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80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전문가 양창덕 UNIST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1.10.06
시험에서 초기 성능의 87% 이상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해 9월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게재됐다. 양 교수는 “이번 연구는 차세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안정성과 효율의 문제를 동시해 해결한 핵심소재를 독자적으로 개발한 데 의의가 있다”며 “한국의 ... ...
"혈압 잘 안 떨어질 땐 혈압약 추가가 유리"
연합뉴스
l
2021.10.06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내과학회
학술
지 '내과학 회보'(Annals of Internal Medicine) 최신호에 발표됐다. ... ...
"'가늘고 길게' 말고 '굵고 길게'" 무병장수 유전자 찾았다
연합뉴스
l
2021.10.06
것을 발견했다"며 "노화 연구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지난달 24일 자에 실렸다. ... ...
5년간 우울증 앓던 환자가 뇌 전기자극 치료로 웃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06
연구팀 5년간 우울증을 앓았던 환자를 뇌 전기 자극을 통해 치료하는 데 성공하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메디신’에 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스칸고스 교수는 “정신의학 연구 분야에서 이같은 뇌 전기 자극을 통해 개인을 치료한 사례는 없었다”며 “이번 치료는 정신 질환의 원인을 제공하는 ... ...
KAIST,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동아사이언스
l
2021.10.06
이승재 KAIST 생명과학과 노화분자유전학실험실 교수팀이 특정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인위적으로 만들어 건강하게 오래 살게 하는 방법을 찾았다. 게 ...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지난달 24일 실렸다 ... ...
[과기원은 지금]KAIST, 소금을 이용해 자가조립 나노캡슐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0.06
양자막대가 균일하게 배열된 하이브리드 전선을 성공적으로 제조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케미스트리 오브 머티리얼스’ 9월 27일자에 게재됐다 ... ...
[의학게시판] 대한간학회 20일 간의 날 맞아 공개강좌와 질의응답 이벤트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0.05
만들기 위한
학술
연구회(KASS·Korean Society of Smoke free society)를 창립하고 이를 기념하는
학술
연구 모임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온라인으로 진행됐으며 윤 명예교수와 김대현 계명대 교수를 포함해 가정의학과 교수 및 각 지역의 중·고등학교 교사, 최안나 세종대 행정학과 교수 ... ...
"해왕성 너머 어둠 속에 지구나 화성급 행성 숨어있을 수도"
연합뉴스
l
2021.10.05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태양계 형성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분석한 리뷰논문을
학술
지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애뉴얼 리뷰'(Annual Review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태양계 형성 및 진화 모델은 현재의 행성 배열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가스 행성이 있는 ... ...
"mRNA 백신, 1차 접종보다 2차 접종때 심근염 위험 7배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1.10.05
카이저 퍼머넌트 로스엔젤레스 의료센터 심장학부 교수팀은 이같은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미국의학회지(JAMA) 내과’에 4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센터 내 의료시스템에 기록된 환자 중 코로나19 백신 접종자 239만 2924명과 미접종자 157만 7741명의 의료기록을 분석했다. 이들 접종자들은 지난해 1 ... ...
"교대근무자들, 야간근무 후엔 짧게 주간근무 후엔 길게 자야"
동아사이언스
l
2021.10.05
패턴을 웨어러블 장치로 측정하고 이를 수리모델로 분석한 연구결과를 지난달 13일 국제
학술
지 '아이사이언스'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 노동 인구의 약 20%가 교대근무를 하며 과도한 주간 졸림증으로 업무 효율이 떨어지고 부상 위험이 큰 것으로 알려져있다. 지금까지 주간 졸림증에 ... ...
이전
685
686
687
688
689
690
691
692
6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