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d라이브러리
"
이상
"(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에이~, 요! 식물도 힙합을 즐긴다고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안쪽 잎의 세포에 물이 들어가면 세포가 부풀어 오르면서 잎이 벌어지게 되죠. 더
이상
벌릴 수 없는 상태까지 입을 벌려 놓았다가 벌레가 와서 잎을 건드리면 세포에서물이 빠져나가게 돼요. 그러면 잎은 원래의 닫혀 있는 모습으로 돌아가죠. 미모사도 이와 비슷한 원리로 움직인답니다.” 사건 ... ...
같은 살모사, 사는 곳 따라 독성분 달라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중앙아메리카살모사를 잡은 지역은 큰 산으로 가로막혀 있어 살모사들끼리 최소 500만 년
이상
서로 왕래가 없던 곳이다. 흥미롭게도 카리브해 연안의 뱀은 치사율이 태평양 연안의 뱀보다 6배나 높아 중앙아메리카살모사는 사는 지역에 따라 독의 화학적 성분이 다를 것이라고 추측해왔다.연구팀은 ... ...
안구건조증 막는 콘택트렌즈 나온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사용자는 더
이상
안구건조증으로 눈이 뻑뻑한 증상을 호소하거나 단백질이 쌓여 렌즈가 뿌옇게 되는 불편함을 겪지 않아도 된다. 캐나다 맥마스터대 히스 세라던 교수팀은 체내에서 합성되는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이라는 물질로 이런 현상을 모두 해결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 ...
INTRO 지구온난화, '북극 전쟁'의 방아쇠를 당기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진행 중이다. 전문가들은 현재 ‘냉동보존시장’이 세계적으로 10억 달러(약 1조 원)
이상
일 것으로 추정한다.그동안 북극권 국가들은 이런 ‘보물 상자’를 앞마당에 두고서도 추위와 두꺼운 얼음 때문에 쉽게 다가가지 못했다. 이들에게 굳게 닫혀 있던 ‘보물 상자’의 열쇠를 쥐어 준 것은 다름 ... ...
2. 두꺼운 얼음 밑에서 지하자원 캐낸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혹한 탓에 생산단가가 높았기 때문이다. 북극해의 석유채굴 단가는 멕시코만에 비해 5배
이상
높다.하지만 최근 지구온난화가 예상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보물창고’에 접근이 훨씬 쉬워졌다. 우드맥킨지는 지금 같은 속도로 지구온난화가 진행될 경우 금세기 말 북극해의 항해 가능 ... ...
지구온난화와 제트기류의 합작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북태평양고기압지역이 아열대역이다. 하지만 월평균 기온이 10℃를 넘는 달이 8개월
이상
인 영역을 아열대로 정의한 분류법에 따르면 우리나라 남해안의 많은 지역이 이미 아열대화되고 있다. 기온만 고려해 아열대화를 정의한 것은 지구온난화 경향과 비슷한 기후변화의 개념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 ...
신세대 심리코드 우리 결혼했어요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길바닥 인생을 살면서도 구걸을 한 번도 하지 않았는데, 거절당하면 절망감 때문에 더
이상
살 수 없을 것 같았기 때문이라고 고백했다. 이렇듯 인간은 누구나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심리칼럼니스트 이남석 씨는 “솔비는 이미 앤디에게 호감을 모두 표현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솔비와 엔디 ... ...
하늘이 내려준 돈줄기 빗물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지하에 있는 빗물저장탱크 3개는 빗물을 저장해 홍수 유예 효과를 낸다. 특히 최근
이상
강우가 늘어나 언제 얼마나 많은 양의 비가 내릴지 예측하기 힘들다. 이때 빗물저장시설이 위력을 발휘한다. 하수도나 하천을 일부러 만들지 않아도 갑작스런 대형 강우의 충격을 줄여준다.둘째, 에너지 절약이 ... ...
바닷물 온도로 태풍 강도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중심부 최대 풍속에 따라 3등급은 초속 49~58m이고 4등급은 초속 59~69m, 5등급은 초속 70m
이상
이다(미국 기준). NOAA의 자료에 따르면 대서양에도 앞으로 최소 15년 동안 강한 허리케인이 많이 발생할 전망이다.한편 연구단은 태풍이 지날 때 오키나와 남측 바다 층의 수온 변화도 조사했다. 관측 결과 ... ...
전자기기 열 잡는 소방수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발생하는 열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손톱만한 크기의 반도체칩에 트랜지스터를 600억 개
이상
넣기 때문.칩 1개에서 발생하는 열은 현재 100W/cm2를 넘었다. 이정도면 우주선이 지구 대기권으로 진입할 때 마찰로 받는 열과 맞먹는다. 트랜지스터를 계속 집적시키면 칩에서 발생하는 열이 1000W/cm2를 넘을 ... ...
이전
685
686
687
688
689
690
691
692
6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