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시 생각함"(으)로 총 6,1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쌤의 수학공부법] 내게 맞는 수학 문제집은?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것이 좋습니다. 쉬운 문제를 풀면 시간 낭비처럼 느껴질 수도 있지만, 아는 내용을 다시 한 번 확인하고 풀이 시간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20~30%의 어려운 문제를 ... 쉬운 난이도의 문제집을 선택해야 합니다. 그리고 문제집을 풀기 전에 꼭 교과서 문제를 다시 풀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 ...
- [기획] 무작위하지 않으면 공정하지 않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될까요? 처음 섞어서 만든 카드 더미에 붙인 번호를 유지한 채 맨 아래 카드부터 차례로 다시 3장과 2장으로 나눠 쥐고 섞어보겠습니다. 그러면 가장 아래와 바로 위에는 1, 3, 2, 4 중 하나의 카드가 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카드가 올 수는 없기 때문에 무작위하지 않죠. 한 번 더 섞어야 비로소 ... ...
- 美 9년 만에 유인 탐사 재개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로켓인 팰컨9에 실려 5월 27일 우주로 갈 예정이다. 팰컨9에는 로켓의 비행 방향을 바꿔 다시 지구를 향하게 하는 냉가스 추력장치(cold-gas thruster)와 착륙 지점까지 궤도를 결정하는 ... 우주인과 합류해 크루 드래건 시험을 포함한 임무를 수행하고 ISS에서 1~2주 체류 후 다시 크루 드래건을 타고 지구로 ... ...
- [일본유학일기] ‘고등학교 4학년’ 거쳐야 비로소 시작되는 전공생활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기회가 생겼다. 그리고 이렇게 모은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후두암 수술 후 성대를 잃은 사람이 다시 말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만들었다. 이것으로 1년 내내 친구와 둘이서 학내는 ... 다녔다. 지금은 코로나19로 학교 공작실이 폐쇄돼 작업을 거의 못 하고 있지만, 학교가 문을 ... ...
- 찾았다! 정십이면체 표면을 달리는 직선 경로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생각한 방법은 입체도형을 전개도로 펼치는 거였어. 펼친 평면에서 직선을 그리고 다시 접으면 경계를 지나도 기울기가 변하지 않는 직선이 되거든. 하지만 여전히 문제가 남아있었어. 하나의 전개도에 여러 종류의 직선을 그리다 보면 모서리 바깥으로 나가 방향을 바꿔 그려야 하는 경우가 생겼어. ... ...
- 오가노이드, 로봇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신호를 일방적으로 보내기만 하는 건 아냐. 눈이나 귀 등 감각 기관에서 받은 신호가 다시 뇌로 전달되기도 하니까 말이야. 그래서 크리스토퍼는 “앞으로 브레인봇이 느낀 감각을 뇌 오가노이드에 전달하는 연구를 하고 싶다”고 밝혔어. ● 인터뷰 “로봇을 뇌 오가노이드의 몸체로 만들고 ... ...
- [매스크래프트] #6. 영국의 빅 벤, 하루는 왜 24시간일까?수학동아 l2020년 06호
- ‘12’라는 숫자는 특별했습니다. 밤하늘의 달 모양이 초승달, 반달, 보름달에서 다시 반달, 그믐달로 바뀌는 과정을 12번 거쳐야 1년이 된다는 사실을 고대인들도 알고 있었거든요. 달의 움직임에 따라 1년을 12번으로 나눠 구분하니, 당연하게 하루도 12번으로 나눠 생각했어요. 동양에선 십이지*를 ... ...
- [과학동아 X 긱블] 동물의 숲 주파수 연주기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즉 진동수를 1만5385Hz로 맞추면 됩니다.자, 이제 MIDI 데이터를 진동수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스텝 모터에 전송하는 회로를 만들 겁니다. 납땜의 멋짐을 아는 쾌남 민바크 님의 주 종목입니다. 이번에도 역시나 스텝 모터에는 회로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는 아두이노 보드를 연결합니다. 다만 악보 ... ...
- [융복합 파트너@DGIST] '씨앗' 키워 정제까지...친환경 퀀텀닷 레시피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빛을 낸다. 전자가 외부에서 전기나 빛에너지를 흡수해 바깥쪽 전자껍질로 이동했다가 다시 안쪽 전자껍질로 떨어질 때 에너지값 차이만큼 에너지가 방출되고 이는 빛에너지로 전환된다. 이때 빛의 색깔은 방출되는 에너지값에 따라 결정된다. 전자의 에너지 준위(가질 수 있는 에너지값 전체를 ... ...
- 문화재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시대의 시조는 3D로 현실에 등장했어. 멋진 방법으로 되살아난 문화재를 소개할게! AR로 다시 태어난 돈의문! 지난해 8월 20일 서울시 정동사거리에는 105년 전 사라진 돈의문이 디지털로 되살아났어요. 돈의문은 한양도성의 4대 문 중 서쪽에 있던 문으로 1915년 일제가 도시계획을 핑계로 철거했지요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