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부
일체
모든것
뉴스
"
모든일
"(으)로 총 7,38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커뮤니케이터 공개 오디션 ‘페임랩 코리아’ 개최
2015.03.12
페임랩 국제대회 참가자가 3분 발표를 하고 있다. - Flickr 제공 한국과학창의재단은 주한영국문화원과 공동으로 ‘2015 페임랩 코리아’ 참가자를 이달 22일까지 모집한다고 12일 밝혔다. 페임랩은 과학기술 분야 종사자들의 대중 소통 경연을 통해 글로벌 과학커뮤니케이터를 발굴하는 행사로 현 ... ...
[초대석] “세계 10大대학의 꿈, 8년 만에 달성 가능한 목표가 됐죠”
2015.03.09
[동아일보] UNIST를 명문대 반열로 끌어올린 조무제 총장 “8년 전 취임사에서 ‘UNIST를 한국의 MIT(미국 매사추세츠공대)로 만들겠다’고 하자 모두가 웃었죠. 사실 저도 선언적인 의미가 강했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정말 가능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한국 대학이 MIT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 ...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
과학동아
l
2015.03.05
istockphoto 제공 잘 익은 사과는 나무에서 땅으로 떨어지고, 달은 매일 밤 떠오른다. 아주 오래전부터 이런 일은 계속해서 일어났다. 누군가 '왜 그럴까'라는 질문을 던졌다면 비웃음만 샀을 거다. 너무 '자연스럽고 당연한'일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 사람의 등장 이후 모든 것이 달라졌다. ● ... ...
밤하늘의 별은 계속 늘어날까요?
2015.03.05
사람들은 밤하늘의 별을 보고 ‘무수히 많다’고 표현하지만 실제로는 별들의 숫자가 어느 정도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미국 연구진이 이런 별들의 숫자를 조절하는 ‘시스템’의 비밀을 밝혀내 ‘네이처’ 4일자에 발표했다.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카블리 천체물리우주연구소 미카엘 맥 ... ...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15.03.04
‘올해 가장 주목할 만한 과학사건’으로 거대강입자가속기(LHC) 재가동이 꼽힌다. 스위스 제네바 근교에 위치한 LHC는 역사상 최대의 가속기이자, 인간이 만든 가장 큰 기계다. 2013년 2월부터 2년간 업그레이드를 위해 잠시 잠들었던 LHC가 올해 3월 눈을 뜬다. 힉스 입자를 발견해 표준모형의 마지막 ... ...
사우디아라비아 수출하는 원자로 ‘스마트’
2015.03.04
이번에 사우디아라비아에 수출하는 ‘스마트 원자로(SMART·System-integrated Modular Advanced ReacTor)’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 1997년 개발을 시작해 2012년 완성한 100% 토종 원자로다. 개발비만 3447억 원이 투입됐다. 스마트 원자로는 높이 5.5m로 건물 2층 높이 규모다. 특징은 원자로가 일체형이라는 점이 ... ...
[출동! 명예기자] 민자연사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03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쉿! 조용히 들어 보세요~! 어디서 반짝거리는 별 가루가 떨어지는 소리가 나지 않나요? 어두컴컴한 공간 안쪽으로 눈을 돌리니 눈부신 광채가 보여요. 대체 무엇이 있는 것일까요? 현장취재에 나간 기자들이 깜짝 놀란 사연, 지금부터 공개합니다~! ● 이곳은 광물 수집가 ... ...
스테로이드의 유혹
과학동아
l
2015.03.01
연합뉴스 제공 마린보이 박태환이 도핑테스트 양성반응이 나왔다. 박태환이 복용한 것으로 알려진 네비도라는 약물은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주성분이다(박태환은 약물을 복용할 의도가 없었으며 실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도대체 이 호르몬이 뭐기에 온 국민의 영웅이었던 마린보이를 ... ...
컴퓨터가 0과 1만 알아듣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15.03.01
영국의 수학자 앨런 튜링. 그는 괴델 수 대응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튜링 기계가 모든 정보를 이진법 언어로 인식하도록 만들었다. - (주)동아사이언스, 일러스트 이틈 제공 “오늘 뭐해? 별 일 없으면 만날까?” 우리가 보기에는 글자지만, 스마트폰은 0과 1의 조합으로 인식한다. 컴퓨터 ... ...
“우주의 지름길 웜홀, 언젠가 인류가 만들 날 올겁니다”
동아일보
l
2015.02.25
[동아일보] 영화 ‘인터스텔라’ 참여 우주과학자 킵 손 교수 이메일 인터뷰 《 빛이 블랙홀 주변을 지날 때 구부러지는 ‘중력렌즈 효과’를 보면 입이 떡 벌어진다. 국내에서 1000만 명 넘는 관객을 모은 영화 ‘인터스텔라’ 속의 우주는 진짜처럼 보인다. 탄탄한 이론물리학을 토대로 제 ... ...
이전
681
682
683
684
685
686
687
688
6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