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2,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클리닉] 여름방학, 이것만은 꼭!수학동아 l201108
- 앞에 다시 나타날 테니, 소홀히 해서는 안 되겠죠? 또한 일차식과 일차방정식을 반드시 구분할 줄 알아야합니다.예를 들어‘일차식 1/3x+1+1/2x-3을 간단히 하여라’와 같은 문제가 나왔을 때, 주어진 문제는 등식이 아니므로 등식의 성질을 이용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즉 x값을 구하는 게 ... ...
- 플래시메모리, 아름답고 완벽하게과학동아 l201108
- 당시 저장매체 중 가장 속도가 빠르다는 평가를 받았다.“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구분해서는 만족스러운 결과를 내기 힘듭니다. 필요에 따라 어떤 경우에는 하드웨어로, 다른 경우에는 소프트웨어로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둘을 적절히 조화하는 것도 필요하지요. 이를 위해선 반도체 소자의 ...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과학동아 l201108
- 분류된다.한편 생활사를 구분하여 용원성 주기(lysogenic cycle)와 용균성 주기(lytic cycle)로 구분하는 데 용원성 주기는 숙주세포 게놈에 바이러스 게놈을 삽입하여 대부분 발현되지 않아 증식이 지연되는 과정이며, 용균성 주기는 침입 후 바로 증식하여 결국 숙주세포에서 빠져나오는 과정이다. ... ...
- KTX와 중국 허셰, 누가 더 좋을까과학동아 l201108
- KTX건, 새마을호나 무궁화호건 모두 같은 폭의 선로를 쓴다. 따라서 어떤 열차도 노선에 구분 없이 운행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선로에 서는 제 속도를 낼 수 없는 게 문제다. 국내 철도는 시속 300km로 설계돼 있는 고속철도 구간, 200km 속도를 낼 수 있는 1급선, 150km의 2급선, 120km의 3급선, 70km의 ... ...
- 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과학동아 l201107
- 대부분 용오름 현상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용오름과 토네이도를 엄연히 다른 현상으로 구분하며, 토네이도가 자주 발생하는 미국에서는 용오름을 공식적인 토네이도 사례에 포함 시키지 않는다. 용오름과 토네이도의 원인이 다르기 때문이다.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에서 밝힌 내용에 따르면 ... ...
-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과학동아 l201107
- 불리기도 한다. 노린재나 메뚜기가 대표적이며 이들 불완전변태의 애벌레 시기를 구분지어 약충(nymph)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불완전변태 중 수서 곤충인 하루살이목, 잠자리목과 강도래목의 어린 시절은 따로 나이아드(naiad)로 부른다. 혹은 절지동물의 어린 시절을 유생(juvenile)이라는 이름으로 ... ...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과학동아 l201107
- 때문에 흰색과 검은색을 판별할 수 있다. 700만 개의 원뿔세포는 밝은 빛이 있을 때 색을 구분한다.사람의 눈은 왜 두 개일까자, 잠시 책을 내려놓고 검지손가락을 눈높이로 들어보자. 한쪽 눈을 가리고 두 검지손가락을 멀리서부터 서서히 가까이 하면서 맞춰보자. 잘 맞춰지는가? 한 눈으로는 ... ...
-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과학동아 l201107
- 관측 자료의 수를 늘리는 것 외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또 있다. 바로 지형, 식생, 해륙 구분 같은 지표특성이다. 지표특성은 해상도에 따라 매우 다르게 표현된다. 예를 들어 해발고도가 1950m인 한라산을 해상도가 12km인 지역예보모델에 넣으면 실제에 한참 못 미치는 300m로 표현된다. 하지만 해상도 1. ... ...
- 휴대전화가 뇌종양 위험 높인다?과학동아 l201107
- 2W/kg, 팔다리 4W/kg로 정해 두었다. 그러나 ICNIRP 권고기준은 어른과 어린이를 따로 구분하지는 않았다. 최 박사는 “앞으로 어른보다 전자파 흡수율이 높은 어린이의 신체 특성을 고려해 전자파 흡수율 기준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ETRI의 연구에서 어린이가 특히 1GHz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107
- 중심에서 초점까지의 거리를 말한다.사람의 눈은 50° 내외에 있는 물체나 색채를 뚜렷이 구분할 수 있다. 사람의 시야각을 초점거리로 환산하면 50mm 정도다. 사람이 보는 것과 비슷한 각도를 담을 수 있는 카메라 렌즈를 ‘표준렌즈’라고 한다. 35mm 필름카메라의 경우 표준렌즈의 초점거리는 50mm이며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