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상자
당첨자
수상작품
입상작품
계관 시인
d라이브러리
"
수상자
"(으)로 총 707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통일이론의 아버지 셸든 글래쇼 Sheldon Glashow
과학동아
l
198801
발전시켜 마침내 노벨상을 타게 된 것이다. 이로써 브롱크스과학고등학교 출신의 노벨
수상자
는 1972년도의 '레온 쿠퍼'를 포함하여 3명으로 늘어 났다. 일찍 과학자의 꿈을 키워 글래쇼는 1932년 뉴욕 맨해턴에서 태어 났다. 그의 양친은 20세기 초 러시아에서 망명하여 뉴욕에서 자리를 잡은 뒤 ... ...
각종 지원체계 강화 정비의 한해
과학동아
l
198712
수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등 기초과학분야로 상금은 5백만원이다.또 장려상
수상자
는 3년간 2천만원의 연구비를 지급받게 된다. ■ 남극과학기지 건설유사이래 최초의 해외과학기지가 되는 대한민국남극과학기지를 건설하기 위한 건설단이 11월6일 울산항을 떠나 88년2월말 남극대륙의 북단에 있는 ... ...
이공계 대학, 어떤 학과를 선택할 것인가 기초과학분야가 전망 밝아
과학동아
l
198711
경우에는 이런 방법이 좋을 겁니다. 장래를 섣불리 결정하지 말아야현-어느 노벨상
수상자
가 회고록에서 이렇게 쓴 것을 보았읍니다. 대학을 졸업하고 하버드대 대학원에 지원했는데 입학을 거절당해, 할 수 없이 인디아나대로 갔다는 거지요. 그런데 여기서 노벨상을 받은 훌륭한 교수 밑에서 ... ...
제1회 인촌상 학술부문
수상자
이호왕 교수
과학동아
l
198711
8)교수. 올해 처음으로 제정, 최근에 발표한 인촌(仁村)상(각 부문 상금 2천만원) 학술부문
수상자
이다. 50~60년대의 뇌염연구와 60년대말부터 시작 76년 한탄바이러스, 80년 서울바이러스 발견, 현재에 이르기 까지 유행성출혈열 치료제와 백신개발의 지속적 연구를 공로로 인정받은 것이다. 우리나라도 ... ...
남자와 여자의 뇌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8711
있다.뇌는 좌우의 반구에서 기능을 분담하고 있다는 것이 81년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스페리'(Roger Wolcott Sperry, 1913~ )박사의 연구로 발견되었다. 그에 따르면 우뇌는 도형·공간인식 이나 창조성 직관적 사고등을, 좌뇌는 언어기능이나 논리적 사고 계산등을 담당하고 있다한다.그것은 우뇌가 ... ...
도네가와박사 "일본인으로서 수상했다는 사실에는 아무 감회도 없다"
과학동아
l
198711
일본인으로서 일곱번째 노벨상
수상자
이며 생리및 의학부분에서는 첫번째 수상 기록을 세웠다. 그는 일본에서 대학을 졸업한뒤 20년이상을 유럽과 미국에서 면역학연구에 몰두해 왔다.1939년 나고야에서 큰 방적회사 공장장을 지낸 비지니스맨의 차남으로 태어난 도네가와박사는 교토(京都)대 ... ...
베트노르츠 "구름위에 떠 있는듯한 기쁨"
과학동아
l
198711
배출한 IBM 쮜리히연구소는 축제분위기로 가득찼다. 이 연구소 연구원 2백여명은
수상자
발표당일 연구소내 카페에 모여 수상을 축하하며 축배를 들었다 ... ...
노벨상
수상자
결정에 잡음있다
과학동아
l
198711
옮겨지게 하는 것이 올바른 전략이라고 하겠다. 그렇게 되면 자연히 한국에서도 노벨상
수상자
들이 나올 것이며, 그것도 한명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스승-제자 관계라는 연쇄작용을 통해서 계속 배출될 것이다.노벨상은 매스컴의 대대적인 선전에 의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과학연구를 ... ...
노벨위원회가 밝힌
수상자
결정이유
과학동아
l
198711
받게된다. 두 사람의 이번 수상으로 IBM쮜리히연구소는 86년에 이어 연달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를 배출하게 됐다.■화학상-페더슨·크램·랭87년도 노벨화학상은 미국인 찰스 페더슨(83) 도널드 크램박사(68)와 프랑스의 장마리 랭 박사(48)등 세명이 공동 수석하게 됐다.스웨덴 한림원은 이들이 ... ...
초전도 물질의 실용화에 돌파구 열어
과학동아
l
198711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들의 업적은 고온(高溫) 초전도물질을 새로 개발해 내어 초전도 물질의 폭넓은 실용화를 위한 돌파구를 열었다는 점이 인정된 것이다.뮐러와 베트노르츠박사는 란타늄(La) 바륨(Ba) 산화구리(CuO) 라는 세라믹 재료를 이용해 절대온도 35도(섭씨 영하 2백38도)에서 초전도현상이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