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일"(으)로 총 1,92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선보이고 있다. 먹장어는 척추동물의 조상과 가까운 어류다. 칠성장어와 함께 현존하는 유일한 무악어류기도 하다.지난 2011년 뉴질랜드 캔터베리대 연구팀은 먹장어가 피부와 아가미로 직접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다는 논문을 ‘영국왕립학회보B’에 발표했다. 먹장어가 먹이를 먹을 때 종종 시체 ... ...
- 5기통 엔진의 마지막 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시작했다. 그 뒤 볼보, 아우디, 폭스바겐이 5기통 엔진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쌍용차가 5기통 엔진을 장착한 ‘무쏘’를 내놓았다. 이젠 4기통만으로 충분해!올해 들어 ‘동급이면 배기량 적은 모델’이 유행했다.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연비가 좋은 차가 더 인기를 끌게 된 ...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대덕 연구단지 내에 위치한 국내 유일의 위성 개발 전문기업 쎄트렉아이. 회사 건물 앞에 도착하자 버선발로 마중 나온 박성동 대표가 보인다. 그는 사무실로 들어가기 전에 먼저 위성 개발 현장으로 안내한다. “1m급 해상도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소형 지구관측 위성 ‘데이모스 2호’랍니다. 곧 ... ...
- 소년이여, 네 멋대로 해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학교에 가라서 해서 연세대를 골랐고, 내가 학교를 간 1982년만 해도 생화학과는 연세대가 유일했거든.”농담인줄 알았는데 진짜였다. 한 달 정도 다녀보니 뭔가 이상했고, 생화를 연구하는 학과가 아니라는 사실은 명확했다. 하도 어이가 없었는데 같은 학번 친구 중에 자기와 같은 사람이 또 한 명 ... ...
- INTRO. 세상엔 어떤 입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입에 이빨이 나 있는 모습이 괴기스럽다. 칠성장어는 먹장어와 함께 현재 유일하게 남아 있는 턱이 없는 어류다. 다른 물고기에 붙어 피를 빨아먹거나 시체를 파먹는다.➎ 달팽이달팽이의 입을 유심히 바라본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달팽이의 입에는 무려 수만 개의 미세한 이빨이 있다. 이 이빨은 ...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롤프-디터 호이어 CERN 소장은 과학동아와의 인터뷰에서 “이번에 발견한 힉스 입자가 유일한 힉스일지, 여러 힉스 중 하나일지 밝혀내야 한다”며 “표준모형의 완성으로 입자물리학자들이 할 일이 없어진 것은 절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2013년 6월호 인터뷰 참조). 기껏 힉스 입자를 발견했다고 ... ...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때 발생하는 뇌파를 쥐의 뇌에 전달하는 뇌공학을 만났습니다.네. 동물회의에 참석한 유일한 사람인 저 안몽! 앞으로도 소통 전도사로서 사람과 동물의 소통을 이어 줄 거예요. 소통을 위해 노력하다 보면 미래 우리 기술도 더 발전할 거라고요. 그리고 ‘어린이과학동아’를 읽고 있는 여러분도 저 ... ...
- 2013 뉴칼레도니아 생태탐사 수습대원은 바로 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독특한 야생동식물을 만날 수 있어요. 우선 “컹~, 컹~” 짖는 지구에서 유일한 새, ‘카구’를 볼 수 있답니다. 날지 못하는 새 카구는 뉴칼레도니아의 국조예요. 원시소나무인 ‘아로카리아소나무’도 볼 수 있답니다. 위로 뾰족한 게 우리가 알고 있는 소나무와는 많이 달라요! 어떤 모습인지 ... ...
- [해외취재] 피터팬 VS 후크 선장, 수학 예술로 네버랜드를 바꿔라!수학동아 l2013년 10호
- 토목기사의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몸이 약하고 공부를 잘하지 못했던 그가 유일하게 자신 있었던 과목은 미술이었다. 하지만 몸이 약한 에스허르는 학업을 감당하기 어려웠고, 공식적으로는 중학교도 졸업하지 못했다.건축가가 되고 싶었던 에스허르는 네덜란드 ‘델프트’에 있는 ... ...
- 스무살 GIST, 칼텍과 손잡고 노벨상 꿈꾼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교수와 태기융 GIST 교수가 맡았다. 각막이 심각하게 손상되면 현재까지는 이식 수술이 유일한 치료법이었다. 콘필드 교수와 태 교수는 나노기술로 각막 질환의 진행을 막고 조직을 재생시킬 방법을 개발 중이다.칼텍 노벨상 비결은 신뢰와 여유로움첫날 워크숍을 마친 후 사알키즈 마즈마니안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