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메타게놈이 가져온 DNA 연구 혁명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Archaea)에서도 발견되는데, 이를 박테리오로돕신(bacteriorhodopsin)이라 한다. 인간과 달리
눈
이 있을 리 없는 고세균에서 박테리오로돕신은 사람과 달리 빛을 받으면 모양이 변하면서 양성자(H+)를 세포 밖으로 퍼내는 펌프 역할을 한다. 고세균은 이때 생긴 세포 내부와 외부의 양성자 농도차를 이용해 ... ...
1 종말 위기 닥친 인류 문명의 요람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했다.‘정의를 나라 안에 빛내기 위해서’로 시작되는 전문과 ‘이에는 이,
눈
에는
눈
’이라는 복수의 내용을 담고 있는 함무라비 법전(루브르 박물관 소장)을 편찬한 함무라비 대왕(기원전 1792-1750 재위). 창세기에 ‘신에 대한 모욕’ ‘인간 허영의 상징’으로 그려져 있는 바벨탑과 세계 7대 ... ...
제11회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 학암포의 저녁 무렵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새롭게 발견된 이케야-장혜성이 구상성단 M13과 함께 한 모습을 담은 염범석씨의 작품도
눈
에 띄었다.한편 모든 당선작은 한국천문연구원(www.kao.re.kr)과 동아사이언스(www. dongaScience.com) 홈페이지에 함께 공개되고, 시상식은 4월 중에 대전 천문연구원에서 열릴 예정이다 ... ...
2 노벨상으로 알아보는 이중나선 그 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중심으로 세포유전학이 발달하기 시작했다.1910년 미국의 유전학자 토머스 모건은 흰색
눈
을 가진 초파리 돌연변이를 연구해 염색체가 유전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하지만 1924년 염색체가 단백질과 핵산(DNA와 RNA)이란 두 물질로 이뤄졌음이 밝혀지면서 유전연구는 다시 딜레마에 빠지기 ... ...
5 분자생물학 만능시대 극복하는 통합생물학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발생한다. 심지어 사람의 pax6 유전자를 거미의 배아에 삽입해도 그 배아는 정상적인 거미
눈
을 발생시킬 것이다.도대체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이는 pax6와 eyeless 유전자가 배아 발생의 초기 단계에서 미분화된 세포의 운명을 조절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pax6 유전자를 발견하는데 큰 ... ...
물리학의
눈
으로 생명을 바라보는 과학자 장회익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어려웠을 것이라고 회상했다. 장 교수는 물리학으로 생명에 처음
눈
뜬 것이다.“생명에
눈
뜬 이후에는 어떻게 그 분야에 대한 관심을 키워오셨습니까?”“박사학위를 받은 후 생명을 연구해보겠다고 맘을 먹었습니다. 당시에는 물리학자가 생물학으로 전향하던 사람이 꽤 있었던 때라…. DNA를 ... ...
박테리아가 말하는 익사체의 비밀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수도 있다).체온 하강이나 시체 경직, 시반 등 초기 시체현상이 일어나고 나면, 시신이
눈
에 띄게 부풀어오르는 현상이 벌어진다. 생명활동이 정지되면서 개체가 갖고 있던 방어기전도 동시에 소멸돼 대장 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던 미생물과 외부세균이 증식하는 이른바 ‘부패 현상’이 시작된다. ... ...
컬럼비아호 잔해 2만개 조각맞추기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또는 플로리겐(florigen)이라고도 한다 개화에 적당한 일장(日長) 처리를 한 식 물에는 꽃
눈
분화가 일어나는데, 일장처리에 감응하는 부위는 잎이므로 잎으로부터 줄기 끝에 있는 싹으로 어떤 자극인자(刺戟因子)가 이행하는 것으로 생각된다고(高)에너지 입자를 이용할 목적으로 제작된 가속기 ... ...
우주 연못에서 뛰쳐나온 올챙이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점지해준 금와처럼 새로운 생명을 창조하는 현장이기도 한 것이다. 해부루의 말이
눈
물을 흘린 이유도 금개구리로 변신할 올챙이의 아픔을 알았기 때문은 아닐까.이제 올챙이의‘배경화면’을 살펴보자. 올챙이 뒤로는 무려 6천여개에 달하는 은하들이 등장한다. 마치 작은 올챙이가 꼬물거리는 ... ...
진달래는 왜 초봄에 피어날까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광수용체, 적색광 수용체(피토크롬)가 존재한다. 과장해서 말하자면 식물은 세 종류의
눈
이 있는 셈이다. 이 가운데 광주기 인식에 주로 사용되는 광수용체가 바로 피토크롬이다. 피토크롬도 인간의 광수용체인 로돕신처럼 단백질에 발색단이 결합된 형태의 광수용체다.피토크롬이 빛을 받으면 ... ...
이전
682
683
684
685
686
687
688
689
6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