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자"(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과 같은 유전자 가위 기술이 더욱 발전하면 유전자 돌연변이가 생긴 부분을 일일이 정상 유전자로 바꿀 수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나마도 국소적으로 퍼진 암세포에만 가능할 뿐이다.보겔스타인 박사는 조기진단의 중요성을 수차례 강조했다. 암의 크기가 작고 초기 단계일수록 덩어리 안에 ... ...
- [과학뉴스] 아토피 피부염 완치, 실마리 찾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피부처럼 KLK7 유전자가 과다하게 발현돼 있었다. 연구팀은 필라그린이 부족하면 KLK7 유전자가 과다발현하면서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일으킨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 연구 결과는 ‘알레르기 및 임상면역학저널’ 5월 4일자에 실렸다. doi:10.1016/j.jaci.2017.01.03 ... ...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단계를 더 명확히 규명할 것”이라며 “질병을 완화시키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찾고, 이 유전자가 만드는 미지의 단백질로 다양한 신약까지 개발해 의료의 질을 최대한 끌어 올리는 것이 목표”라고 덧붙였다.젊은 학도들에게 그는 “머릿속의 떠오른 질문과 해결하려는 마음이 확실하다면,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변두리로 옮기는 역할도 합니다(doi:10.1126/science.aae0047). 이로써 여성세포도 남성세포처럼 유전자를 발현하는 X염색체를 하나만 갖게 되는 겁니다.염색체 하나를 통째로 비활성화시키는 Xist의 놀라운 능력을 본 과학자들은 이것을 어떻게 의학에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했습니다. 그 결과물 중 하나가 2 ... ...
- 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생기며 발생한다. 이를 암 생태계에 적용하면, 정상세포가 분열해 세대가 내려갈수록 유전자의 변이가 조금씩 쌓여 가고, 스트레스 등으로 몸 안의 환경이 바뀌었을 때 그 환경에 가장 적합한 세포인 암세포가 자연선택된다고 볼 수 있다.한번 암세포가 생겨 분열을 시작하면, 주변에 새로운 ...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SPC-SNU 70-1의 유전정보를 분석해, 유전자마다 어떤 기능을 하는지 연구하고 있다.맛있는 유전자만 골라 합성하면 완벽한 제빵사 효모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서 교수는 “GMO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많이 검증됐지만, 아직도 소비자들이 GMO로 만든 식품에 거부감을 느낀다”고 답했다. 연구팀은 자연에 ... ...
- Part 3. 별별 사랑 배달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더 멀리 전달해요. 멀리 떨어진 꽃 사이에서 수분에 성공하면 식물은 그만큼 다양한 유전자를 확보해 유전적 다양성이 높아져요. 그러면 환경의 변화에 더 쉽게 적응할 수 있답니다. 섬과 바다에서 활약하는 사랑의 배달부!바다에 사는 새우말이나 거머리말 같은 해초도 꽃을 피워요. 땅 위의 식물과 ... ...
- [과학뉴스] 활짝 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장미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전망이다. 연구팀은 앞으로 DNA뿐만 아니라 다양한 핵산을 이용해 나노 꽃 입자를 만들어 유전자 치료나 바이오센서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머티리얼스 케미스트리 B’ 12호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doi:10.1039/c6tb0304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레인, '생명의 도약'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 (2016.8.)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608N029‘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2015.7.)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507N05 ... ...
- 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1의 분비량이 늘어난다. 칼로리 제한은 IGF-1의 양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왜소증인 사람은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IGF-1이 거의 생산되지 않으니, 소식을 한 것처럼 칼로리 제한 효과를 가진다.여기에는 반론도 존재한다. 대부분의 칼로리 제한 실험이 실험실 내의 제한된 환경에서 살고 있는 동물을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