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JOB터뷰]유쾌한 지구 생각 십년후연구소 조윤석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거예요. 덜 더우니까 에어컨도 덜 틀고, 화석 연료도 적게 사용해 지구온난화를 막을
수
있죠.이 아이디어는 미국 물리학자 아서 로젠펠트가 냈어요. 1973년, 로젠펠트가 주유소에 갔는데 줄이 엄청 길었어요. 기다리면서 보니 모든 차가 시동을 켜고 있더래요. 로젠펠트는 에너지를 아껴야겠다는 ... ...
[식물 속 동물 찾기] 개구리가"찜"했다? 개구리자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개구리가 식물에 앉아 쉬는 모습을 본 적 있나요? 그 식물은 정말 ‘개구리자리’일지도 몰라요. 4월이면 노란 꽃을 피우는 개구리자리는 개구리가 사는 곳에 주로 나타 ... 개구리자리는 기름 형태의 ‘프로토아네모닌’이라는 성분이 있어 피부에 문지르면 염증이 생길
수
있답니다. ... ...
[과학뉴스]입자 로봇 10만 대, 뭉쳐야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다니엘라 러스 교
수
는 “입자 로봇은 혼자보단 모였을 때 다양한 일을 할
수
있다”며 “앞으로 입자 로봇의 크기를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줄일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포토뉴스] 바다 생태계 균형
수
학이 책임진다!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통제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그러나 생태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노력에 이러한
수
학적인 힘이 보태진다면 조금이라도 더 지속 가능한 균형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7월 4일자에 발표됐습니다. ... ...
[
수
학뉴스]
수
학으로 밝힌 신약 개발의 걸림돌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있다고 주장했습니다.김 교
수
는 “이번 성과를 통해 국내에서는 아직 부족한 의약학과
수
학의 교류가 활발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분자 시스템 생물학’ 7월 8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습니다. ... ...
선조의 기록에서 찾은 별 이야기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남긴 기록이 있으면 별의 과거를 알
수
있으니 이 별이 어떻게 탄생했고 진화했는지를 알
수
있던 겁니다. 손님별인 객성이 나타났다는 사실은 새로운 별의 탄생을 암시합니다. 여기에 별이 폭발한 시기와 위치도 남겨놨으니 이에 국제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별이 움직인 방향과 속도를 ... ...
휴양지파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밖의 구별이 없다는 독특한 성질이 있지요. 아마도 이 띠를 이용해 다양한 물건을 만들
수
있을 겁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를 뫼비우스의 띠 모양으로 만들면 양면을 다 이용하기 때문에 단면을 이용하는 기존 벨트보다 마모가 덜 될 거예요 ... ...
[맛있는
수
학] 피보나치도 울고 갈 파인애플 볶음밥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식물들이 아주 정확한 규칙을 지키며 자라고 있었다니 놀랍지 않나요? 이런 환상적인
수
학을 품은 파인애플로 만든 볶음밥도 여름 휴가처럼 환상적이었으면 좋겠는데, 여러분은 맛있게 만드셨나요? 편집자주요리 실력이 어린 아이에 영원히 머물러서 ‘피터팍(피터팬+Park)’의 별명을 얻은 박 ... ...
[오일러 프로젝트] 오각형 마방진을 풀어라!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학생들과
수
학 이야기를 나누던 오일러 앞에 맞
수
가 나타났다. 바로 조선의
수
학자 최석정! 누가 진정한 마방진의 고
수
인지 가리기 위한 대결을 하러 왔단다. 뜬금없이 펼쳐지는 ... 어떻게 답을 찾았는지, 다음 장에서 배워보자. ▲ PDF파일에서 고화질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과학뉴스] 남쪽으로 날아가던 제왕나비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마르쿠스 크론포스트 미국 시카고대 생태및진화학부 교
수
팀은 실내에서 자란 제왕나비는 남쪽으로 이주하는 야생 제왕나비의 습성을 잃어버 ... 잃어버린 제왕나비가 겨울을 날
수
있는 따뜻한 서식지로 이동하지 못하면서 개체
수
는 더욱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73/pnas.190469011 ... ...
이전
684
685
686
687
688
689
690
691
6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