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표본실 곰팡이 습격 사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2021년 7월, 서울대 동물 표본실이 곰팡이로 뒤덮인 채 발견됐다. 보관 중이던 표본은 전량 폐기됐다. 임영운 서울대 자연과학대 교수팀 ... 앞으로 비슷한 상황이 다시 발생해 중요한 표본에 곰팡이가 생길 수도 있다. 이 경우 우리 연구를 보고 빠르게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유인원들이 죽음을 마주하는 방법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대상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면 진화의 비밀을 푸는 또 다른 길이 열릴 것이다. 죽음은 우리에게 여전히 무겁고 슬픈 일이지만 그만큼 의미가 큰 까닭에, 영장류의 인지행동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세인 이화여대 행동생태연구실 영장류 연구팀 소속으로 현재 ... ...
- DARE MIGHTY THINGS 위대함에 도전한 사람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대하고, 우리가 아는 유일한 보금자리인 창백한 푸른 점을 소중히 보존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임을 강조해줍니다.” 보이저 1, 2호는 3월 13일 기준 지구로부터 각각 159AU(천문단위·1AU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거리), 132AU 떨어진 우주를 항해하고 있다. 항해자(Voyager)라는 이름대로. 미국과 소련의 ... ...
- [한승전의 '초재료'] 저항 0, 에너지 손실도 0 극강의 효율 초전도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아주 작은 에너지로 극강의 효율을 낼 수 있다. 이렇게 전기저항이 사라지는 현상을 우리는 초전도 현상이라고 부른다. 초전도 현상은 자기공명영상(MRI) 장치, 자기부상열차, 초미세 센서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재료가 가진 한계를 또 한번 깨부순다. 액체 헬륨 실험 중 우연히 발견 첫 발견은 ... ...
- [이달의 책] 경쾌하게 반박한 동물에 관한 속설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상식을 이해하기 어려워서가 아니었다. 단지 당시의 내 생각에 잘 맞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어디선가 당연한 상식처럼 배웠지만 정작 확인해 본 적은 없는 동물에 대한 믿음은 꽤 다양하다. 모든 상어가 인간을 잡아먹을 정도로 무섭다거나, 지구에서 가장 큰 생물은 대왕고래라거나, 레밍이 ... ...
- 60년 묵은 생체시계 난제 해결수학동아 l2023년 04호
- 단백질이 있다. PER이 많아졌다 줄어들었다 하면서 잠이 오게 하고, 배고프게 만드는 등 우리 몸을 조절하는 호르몬을 분비한다. 이를 발견한 3명의 과학자가 그 공로로 2017년에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그런데 주변 온도가 달라지면 생체시계 주기도 달라져야 한다. 세포는 온도가 높아지면 반응 ... ...
- 유재석이 꿈이었던 학창 시절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있지만, 금방 친해졌습니다. 우리 둘이 갖고 있던 생각의 결이 비슷해서인 것 같습니다. 우리가 속해 있는 공동체의 사람들이 행복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고, 수학 공부를 하면서 즐거워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적은 인원으로 근근이 유지하고 있던 셈 동아리 활동에 둘 다 적극적이었습니다. 그때 ... ...
- [인터뷰] 우리나라 수학 역사를 그대로 담다! 보물 창고 만든 '김영구 수집가'수학동아 l2023년 04호
- 해낼 수 없어요.일본에는 수집, 전시, 연구까지 하는 ‘교과서 도서관’이 있어요. 물론 우리나라에도 ‘한국교과서연구재단’이 있지만, 교과서를 수정, 보완하고, 문제가 생겼을 때 처리하는 일만 하고 있어요. 그래서 과거 자료들을 보고 제대로 연구할 수 없는 환경입니다.2019년 한 대학원생은 ... ...
- [러셀 탐구생활] 제 4장 수학을 향유하는 인생 친구를 만나다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이곳에 입학한 것을 진심으로 환영해. 버트런드, 혹시 저녁에 시간이 되니? 괜찮으면 우리 ‘더 소사이어티(The Society)’ 모임에 가지 않을래? 다들 너와 친구가 되고 싶어 할 거야.”“무, 물론이죠!”나를 지지하는 사람 2023년 영국의 한 펍.“정담, 그런데 넌 참 신기하다. 어쩌다가 대학에서 ... ...
- 세 번째 질문 I 우리는 진정으로 무한을 아는가?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없다’가 증명돼 있습니다. 증명할 수 없다는 게 증명됐다니 참 이상하지요. 어떻게 보면 우리가 무한에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접근하고 있지만, 무한은 아직도 아니 어쩌면 영원히 이해할 수 없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영상으로 보기 ☞https://www.youtube.com/watch?v=DzMpBU2mt3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