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양
해양
망망대해
바다
원
원양
넓은 바다
d라이브러리
"
대해
"(으)로 총 8,18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 수소폭탄보다 강력한 거대한 에너지 덩어리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개조한 WC-130이라는 태풍관측비행기를 이용하여 직접 태풍으로 뛰어들어 한개의 태풍에
대해
15회 이상 관측하고 있다. 위험이 따르는 일이지만 태풍의 발달과 쇠약 상태를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는 관측 방법이다.태풍은 저기압의 일종이므로 북반구에서는 중심을 향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불어 ... ...
KIST 자성합금 연구실장 김희중 박사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거론할 때마다 등장하는 단어가 첨단(尖端)이란 말이다. 국어사전에서는 이 단어에
대해
'물건의 뾰족한 끝'이란 설명과 함께 '시대의 흐름이나 유행 따위의 맨 앞장'이라 설명하고 있다. 물론 사용되는 용례를 따지자면 분명 다른 말이긴 하지만, 어떻든 앞과 끝이란 이중의 뜻이 한 단어에 포함된 ... ...
윈도우의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도스 이후의 운영체제로 자리잡고 있는 윈도우에 대한 관심이 높다. 멀티 태스킹이 가능한 그래픽 환경, 철저한 사용자 편의 등은 윈도우만이 가진 강점이다. 더 ... 거리까지 같지는 않다).다음호부터는 윈도우의 깊숙한 내부세계와 효과적인 사용법에
대해
본격적으로 알아보도록 한다 ... ...
3. 혈액형따라 성격·질병 다른가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하여 질병을 일으키기도 한다.자기를 가지고 있는 혈액형(항원)에
대해
비정상적으로 이를 파괴하는 항체를 자신이 만듦으로써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이 생기기도 한다. 자신의 적혈구를 파괴하여 빈혈증세를 초래하는 질병이다.정상인에서는 자가항체가 생기지 않는 이유는 ... ...
핵융합에너지 분출하는 변화무쌍한 태양표면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매우 중요하다.그래서 이번 달에는 태양을 관측하기 위해서 먼저 태양의 성질과 정체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이론적인 배경이 없는 관측은 무의미하다. 지구의 33만배나 무거워태양은 지름이 약 1백40만km의 뜨겁고 커다란 기체덩어리의 공이다. 주로 수소기체로 구성되어 있는 하나의 커다란 ... ...
침몰 유조선 피해 줄이는 유압형 닻줄장치 개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배는 횡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지만 닻을 내리면 배 머리는 바닷물의 흐름에
대해
좌우로 진동한다. 리지웨이가 행한 컴퓨터시뮬레이션에서 이 새로운 닻줄장치는 우수한 능력을 발취했다. 이 새로운 닻줄장치를 유조선에 설치하려면 40만 달러를 들여야 한다. "그러나 한번 유조선이 침몰했을 ... ...
치타, 빙하기 멸종위기서 살아남았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살아남았고, 그 이후로 유전자 변이를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들의 주장에
대해
다른 과학자들은 이같은 가정이 지나치게 단순화된 것만은 사실이지만 작은 지역에 살고 있는 6-7종의 동물들에게는 있을 수 있는 일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한편 지상에서 가장 빠른 동물인 치타(시속 1백10km ... ...
산업 디자인의 세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과학을 결합시키는 매개자인 산업디자이너에
대해
알아보면 산업디자인의 세계에
대해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산업디자이너는 소비자들의 진정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제품의 아이디어를 창출하여 새로운 생활양식의 형성에 기여할 뿐 아니라, 조형적으로 아름다운 제품을 ... ...
생물종 보존에 냉동저장법 제안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액체질소를 이용해 냉동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 나선 것. 생물종의 수나 절멸상태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 있다하더라도 절멸의 위기에 처한 지역에서는 반드시 표본을 보존해야 한다는 것이 벤포드의 주장이다. 작은 식물이나 곤충은 생물체 그대로, 기타 동물이나 나무는 그 배(胚)나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사실을 밝혀낸 바 있다.그러나 이 부부는 막상 매스컴에 보도된 이들의 연구결과에
대해
뒤에 상당 부분이 왜곡돼 있다고 밝혔다. 즉 이는 아인슈타인의 두뇌조각과 일반인 11명의 두뇌를 비교해본 결과에 불과하므로 '73%'라는 수치는 정확한 것이 될 수 없다는 설명이다. 이 연구가 확실한 것이 되기 ... ...
이전
684
685
686
687
688
689
690
691
6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