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은 과거에 없던 현대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한국사람 3명 중 1명이 걸릴
정도
로 흔한 병이다. 그런데 이 질병이 과거에는 없었던, 현대에 생긴 병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영국 맨체스터대의 로잘리에 데이비드 교수팀은 최대 3000년 전의 미라 수백 구에서 세포 조직을 채집하고 특수 처리해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연구진은 과거에는 외과수술이 ... ...
플라즈모닉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표면 플라즈몬 현상이 알려진 것은 오래됐지만 이런 현상을 이용하게 된 것은 15년
정도
밖에 되지 않았다.2. 어디에 사용되나요?플라즈몬 파는 기존 광학의 회절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이다. 금속 표면 전자의 도움을 받아 빛이 통과하지 못했던 더 작은 통로까지 지나갈 수 있다. 이러한 ... ...
[지구과학] 지자기 탐사의 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것이다. 판구조론에 의한 대륙 이동은 신생대까지 이뤄졌으므로 최근 400년 안에는 이
정도
규모의 대륙 이동이 일어났다고 볼 수 없다. 즉 지구 내부에서 자극이 움직였다고 생각할 수 있다. 대부분 고체로 이뤄져 있는 지구 내부에서 고체 상태의 막대자석은 고정된 자극을 만들게 되므로 지구의 각 ... ...
흰개미도 깜짝 놀란 에코 빌딩 CH2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데이비프 프라이어라고 해요. 이런친환경 빌딩은 지을 때 일반적인 빌딩보다 돈이30%
정도
더 들어요. 하지만 건물을 유지하는데 드는 돈은 훨씬 적기 때문에 경제적이랍니다. 옥상의 풍력 발전은 실패?빌딩 속 뜨거운 공기는 빌딩 옥상의 노란 터빈을 통해 빠져 나가게 돼. 처음에 빌딩을 설계할 ... ...
바르바리 해적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않으면 이 친구가 위험하다.”남자가 허풍에게 칼을 들이댄다.“도형아, 너만 믿는다. 너
정도
실력이면 금세 풀 수 있을거야. 도형아~, 도형아. 꼭 풀어야 한다.”도형은 어찌 된 영문인지 알 수 없었지만 일단 퍼즐을 풀어 본다.“1부터 9까지의 숫자 열쇠를 상자에 모두 넣을 수는 없을 것 같고, 이 ... ...
필즈상 수상자가 노벨 수학상도 탄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1900년 제2회 수학자대회에서 23개의 문제를 제시하면서 20세기 수학의 방향이 어느
정도
잡혔기 때문에 노벨 수학상이 있었다고 해도 수학 연구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이광연 교수도 “노벨 수학상이 더 우수한 학생을 수학 연구에 참여시켰을지 모르지만 지금과 큰 차이는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지구의 인종 차이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
로 커질 것이다. 만약 서로 아이를 낳을 수 없을
정도
로 차이가 벌어진다면 두 집단을 인류라는 한 종으로 인정할 수 있을까.기술적인 문제 외에도 고려해야 할 게 많다. 그 중 하나가 토착생물이다. 인류가 이주하기에 적당한 행성을 발견했는데 그곳에 ... ...
‘빛 좋은 개살구’가 보약이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품종을 얻을 수 있답니다. 안타깝게도 국내에서 개발한 ‘진홍’은 속이 불그스름한
정도
예요. 스위스 과학자들이 개량한 ‘스위트라인’이나 지난 7월 영국 과학자들이 개량한 ‘레드러브’는 껍질만큼이나 속이 새빨갛답니다. 색이 붉으면 붉을수록 항산화물질이 풍부하다는 의미에요. 그만큼 ... ...
제주도 닮은 에트나 산 출생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주변의 ‘오름’과 같은 기생화산이 260개가 넘는다. 한라산에 있는 오름은 360여 개
정도
다.보통 화산은 지각 판의 경계에 생긴다. 지각 판의 경계에서는 판들이 서로 멀어지거나(발산형 경계), 하나의 판이 다른 판 아래로 미끄러져 들어가는(수렴형 경계) 현상이 일어난다. 하지만 에트나 산은 지각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DNA 가닥이 달라붙어 신호를 낸다. 이런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 미뢰 세포의 15%
정도
에서 쓴맛 수용체가 발현했고, 예상대로 이런 세포에서는 여러 쓴맛 수용체 유전자가 동시에 발현했다.연구자들은 이 발견을 생명과학 분야의 권위있는 저널인 ‘셀’에 두 편의 논문으로 나눠 실었다. 10쪽 ... ...
이전
684
685
686
687
688
689
690
691
6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