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습격
공세
내습
모독
급습
강타
침략
d라이브러리
"
공격
"(으)로 총 1,990건 검색되었습니다.
꿀벌 VS 말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공격
해 잡아먹어요. 꿀벌이 모아 놓은 꿀과 애벌레를 빼앗기 위해서 꿀벌의 집을
공격
하기도 하죠. 말벌은 나무껍질 같은 목재 성분을 갉아 침과 섞어 만든 재료로 집을 짓기 때문에 집이 마치 거친 종이 같아요. 실제로 도시에 사는 말벌은 전봇대의 전단지를 갉아내 집짓는 재료로 쓰기도 한답니다 ... ...
진짜 동물과 똑 닮은 동물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있는 동물들은 실제와 똑 닮은 로봇들이야. 이 녀석들을 사람들에게 보내 감시를 하거나
공격
을 하고 말 거야. 그럼 내가 친구들에게 동물로봇들을 소개하지. 캥거루로봇과 물고기로봇, 그리고 문어로봇아, 친구들에게 우리 힘을 보여 주자고!캥거루로봇아, 너는 아무리 봐도 ... ...
[시사] 역사를 바꾼 가장 위대한 전쟁 명량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자기편끼리 부딪히고 말았다. 조선군은 이를 기회로 삼아 일본군을 향해 화포로 무차별
공격
을 했고 결국 승리했다. 이순신 장군이 쓴 날개 접은 학익진이 가능했던 이유에는 수학이 있다. 원래 화포를 쏘기 위해서는 적선이 사정거리 안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화포를 쏠 때는 정확하게는 ... ...
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인체세포를 이용해 우리 몸 안에서 에볼라의 당단백질을 만들면 우리 몸은 그것을
공격
하는 항체를 만들고 그 과정에서 면역력이 생긴다. 그러나 막상 해보니 바이러스가 인간의 세포에 잘 들어가지 않았다. 번번이 실패한 과학자들은 두 번째 대안을 생각해냈다. 이번에 9월부터 미국 국립보건원 ... ...
식물끼리 대화? “RNA로 해요”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나누듯 식물도 대화를 나눈다. 대화의 수단은 화학물질이다. 예를 들어 한 식물이 곤충의
공격
을 받으면 ‘푸른잎성분’이라는 휘발성 물질을 분비해 동료 식물에게 위험을 알린다. 하지만 최근, 전혀 다른 방식의 ‘식물 대화법’도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미국 버지니아공대 김건준 연구팀은 ... ...
PART1.전염의 시작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키스를 통해서 에볼라를 퍼뜨렸다. 몸 곳곳을 씻기는 과정에서 나온 피는 환자의 가족을
공격
했다. 환자를 추모하는 서아프리카식 장례는 뜻하지 않게 에볼라에게 날개를 달아줬다.Q. 그동안 에볼라는 쉽게 퍼지지 않았는데?A. 이번에는 버스와 비행기를 탔다 ▲ 에볼라 바이러스가 대도시로 퍼진 ... ...
초파리도 실연당하면 술을 마신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세포가 수컷에만 있기 때문에 수컷이 더
공격
적이었던 것이다. 연구팀은 초파리 수컷의
공격
성에서 각 단계에 사용되는 유전자들과 신경회로의 지도를 비교해 이런 사실을 밝혀냈다. 흥미롭게도 이 사실은 사람과 초파리가 같다.이제 논문은 그만 쓰세요인류는 늑대를 개로 길들이기 시작한 1만500 ... ...
카카오톡 창업자도 산업공학과 출신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분야가 있습니다. 경영과학 분야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군이 독일군 잠수함 U보트를
공격
할 때 어느 위치에 폭탄을 떨어뜨려야 하는지 연구하면서 시작됐습니다. 마지막으로 요즘 한창 뜨고 있는 데이터마이닝과 기술경영 분야가 있습니다. 데이터마이닝에서는 빅데이터를 어떻게 의사결정에 ... ...
08 양자의 얽힘(EPR 역설)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프린스턴대에 보금자리를 마련한다. 양자역학을 거부했던 아인슈타인은 이곳에서 다시
공격
의 포문을 연다. 1935년 포돌스키(Podolsky), 로젠(Rosen)과 함께 ‘물리적 실재에 대한 양자역학적 설명이 완벽하다고 할 수 있는가?’라는 제목의 논문을 출판한 것이다. 저자들 이름의 알파벳 첫 글자를 모으면 ... ...
다시 읽는 난중일기 거북선 정말 철갑선이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화포를 막기 위해 철을 덮었다.당시 군인들은 대부분 불화살과 화포를 이용해 적을
공격
했어요. 나무배인 거북선에 덮개까지 나무로 만들었다면 더 쉽게 불에 타서 망가지게 돼요. 게다가 이동 중에는 거북선 덮개 위로 걸어 다니기 힘들기 때문에 불이 나도 군인들이 직접 불을 끄기가 어려운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