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분"(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 몰입도를 높이는 절차적 콘텐츠 생성법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코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스크래치 코드에는 펜 굵기를 변경해 지형을 생성하는 부분도 있으니, 스탬프 명령어를 사용한 결과(아래 그림)와 생성 속도를 비교해 보기 바랍니다. 생성한 지형에 캐릭터를 배치하고 이동하는 기능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여러 기능을 추가해 직접 코드를 수정해 ... ...
- 기술검증│인류 지식의 최전선을 시험하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것일 뿐 아예 없어지게 하지는 못한다. 3. 추진시스템결국 UFO의 이상한 비행은 대부분 ‘무시무시한 추진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면’의 문제로 귀결된다. 하지만 추정컨대, UFO의 형태와 비행을 구현하기 위한 추진시스템이 존재한다면 현재 지구상 비행체에 사용되는 것과는 전혀 다른 것일 ... ...
- [파고캐고 지질학자!] 운봉산에 쌓인 돌무더기, 사실은 빙하기의 증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자리예요. 기후가 따뜻해지며 얼음이 녹으면 돌무더기가 내려앉으며 고랑처럼 쑥 들어간 부분이 나타나게 되지요. 또, 암괴류의 아래쪽일수록 주상절리 조각의 크기가 작아진다는 사실도 증거가 돼요. 주상절리 조각이 얼음을 타고 내려가면서 서로 부딪혀 깨졌을 테니까요.운봉산의 암석 빙하는 ... ...
-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그림의 모양은 달라도 우리는 모두 원기둥 가족!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부분을 이어 붙이면 직사각형이 돼서 원기둥이 만들어져요. 즉 [2]번 부분을 잘라 [1]번 부분과 딱 맞게 이어붙이면 우리가 알고 있던 모습의 전개도가 돼요. 이처럼 원기둥이 될 수 있는 그림은 너무나 많기 때문에 교과서에서는 옆면이 직사각형인 전개도만 원기둥의 전개도로 보기로 약속했어요 ... ...
- 폴리매스 정보통! 로블록스로 창의력과 수학 실력을 한 번에!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조합해 새로운 물건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 신기했어요. 순간이동을 할 수 있는 코드 부분을 놓쳤을 때는 좀 답답했어요. 로블록스 스튜디오와 코딩이 익숙한 친구들은 코드를 쓱 보고도 잘 따라 하던데, 저는 둘 다 해본 적이 없어서 낯설었거든요. 다음에 로블록스 관련 수업을 한다면 선생님이 ... ...
- [기획] 수학 교과과정 개정에 대한 또 다른 의견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수업 방식, 교과 구성, 단원 구성 모두 바뀔 가능성이 큽니다. 수학계 사람들은 어떤 부분에 집중하고 있을까요? 1 고호경 아주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 “공학적 도구 활용에 맞춰 수학 내용 바뀌어야” 앞으로 수업에서 공학적 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에는 동의하지만, 그간 공학적 ... ...
- [매스크래프트] #22. 초대형 케이크, 공평하게 나눠 먹으려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A처럼 잘랐다고 가정해볼까요? 선택권은 아름에게 먼저 있어서 아름이 민트초코맛 부분을 다 가져갈 수도 있습니다. 그럼 태인은 민트초코맛을 입에 댈 수도 없죠. 결국 태인은 전략적으로 민트초코맛을 B처럼 반으로 나누는 선택을 할 겁니다. 그럼 사람이 늘어난다면 어떻게 나눠야 할까요? 196 ... ...
- 물질의 특성 살피는 새로운 도구, 위상 수학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있다면, 강한 힘을 줘도 구부리기 어렵다. 달리 말하면 철사 안에 결함이 있을 때 특정 부분이 약해져 철사를 구부리거나 잘라서 사용할 수 있다”며 “이처럼 액정과 같은 다양한 물질에서 결함의 성질을 이해한다면 물질을 더욱 유용하게 쓰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정 ... ...
- [수학체험실] 전체 속의 부분,부분 속의 전체 시에르핀스키 피라미드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닮아 있습니다. 순환성은 계속해서 반복된다는 뜻으로, 도형 일부를 계속 확대해도 그 부분 속에 전체의 구조가 반복됩니다. 이런 프랙털 원리를 수학에 적용해 만든 도형을 프랙털 도형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칸토어 집합, 코흐 눈송이, 시에르핀스키 삼각형과 시에르핀스키 양탄자, ... ...
- [에디터노트] 카테고리 없음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인류를 초월한 기술성이라는 게 정말 존재하는지 되물었습니다.UFO를 둘러싼 논의는 많은 부분에서 현대 과학과 상충합니다. 외계 생명체를 연구하는 우주생물학 분야조차 UFO 논의와는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과연 UFO는 과학의 한계를 보여주는 현상일까요, 아니면 또 하나의 미신일까요. 다양한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