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복합 파트너@DGIST] 퀘스터, 미션 깨는 가상 실험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잠시 고민하던 이 대표는 고개를 끄덕였다. “저희가 아직 학생 신분이란 걸 아는 분들은 모두 저희에게 호의적으로 대해주시고 또 많은 도움을 주셨어요. 어렵지 않게 도움을 청할 수 있다는 점은 처음 보는 퀘스트를 계속 깨야 하는 창업 과정에서 큰 힘이 됐습니다. 이 때문에 창업은 빨리할수록 ... ...
- [SF소설] 망자를 위한 땅은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태양계도 함께 죽은 것이었다. 다행히 얼마 지나지 않아 상석에 앉은 사람들도 토지를 모두 팔아버렸다는 소식이 들려왔고, 화성의 토지 가치는 순식간에 폭락했다.핍은 기사에게 말했다.“일단 백조자리 방향으로 가주세요.”택시는 미끄럽게 날아올랐다. 핍은 뒷좌석에서 눈을 감고서 앞으로의 ... ...
- [헷갈린 과학] 두 눈이 오른쪽? 왼쪽? 가자미VS넙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숨어 있다가 작은 갑각류, 불가사리 등 먹이를 발견하면 잡아 먹습니다.가자미와 넙치 모두 눈이 있는 윗면을 유안부, 눈이 없는 아래쪽을 무안부라고 합니다. 유안부는 모래 색깔과 비슷하게 거무스름해서 바닥에 숨어 있으면 구별이 어렵고, 바닥과 닿는 무안부는 유안부에 비해 대체로 밝은색을 ... ...
- [냠냠! 어수잼] 세 자리 수를 알아볼까?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수를 세기가 더 쉽네.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집으로 돌아가기로 한 펭귄은 모두 100마리야. 세 자리 수를 알아볼까? 펭귄이 10마리씩 서 있는 얼음덩어리 10개가 모이면 펭귄 100마리가 돼. 1이 10개면 10이고, 10이 10개면 100이거든. 펭귄 대신 얼음 조각으로 나타내보면 더 간 ...
- [수플리] 수학 플레이리스트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빌면 좋을지 고민하던 주민들은 실망하지만, 빨간 모자는 지니의 힘을 빌리는 대신 모두 힘을 합쳐 숲을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자고 해요. 그리하여 시작된 동화의 숲 시장 선거! 기호 1번 빨간 모자는 시장이 될 수 있을까요? 이것저것들의 하루 4: 우주 똥, 태양풍 그리고 빅뱅의 하루마이크 ... ...
- [특집]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수 있는 통신기술과 단 1초만에 전송받은 정보를 분석하고, 인체를 재구성할 기술을 모두 갖췄습니다. 이에 따라 순간이동 소요시간은 ‘0초(양자전송 시간)+n초(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양자얽힘 측정결과 정보 전달시간)+1초(정보 분석 및 인체 재구성 시간)’입니다.2. 순간이동 과정에서 벌어지는 ... ...
- 네, 그래서 이과가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어봤습니다 (1)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전자레인지처럼 급속도로 음식을 냉각시켜주는 기계는 없을지 궁금해하셨습니다. 모두 감사한 소재죠. 새해를 맞아 초심을 다잡는 의미로 제보받은 아이템 중 하나를 시행해보고자 합니다. 최연우 독자의 아이템인데요, 보자마자 ‘올 것이 왔다’ 싶었습니다. 언젠가 꼭 하리라 마음먹고 있었던 ... ...
- [특집] 도시를 움직일 전기 어떻게 생산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순환에는 엄청난 양의 전기가 필요합니다. 이뿐만 아니라 스마트팜에 쓰이는 LED 역시 모두 전기로 작동하죠. 네옴시티에서는 전기를 100% 친환경 발전을 통해 조달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태양열발전과 그린수소가 핵심이다!가장 먼저 떠올릴 수 있는 것은 태양광발전입니다. 태양광패널을 통해 ... ...
- [기획] 바삭바삭 튀겨라! 튀김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역사도 소개하게 됐어요. Q요리사와 과학자의 공통점이 뭔가요?요리와 과학 실험 모두 계획적이고 통제된 과정을 통해서 결과를 검증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똑같습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전통 요리에서 해왔던 경험적인 부분을 과학적인 원리로 밝혀내고 분석해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활발합니다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서울과학고 수석 졸업생의 수학 공부법수학동아 l2023년 01호
- 풀 것 같아 두렵잖아요. 그런데 IMO 금메달은 만점자에게 주는 게 아니고 12분의 1 안에 든 모두에게 주기 때문에 부담 없이 공부할 수 있었어요. 어떨 때는 6문제 중 1문제를 완전히 틀려도 금메달을 받을 수 있거든요. 목표를 만점을 받는데 두지 않고 어려운 문제를 계속 풀면서 수학 실력을 쌓는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