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지
저지
방비
방해
예방경찰
경찰
방역
d라이브러리
"
예방
"(으)로 총 1,606건 검색되었습니다.
직장을 넘보는 암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소개한 텍사스대 연구진의 논문도 “식습관과 담배 등 주된 생활 습관을 개선하면 암을
예방
할 수 있다”고 결론 맺고 있다. 하지만 직업이나 환경은 그렇지 않다. 각각 일이나 일상생활과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공장이나 작업장은 유독 물질을 많이 쓰기도 하고, 그런 물질을 직접 만들 때도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채워주는 기술이다. 홍수를 막기 위한저류지와 연계하면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를
예방
하는 동시에 지하수를 보충할 수 있어 일석이조다.현재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우리나라 최초로 제주도를 시범연구지로 선정해 실용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바로 J-ART(Jeju-friendly Aquifer Recharge Technology)다.J-ART는 ... ...
하아암~ 엣취! 딸꾹! 못 참아 3종 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의식적으로 참기가 어렵답니다.딸꾹질 멈추는 별별 비법!딸꾹질을 나오지 않게 미리
예방
하기는 어렵지만 멈추게 할 수는 있어요. 재채기와 마찬가지로 몸에 새로운 자극을 주면 뇌가 이 자극에 집중하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딸꾹질이 멈춰요. 숨을 들이마시고 잠깐 동안 숨을 참는 게 그 예지요. ... ...
Part 1. 조류, 광합성 절반 맡은 물속의 유비쿼터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로 방사능 오염을 걱정하던 차에, 해조류가 방사능 피해
예방
에 좋다는 이야기가 나오자 시장에서 다시마나 미역이 동나기도 했다. 어머니가 아기를 낳고 제일 먼저 먹는 것도 미역국이 아니던가. 김을 싫어하는 사람은 아마도 없을 것이다.이뿐만이 아니다. 해조류에서 ... ...
주삿바늘 없는 독감 백신 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무서워 우는 통에
예방
접종 때마다 곤란했는데 이제 바늘을 쓰지 않는 백신이 개발돼
예방
접종이 훨씬 수월해졌다”며 “다른 백신도 주삿 바늘 없이 쓸 수 있게 만들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주사보다 효과 좋은 스프레이 백신스프레이 백신은 기존 주사제형 백신보다 약효가 좋다. 주사제형 ... ...
여름철 3대 피부질환 별들에게 물어봐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스포츠 시설 바닥 등에도 있어 다시 옮을 확률도 높다. 따라서 무좀 치료 뒤에도 무좀을
예방
하는 습관을 잘 지켜야 한다. 피부사상균은 온도와 습도가 맞으면 다시 번식하므로 발을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발을 씻고 완전히 말린 후 면양말을 신어 습기를 최대한 제거한다. 또 ... ...
북극 빙산으로 아프리카 갈증 푼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빙산을 빠르게 운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해양 시설물이나 암초에 부딪히지 않도록
예방
하는 안전문제가 가장 우선”이라고 말했다. 그가 3D 시뮬레이션에 출발지 ‘그린란드 섬’과 목적지 ‘카나리아 제도’를 입력하자 단 2분만에 북미 동쪽 해역에서 아프리카 서쪽 해역까지 이어지는 ... ...
잠을 잊은 당신 건강한가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분류했지만 1.8배는 ‘의미 있는 증가’라고 평했다. 황승식 인하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예방
의학)도 “교대근무가 암을 일으키는 데 문턱값(역치)이 존재할 수도 있다는 뜻”이라며 “이번 연구는 대상 인구집단이 커서 더 구체적인 연구 결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심혈관계 질환 역시 ... ...
산림환경연구소 나무를 위한 맞춤병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위해서 산림환경연구소에서는 산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항상 산을 감시하고, 사고를
예방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단다.나무는 우리가 책임진다! 산림환경연구소산림환경연구소는 나무의 병을 치료하거나 실용적인 나무를 키우는 곳이야. 또한 전국 각 지역에 수목원과 함께 있는데, 수목원은 ... ...
안전띠에 대한 궁금증 5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어깨띠에 쇄골이 부러지거나 골반띠에 복부 내 장기가 파열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를
예방
하기 위해 안전띠를 ‘바르게’ 매는 습관을 강조한다. 안전띠가 잘못된 부위로 지나가거나 꼬여 있으면 승객의 몸을 지나치게 압박하고, 안전띠를 손으로 늘려서 잡고 있으면 충분히 압박하지 못해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