘려야 한다.경기도농업기술원 박건환 연구사는 “당도도 높고 크기도 큰 과일을 만들려면 꽃이 핀 뒤 꽃의 ... ...
고기 먹고 체하면 능이, 감기엔 표고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있는 것처럼 보인다. 갓의 육질이 두껍고 단단하며 맛 또한 담백하다.가을에 송이가 더
이상
나오지 않을 무렵 침엽수림(특히 잔솔밭)에 무리 지어 자라는 흰굴뚝버섯은 어릴 때 불투명한 흰색이다가 성장하거나 상처가 나면 검게 변한다. 자실체(버섯)가 비교적 크며 조직이 두꺼워 고기처럼 씹는 ... ...
피아노 건반을 사랑한 물리학자 김지수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길로 갔다면 피아노 연주자로 성공했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작곡가가 되지 않는
이상
무언가를 창조하는 삶을 살지는 못할 것이다. 과학자는 세상의 법칙을 발견하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것을 만드는 창조적인 직업이다. 따라서 내 선택에 후회는 없다.2. 주말을 바쳐가면서까지 피아노를 ... ...
경고! 산소가 부족한 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농도가 어떻게 변해 왔는지를 분석했어요. 그 결과 지난 50년 동안 바다의 산소 농도가 15%
이상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지요. 특히 일부 대서양 지역에서는 급격한 변화가 관찰되었는데, 산소가 부족한 지역이 85%까지 늘어났다고 해요. 이처럼 바닷물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산소 농도가 줄어드는 건, ... ...
한국어가 영어 학습에 방해?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모국어보다 나중에 습득하고 그 유창성에도 차이가 있다면 이차언어가 된다. 3개 언어
이상
을 습득하고 있다면 다중언어가 된다.모국어를 배울 때 거의 동시에 외국어를 배우는 경우와 모국어를 완전히 익힌 뒤 외국어를 배울 때는 큰 차이가 있다. 모국어와 동시에 외국어를 배우면 뇌에서 새로 ... ...
매혹적인 미인도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마당의 개 두 마리가 짝짓기하는 광경을 바라보고 있다.그런데 왼쪽 담을 유심히 보면
이상
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담의 앞쪽보다 멀리 있는 뒤쪽이 더 크게 묘사됐다. 이는 역원근법으로 사실과는 명백한 모순이지만 한국화에서는 흔히 사용되는 기법이다. 신윤복이 원근법을 몰랐다고 ... ...
이전
679
680
681
682
683
684
685
686
6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