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외
문외
부외
d라이브러리
"
범위밖
"(으)로 총 773건 검색되었습니다.
내일의 자동차 세라믹차는 어떤 것일까
과학동아
l
198906
철합금으로 만든 오늘날의 엔진은 쉽게 가열돼 냉각장치를 필요로 하지만 세라믹엔진은 웬만한 열에는 끄떡 없다.자동차에 라디에이터가 없다고 한번 상상해 보라! 그 자동차는 불과 5분도 못 달려서 온도 지시계가 빨간 쪽으로 올라가고 냉각수 호스가 터져서 뜨거운 김이 내뿜어질 것이며, 당신 ... ...
TV과외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면
과학동아
l
198906
국어 TV수업은 학교수업의 복습으로 시작해서 정리·확인하는 학습으로 완결지어야 한다.이른바 TV과외라 불리우는 대입 수험생을 위한 TV고교 가정학습 방송수업이 전 국민의 비상한 관심 속에 지난 4월17일부터 방영되기 시작했다. 교재 파동까지 빚은 초기의 엄청난 관심과 시청률에 비하면 한 달 ... ...
에너지를 담는 수소저장합금
과학동아
l
198906
수소를 흡수 또는 방출하는 이 기이한 합금은 에너지원으로 또는 에너지 전달매체로 활용된다.스펀지에 물이 스며들듯이 많은 양의 수소를 쉽게 흡수하거나 방출할 수 있는 금속이 있다. 바로 수소저장합금이다. 그러면 수소에 대한 이야기부터 시작하여 그 정체를 알아보자.석유자원이 고갈돼 감 ... ...
8비트냐, 16비트냐 교육용 PC논쟁
과학동아
l
198906
올해부터 컴퓨터교육이 각 학교의 정규과목으로 선정돼 이미 실시단계에 들어섰으나 아직 구입해야할 기종을 둘러싸고 의견이 분분하다.컴퓨터교육이 각급학교 정규과목에 포함됨에 따라 초·중학교에 보급할 교육 교육용 컴퓨터기종 선정이, 관련부처 및 이해관계가 엇갈린 업체들 사이의 팽팽 ... ...
발명왕이 되는 10계단
과학동아
l
198905
'제2 에디슨'의 길은 가까운데 있다. 새롭고 실용적이고 날개돋친 듯 팔릴수 있는 발명품을 만들려면… 더해 보자수학에서는 '1+1=2' 또는 '1+2=3'등 답은 하나뿐이고, 또 정확하다. 그러나 발명에서는 다르다 '1+1'의 답이 1백일 수도 있고, 1천일 수도 있다.발명의 기법중에서 가장 쉬운 방법이 바로 이 ' ... ...
허수보다 확장된 영역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8905
확장수원시인들은 하나 둘 셋 많다로 밖에는 수를 셈할줄 몰랐다고 한다. 그 후에 인간의 두뇌가 발달함에 따라 자연수(natural numbers) 를 알게되었을 것이다. 또한 음수(negative numbers) 와 0(zero)의 개념도 도입되었다.그 세 가지를 합쳐서 만든 정수(whole numbers) 가 발전되고 이어 소수(decimal number ...
생물의 갖가지 형태가 갖는 의미
과학동아
l
198905
생물이 웃고 있을 때 인간은 우는 것으로 보기 쉬우며 그 반대의 경우도 흔하다.인간은 다른 생물들과 다른 감각 세계를 살고 있다. 즉 다른 생물들이 보고 듣고 냄새맡고 느끼는 일을 결코 동일하게 따라 할 수 없다. 따라서 생물의 감각세계에 대한 오해가 수없이 많다.가령 풀밭에 화려하게 피어 ... ...
체중500g까지 살려낸다 초 미숙아를 기르는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8904
보통 아기라면 아직 자궁 속에 있을 그만한 아기가 미리 자궁 밖으로 나와 살아남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었다. 그 아기(미숙아)가 누워있는 작은 침대에는 한세트의 기계가 연결되어 있어 아기의 생명을 유지시키고 심장과 호흡활동을 감시하고 있다.아기의 어머니 '안트와네트 킴블'은 침대 옆 ... ...
제2의 석기시대를 예상하며
과학동아
l
198904
공부를 열심히 하고 삶을 풍부히 하는 일은 별개의 것이 아니다. 금속보다 재질이 뛰어나고 편리한 재료를 만드는데 일조하고 싶다.쉽사리 공학을 하겠다고 단안을 내리지 못했던 시대에 비하면 요즘은 누구나 선택의 어려움없이 공학도가 되려는 때인 것 같다. 물론 대다수의 사람들이 무엇을 해 ... ...
위기의 지구
과학동아
l
198903
인류의 보금자리 지구는 45억년전 태어난 이래 매우 중대한 위기를 맞고 있다. 울창한 숲과 기름진 땅 그리고 넘치는 푸른 바다로 숱한 생물을 키우고 가꿔오던 지구는 인류라는 종(種)의 무모한 생활양식 때문에 마침내 생물이 살기 어려운 행성의 하나로 전락되어 버릴지 모른다.6천만년 전 공룡이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