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2,90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집이 달라졌다!
수학동아
l
201202
이상했다. 화장지가 눈에 뻔히 보이는데 손으로 만져
지지
않았던 것이다. 보이는 게 만져
지지
않다니 너무나 당황스러웠다. 그런데 자세히 보니 문 앞에 화장지를 쓰려면 문제를 풀라는 화면이 깜빡이고 있었다.“하아…, 정말 그냥 되는 게 하나도 없구만. 화장지조차 문제를 풀어야 쓸 수 있다니… ... ...
늦잠, 유전자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202
이온 통로가 수면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분명하지만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
지지
않았다”고 말했다.변이가 일어난 셰이커 유전자도 칼륨 이온 통로를 망가뜨린다. 하지만 ABCC9 유전자와는 반대로 수면 시간을 줄인다. 미국 위스콘신대 키아라 치렐리 박사는 초파리 9000마리의 평균 ... ...
휴대전화 발열 잡는 기술 등장
과학동아
l
201202
왜 더 작아
지지
못할까. 여러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열 때문이다. 휴대전화에서 나는 열을 잘 배출하지 못하면 열에 약한 전자부품이 망가지기 쉽다. 따라서 휴대전화처럼 작은 전자기기를 만드는 기업은 열을 잡는 것이 언제나 숙제였다. 답 중 하나가 바로 방열판이다. 방열판은 전자부품에서 ... ...
유방암 백신 여성의 구세주 될까
과학동아
l
201202
소화도 잘 안되며 생리가 멈춘다.]문제는 유방암을 일으키는 항원이 아직까진 밝혀
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항원을 모르니 예방백신을 만들 수가 없다. 다른 암도 마찬가지다. 예방백신으로는 B형 간염 바이러스 백신과 자궁경부암 백신이 있다. B형 간염 바이러스 백신은 암 예방백신은 아니다. 하지만 ... ...
뇌-컴퓨터 접속
과학동아
l
201202
것이다. 몸의 여러 곳이 동시에 가려울 때, 한 곳만 집중하면 다른 곳의 가려움은 잘 느껴
지지
않는 것도 좋은 예다. 2005년 독일 괴팅겐대의 제레미 힐 박사는 오른쪽 귀와 왼쪽 귀에 서로 다른 높낮이를 가진 소리를 반복적으로 들려주고 특정 높이의 소리에 집중할 때 발생하는 P300이라는 뇌파를 ... ...
[시사] 수학으로 보글보글~! 꽃미남 라면가게
수학동아
l
201201
가짓수는 25으로 32가지! 그 중에는 모두 묵을 내는 경우처럼 3명이나 2명으로 팀이 나눠
지지
않는 경우가 있어. 그러니 전체 경우의 수 중에서 반드시 3명과 2명으로 팀이 나눠지는 경우만 생각해야 해.그러려면 다섯 명 중에서 묵 또는 찌를 낸 사람은 반드시 3명 또는 2명이어야 해. 다섯 명 중 묵을 낸 ... ...
오로라
과학동아
l
201201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이다. 극지방의 여름은 밤이 매우 짧고 더 고위도로 올라가면 해가
지지
않는 백야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래도 짧은 여름 밤에 오로라를 보면 춥지 않아서 좋다. 물이 얼지 않은 호수 위로 오로라가 비치는 모습을 볼 수 있는 것은 덤이다. 겨울과 여름에 각각 옐로나이프 ... ...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
과학동아
l
201201
두 번째 레이어를 만든다. 액체에 잠기는 과정에서 망가질 수 있기 때문에 레이어마다
지지
대를 달아준다. 마지막에는 완성품을 액체에서 꺼내면 된다. 3차원 프린터에 들어가는 실은 플라스틱을 길게 뽑아 낸 것이다. 실타래처럼 둘둘 말아놨다가 한 줄을 뽑아 프린터 헤드에 달린 노즐로 내보낸다. ... ...
난, 이제 MIE로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1201
어떤 과학 원리가 들어있을까. 시합을 하는 중에도 한번 떠오른 생각은 쉽게 지워
지지
않았다. 수진이는 인터넷 검색창을 열었다. 과학동아와 체육교과서에서 찾은 막슛의 비밀 검색창에 ‘막슛’을 썼더니, ‘왼손은 거들 뿐, 막슛의 비밀’등의 결과가 나왔다. 검색창에 나오는 결과가 다 좋은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01
1억 8960만 명으로 28.2%가 슬럼 거주민이다. 가축의 밀집 사육 현황 역시 별반 나아
지지
않았다. 언제 치명적인 전염병이 발생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다. 현재로서는 인구 감소 확률이 가장 높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지구, 70억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Part 2. 시간 1000명에서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