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심전도 데이타처리를 중심으로 한 의료자동진단과 컴퓨터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발생하는 '변조기'로 입력되어야 한다.변조장치와 '데이타 어댑터'장치는 매우 다
양
하다. 특히 이들은 일반 전화회로망으로도 아날로그 및 디지탈 데이타의 전송이 충분히 가능하도록 한다. 이들 장치는 어떠한 종류의 신호이든지 취할 수 있고 전송을 위한 변조와 복조를 자유로이 수행할 수 있어야 ... ...
PART2 비약적인 기술혁신의 비결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일거에 10배이상으로 확대시켰다. 이로써 일본은 유럽이 60년대에 겪은 고등교육인력을
양
적으로 확대시키는데 따른 제도적 제약을 쉽게 극복할 수 있었다.일본에서는 자체의 기술잠재력을 종종 후지산에 비유한다. 정상에 있는 하나의 완성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거대한 산의 몸체에 해당하는 ... ...
세계의 대사막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손질을 해도 한발이 생기기 쉽다.모래언덕이 움직이고 염류집적(塩類集積)이 생기고 토
양
침식으로 깊은 도랑(溝)이 생긴곳도있다. 사하라 사막에서는 매년1백㎢가 녹화되고 있으나 사막화는 매일 50㎢의 속도로 넓혀지고 있다.이렇게 하여 사막화로 잃어지는 농지는 매년 전세계에서 5만~7만㎢에 ... ...
생체전자공학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렘에 따라 행해지므로 정보처리내용이 복잡해지고
양
이 많아질수록 인간의 부담도 점점 늘어난다. 요즘은 이것이 '소프트웨어의 위기'라고 표현되기도 한다.이에 비해 뇌에서의 정보처리에는 프로그램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뇌에서 정보가 처리되는 교묘한 구조의 ... ...
주사형 터널링 전자현미경(STM) 육안으로 원자를 본다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등의 협력을 얻어STM으로 DNA의 표면을 주사하여 나선구조에 대응하는 일련의 지그재그 모
양
을 관찰 할 수 있었다.우리들은 또 파이29라는 바이러스의 머리의 크기가 400×300×200A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 이 바이러스의 감염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칼라'(바이러스의 머리와 꼬리의 연결부분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회장 신동소 박사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잇점을 신교수는 이렇게 설명했다."중성지의 경우 보통펄프에 '알킬케텐다이머'와
양
성 전분을 첨가해 만들지요. 산성지를 만들 때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 물을 많이 쓰지만, 중성지의 제조공정은 폐쇄회로이기 때문에 물이 절약됩니다. 아울러 에너지도 절약할 수 있고 부식이 방지되기 때문에 약간 ... ...
첨단기술사회의 성격화 대응 정보를 처리하고 통제하는 능력 길러야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할 것이다.이러한 입장에서 볼 때 읽고 쓰고 셈하는 일이 문화인이 지녀야 할 기초소
양
으로 인식되어 있듯이, 새로운 정보와 사회에서는 과학적 능력을 바탕으로 한 폭넓은 적응력을 지니고 있지 않으면 문화인이 될 수 없는 것이다. 다가오고 있는 정보화 사회에서는 한 사람 한 사람이 새로운 ... ...
PART1 DNA의 구조와 복제 생명을 지배하는 이중나선구조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신만이 알 수 있었던 생명의 신비가 DNA연구로 밝혀지고 있다. 이중나선구조의 본질을 알아본다.세계의 인구가 50억인데 비해 인체를 구성하는 세포의 수는 6 ... UAG, UGA의 어떤 '코돈'이든지 만나면 중지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만들어진 단백질로 생물은 다
양
한 생명활동을 영위하는 것이다 ... ...
오존층 파괴 계속 경고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플랑크톤이 오존층파괴의 지표생물이라고 생각했다.가령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양
이 10%증가 했을 경우 생명의 원천인 DNA에의 직결을 피하려고 플랑크톤군(群)은 깊은쪽으로 잠기려 할것인데 이렇게 되면 광합성에 뺄수없는 가시광선이 부족하게 된다. 결국 자외선을 피할수 없는 운명인 ... ...
모두가 울어버린 콘도르의 죽음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독수리라고는 하지만 유순하기 짝이 없다. 먹이는 주로 사냥꾼의 총에 맞아 죽어가는
양
이나 사슴이다. 사납지 않은 대신 눈은 굉장히 좋아서 하루에 거의 2백50㎞나 떠돌면서 먹이가 있는지 살펴본다. 콘도르는 남ㆍ북미에 4종이 있는데 이중 캘리포니아종이 가장 크다.그런데 1백여년전만해도 흔해 ... ...
이전
680
681
682
683
684
685
686
687
6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