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1,60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열대지방 새의 서식지, 기후보다 ‘생물종 경쟁’ 영향 받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24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벤저민 프리먼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교수
연구팀은 열대지방 31개 산악지대에 서식하는 조류 2879종에 대한 440만개의 관찰자료를 조사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사이언스 최신호에 공개됐다. 연구팀은 미국 ... ...
[표지로 읽는 과학]대멸종 후 바다는 생물다양성을 어떻게 회복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7.23
나타났다. 국제자연보전연맹은 생물종의 25%가 오늘날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벤튼
교수
는 “현재 추세가 계속된다면 예상되는 생물 다양성 손실을 회복하는 데 수백만 년이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 ...
[주말N수학]누리호 엔진 개발·날씨 분석에 쓰는 '나비에 스토크스 방정식' 신비 한꺼풀 벗겼다
수학동아
l
2022.07.23
밀레니엄 문제를 푸는 데에 의미가 없다"고 설명했다. 반면 정인지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
는 "장 르네의 약해가 하나가 아님을 증명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 있는 결과"라고 말했다. 유체를 도넛 모양이라고 가정하고 나비에 스토크스 방정식의 약해를 구하자 해의 함수가 그림과 같이 2개로 ... ...
코로나 진화 패턴이 달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22
새로운 변이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있다. 톰 피콕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
교수
는 “알파나 델타 같은 이전 변이 중 하나가 감염이 지속되는 만성 감염을 거친 뒤 진화해 다시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며 “만성 감염에 대한 연구는 바이러스의 변이 방향을 예측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 ...
원자가 내는 강한 빛으로 양자엔진 처음으로 구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22
달했다. 기존 연구에서는 엔진 온도가 최고 1만도, 엔진 효율이 48%에 그쳤다. 안경원
교수
는 “빛으로 동작하는 초방사 양자 엔진을 실험적으로 구현한 첫 사례”라며 “원자물리, 양자정보처리 등 분야에 기여하고 양자 엔진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길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 ...
뇌 '기억 중추' 해마, 어른 되어도 손상 복구 가능할까
연합뉴스
l
2022.07.22
구한다 해도 새로 만들어진 미성숙 뉴런의 존재를 확인하는 건 매우 어렵다. 송
교수
팀은 단핵 RNA 시퀀싱(single-nucleus RNA sequencing)과 AI(인공지능)의 한 유형인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기술로 이 난관을 극복했다. 먼저 단핵 RNA 시퀀싱으로 인간과 생쥐의 해마 뉴런에 대한 개별 유전자 정보를 ... ...
문어처럼 '찰싹'...빨판 원리 접착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22
존재하는 입체 돌기구조에 주목해 문어 빨판의 점착 메커니즘을 최초로 규명했다. 방
교수
는 이 연구를 발전시켜 물 속에서도 떨어지지 않는 고점착 패치를 개발해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사이언스어드밴시스 ... ...
스타의사, 명의 시대 저물까…의료계 ‘진료 가이드라인 표준화’ 움직임
동아사이언스
l
2022.07.22
외에도 환자를 대하는 철학과 자세에 대한 공유가 이뤄지고 있다. 삼성서울병원의 한
교수
는 "진정한 의미의 명의가 되기 위해선 진료능력 뿐 아니라 환자와의 소통능력도 중요하다"며 "진료와 소통 모든 방면에서 의료서비스의 상향평준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 ...
“금세기 중반 지중해 연안서 최악 가뭄 5년 이상 지속”
동아사이언스
l
2022.07.21
일상화 시점이 늦어지거나 지속되는 기간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형준
교수
는 “이번 연구결과는 탄소중립 실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특정 지역에서 기후변화 대응과 함께 기후변화 적응 대책을 적극 준비해나가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 ...
인간의 뇌, 하룻밤 수면 중 100번 넘게 잠시 깬다
연합뉴스
l
2022.07.21
유도하는 각성 시간은 다행히 매우 짧았다. 논문의 공동 제1 저자인 셀리아 키르비 조
교수
는 "밤에 잠자다 잠깐 깬다고 해서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라면서 "짧은 시간의 각성은 기억력과 연관된 수면 단계의 한 부분이라는 게 이번 연구에서 확인됐다"라고 말했다. 수면 중 짧은 각성은 다시 ... ...
이전
681
682
683
684
685
686
687
688
6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