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본
교재
교정
법률
법학통론
textbook
d라이브러리
"
교과서
"(으)로 총 859건 검색되었습니다.
삼지창 모양의 공룡발자국 첫 발견
과학동아
l
199611
이때의 공룡화석의 발견은 한반도가 공룡의 집단 서식지였음을 증명하는 계기가 됐다.
교과서
에서만 보던 삼지창 모양의 공룡 발자국을 발견했던 그날, 필자는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뜬눈으로 밤을 지샜다 ... ...
수학 마무리 특강
과학동아
l
199610
오는 11월 13일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지는 날이다. 4백점 중 80점에 해당하는 수학은 당연 부담이 큰 과목이다. 어떻게 하면 점수를 올릴 수 있을까. 수학공부원 ... 하나 없는 듯 하다. 어디에 처박혀 있는지도 모를
교과서
를 꺼내주기 바란다. 고교수학의 진리는
교과서
속에 담겨있다 ... ...
한라산 나비
과학동아
l
199609
“이번에 처음으로 포충망을 잡았다” 면서 부끄러움을 표시했다. 또 “현재의
교과서
에는 이런 탐구학습 내용이 들어있지 않기 때문에 학생들과 함께 해볼 기회조차 없다” 고 말했다.올해부터 공통과학이 실시되면서 탐구학습이 강조되지만, 일선 학교에서 이를 시행하는 곳은 거의 없다고 한다. ... ...
2. 최적의 온도와 pH는 얼마일까
과학동아
l
199608
증명하기 위해 열심히 실험했다. 실험결과를 분석하는데 가장 큰 장애는 학생들이
교과서
에 얽매이는 고정관념이었다.최적 온도는 37℃이어야 하며, 최적 pH는 7이어야 한다는 암기교육의 효과는 이 실험에서 여지없이 깨졌을 것이다.이 실험을 통해 생명의 바다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 ...
카오스축구가 월드컵정상에 오른다
과학동아
l
199608
승부차기로 독일에게 졌던 것이다.중요한 대회를 앞두면 어떤 지도자라도 베너블스처럼
교과서
적인 지도를 할 것이다. 그러나 다른 전술을 선택할 수 있다. 바로 카오스이론이다. 겉으로 보면 아무렇게나 일어나는 현상들이 내부에 숨겨진 질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바로 카오스이론이다. ... ...
21세기 연금술, 인공원소 합성 112번까지 성공
과학동아
l
199604
수천년 동안 계속돼 온 원소발견은 이제 없는 원소까지 만들어내고 있다.화학
교과서
맨 앞장이나 뒷장에는 원소 주기율표라는 것이 있다. 현재 이 주기율표에는 화학원소의 특성에따라 수소부터 로렌슘까지 1백3개의 원소가 배열돼 있다. 그러나 세상에 알려진 원소는 최근에 발견된 원소를 합해 총 ... ...
1. 힘과 운동-그래프 해석 중요
과학동아
l
199604
느껴 흥미를 잃기가 쉽다. 그래프 해석 교육부에서 권장하는 대로 거의 모든
교과서
들은 힘과 운동을 배울 때 주어진 자료를 통해 그 법칙을 찾아내게끔 꾸며져 있다. 그래프는 수집된 자료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알기 쉽게 나타내 준다. 그러나 학생들은 이러한 그래프와 친숙하지 않아서 ... ...
미적분 누가 발견했나
과학동아
l
199604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
에는 미분과 적분단원에 각각 뉴턴(1642∼1727)과 라이프니츠(1646∼1716)의 사진이 실려있다. 미분과 적분은서로 역(逆)연산의 관계에 있으므로 뉴턴과 라이프니츠가 미적분법의 공동발견자라고 생각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이때 '공동' 이란 말은 무슨 뜻일까.두사람은 서로 떨어져 ... ...
3. 생물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생물 1천만종 넘는다
과학동아
l
199603
육지의 생태계에만 신경을 쓰는 것은 잘못된 일이라고 램쉬드박사는 말한다. "
교과서
에는 아직도 모든 종의 80%가 열대우림에 집중돼 있다고 나와 있다. 이것은 말도 안되는 소리다. 그것은 단지 생물 다양성을 연구하는 전문과학자의 80%가 우림지역에서 연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다."심해 ... ...
1년
교과서
교육보다 하루 현장실습이 효과
과학동아
l
199603
잘 밝혀지지 않은 점이 아쉽습니다.이종태제가 그동안 환경과목을 담당했는데, 1년의
교과서
교육보다 단 하루의 현장학습이 훨씬 효과적이라 생각합니다. 26년간 참가한 다양한 연수보다 이번 경험이 가장 보탬이 됐습니다.고봉수대학원에서 조류에 대한 교육을 받았지만 사실 별 흥미를 못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