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4,5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교과서에 오류 있다?!수학동아 l201403
- 건 1898년부터다. 이 이전에는 황금비를 나타내는 기호도 tau(τ)이었다.그런데 1900년대 초 미국의 수학자 마크 바가 무슨 연유에서인지 파르테논 신전을 건축할 때 총 감독을 담당했던 ‘페이디아스(phidias)’의 이름 철자를 따서 황금비의 기호를 phi(φ)로 바꾸었다. 마리오 리비오는 이때부터 사람들이 ... ...
- “학생들에게 검색 대신 사색을 선물하세요”과학동아 l201403
- 분교 및 동아리의 신청을 받습니다 ]발기인 33인이 전국 초·중등 분교, 지역아동센터, 공부방, 과학/수학 동아리, 독서 동아리에 작은 도서관을 선물합니다. 기증을 받으시려면 단체 소개와 함께 받고 싶은 이유를 간단히 적어서 slibrary@outlook.com으로 보내 주시거나, 홈페이지(event.dongascience.com/librar ...
- 가창오리의 억울한 죽음과학동아 l201403
- 먹을 게 없을까? 과거에 비해 철새 먹이가 많이 사라진 것은 사실이다. 특히 2000년대 초반부터 농가에서 ‘곤포사일리지’를 도입하면서 철새들의 주요 먹이인 낙곡(수확할 때 떨어진 낟알)이 많이 줄었다. 곤포사일리지는 볏단을 압축한 뒤 비닐로 밀봉해서 만든 가축용 숙성사료를 말한다. 추수가 ... ...
- 호킹은 왜 블랙홀이 없다고 하는가과학동아 l201403
- 혼란이 결국 어떻게 해결될지는 지금 알 수 없으나,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지난 20년간 초끈이론과 양자중력의 발전에 가장 큰 공헌을 한 것이 바로 블랙홀과 양자역학이 공존할 수 있느냐, 그리고 그렇다면 정확히 어떻게 공존하느냐 하는 물음이라는 것이다. 이 문제가 해결됐다는 그간의 성급한 ... ...
- 시속 320km로 내리꽂는 하늘의 지배자과학동아 l201403
- 않고 먹이를 주시한다. 하지만 말똥가리나 물수리를 비롯한 맹금류들의 정지비행은 단 몇초에 불과하다. 황조롱이의 정지비행은 수십 분에 이른다.황조롱이의 비결은 남다른 꽁지깃에 있다. 공기 같은 유체 속에 있을 때 새는 중력, 양력, 항력, 추력 등 4가지 힘을 받게 된다. 중력이 양력보다 크면 ... ...
- 진실 혹은 거짓 달 미스터리 7어린이과학동아 l201403
- 달의 공전속도는 빨라지고 점점 지구에서 멀어지게 되요.지구의 자전속도는 100년에 0.0015초씩 느려지고 있고, 3억 6000만 년 뒤에는 하루가 25시간이 된대요. 둘 사이가 더 멀어지면 달을 아예 보지 못하는 곳도 생기게 될 거래요. 지구의 자전속도와 달의 공전속도가 같아져 서로 같은 곳만 보며 ... ...
- 빙하 VS 빙산어린이과학동아 l201402
- 빙산이 아니라 빙하라고 하셨어요. 둘이 도대체 뭐가 다른 건가요? 김다인(인천 먼우금초 5)빙하눈이 오랫동안 쌓여 다져져 육지의 일부를 덮고 있는 얼음층을 ‘빙하’라고 해요. 추운 고산지대나 극지방의 경우 겨울철에 내린 눈의 양이 여름에 녹은 양보다 많아 눈이 계속 쌓이게 돼요. 눈이 ... ...
- Part 2. 그녀들을 최고로 만든 ‘물리 스킬’과학동아 l201402
- 100m 기록이 10초29였는데, 최근 경기에서는 100m를 10초20 안팎으로 끊고 있다.선수의 속도가 초속 6~7m가 되면 본격적으로 스케이팅 동작을 취한다. 빙판과의 마찰력을 높여 반작용으로 추진력을 얻는 ‘푸시오프’와 마찰력을 줄여 앞으로 미끄러지는 ‘활주’, 두 가지 동작이 있다. 푸시오프는 다리를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씽씽! 겨울엔 신 나는 스키와 스노보드를~!어린이과학동아 l201402
- 임진서 : 오빠, 스키와 스노보드 어느 게 더 재밌어?박찬선 : 글쎄? 난 둘 다 재밌어. 음…, 그래! 자장면과 짬뽕! 둘 중 무얼 먹을래 물어 보는 것처럼 어려운 질문인걸? 자장면은 자 ... 말고, 눈 위에서 이번 겨울을 신 나게 즐겨 봐~.명예기자 : 박찬선(서울 서이초5), 임진서(성남 양영초 3 ... ...
- PART1 제1차 세계대전은 어이없이 일어났다과학동아 l201402
- 시스템이 7월 마지막 주에 갑작스럽게 파국으로 치달은 것이다. 이 파국은 인류 최초의 세계대전으로 이어졌다. 끔찍한 세계대전, 과연 피할 수 있었는가기묘한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은 많은 이들이 곱씹어보는 사례가 됐다. 사실 이 전쟁은 어떤 호전적인 미치광이나 야심가가 일으킨 게 아니다.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