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전
움직임
이사
운동
양도
전위
전임
d라이브러리
"
이동
"(으)로 총 5,192건 검색되었습니다.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15화. 파이데이와 군론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곱셈은 각도의 덧셈으로 볼 수 있죠. 이렇듯 절댓값이 1인 복소수들의 곱셈은 원의 대칭
이동
에서 각도를 더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원의 회전 대칭의 중요성은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단위원군 T는 수학에서 흔히 다음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표현합니다: 이 군들은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동안, 고깃집 남자는 지상에서 4만 1000km 상공의 우주 공간에 있는 우리우리스 우주선으로
이동
해 버렸다. 아르바이트생은 남자가 갑자기 없어진 것을 보고 잠깐 놀라기는 했다. 하지만 1.5초 정도가 흐르자 어찌 됐건 그냥 모두 잊기로 했다.우주선에서 의원과 보좌관은 남자를 마주했다.“이게 뭐야? ... ...
[가상인터뷰] 전기뱀장어, 함께 모여 사냥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우리의 전기 생산 기관은 꼬리 근육 쪽에 모여 있어. 세포 사이로 전하를 가진 이온을
이동
시키면 전기가 만들어져. 약한 전류는 탁한 물속에 무엇이 있는지 알아볼 때 쓰고, 강한 전류로는 먹잇감을 사냥하지. 순간적으로 최고 850V(볼트)에 달하는 전압을 만들 수 있는데, 전기를 만드는 어류 ... ...
[헷갈린 과학] 이 정도면 쌍둥이? 시베리안 허스키 vs 알래스칸 맬러뮤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사는 부족들을 도와 양식을 찾기 위해 터전인 내륙지방에서 바다까지 먼 길을
이동
하며 살았던 것으로 유명해요. 이들은 짐이나 우편 등을 배달하며, 부족의 일원으로 생활했지요. 늑대와 닮은 시베리안 허스키를 보면 경쾌한 발걸음과 잘 발달한 근육이 눈에 띄어요. 귀는 삼각형이며 머리 위로 ... ...
[수학뉴스] AI로 환생한 라마누잔 수학 상수를 공식으로 나타내다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기계에 적용했습니다. 여기에 함수의 기울기 값을 구하고 절댓값이 낮은 쪽으로
이동
하면서 극값을 찾는 경사하강법을 적용해 상숫값을 얻는 공식 수십 가지를 찾아냈습니다. 앞으로 연구팀은 AI 기술을 확장해 더 다양한 상수들에 관한 추측을 찾을 예정입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 ...
[수학뉴스] 선박
이동
경로 최적화해 탄소 배출량 줄인다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정보 등을 활용해 그래프의 점들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최단 거리와 최소 시간을 갖는
이동
경로를 계산합니다. VISIR-2는 여기에 바다가 거친 구간을 지나거나 선박의 속력이 감소하는 상황 등을 피하는 조건을 추가해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는 경로를 계산합니다.연구팀이 이탈리아 반도와 발칸 반도 ... ...
[매스크래프트] #15. 인공위성은 지구를 얼마나 빠르게 돌까?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공식에 지구 중심으로부터 인공위성까지의 거리를 대입해 계산하면 속도는 초당 7.6km를
이동
하는 것으로 나옵니다. K2 소총의 총알 속도인 초당 약 0.96km에 비교하면 굉장히 빠르죠? 차세대중형위성은 정밀 지상관측이 임무이기 때문에 비교적 가까운 저궤도(250~2000km)에서 지구를 관찰합니다. 지구와 ... ...
20년 만에 실마리 찾았다! 4차원 궁극의 모양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하나의 축을 더해 4가지 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고 n차원 다양체에서는 n가지 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겠죠.또 다른 어려운 말은 ‘특이점의 차원’이라는 말인데요. 특이점 역시 차원이 존재합니다. 어떤 다양체를 리치 흐름에 따라 변화시킨 모습이 정육면체의 모습이라면 꼭지점은 0차원, 모서리는 ... ...
[한페이지 뉴스] 큰고래 노랫소리로 해저지형 그린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밑에 인공 음파를 발사해 파동이 전파되는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음파가 물속을
이동
하다가 지면을 만나면 반사되며 일부 파동의 에너지가 바뀌는데, 이를 통해 해양지각의 두께뿐만 아니라 암석의 종류까지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음파는 인간이 바다에서 만드는 가장 큰 소음 중 하나로 ... ...
[한페이지 뉴스] ‘뭉치면 강한’ 검은벌레 로봇에 활용한다면?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이때 각 로봇의 에너지 소비량을 비교해보니 군집 형태로
이동
할 때가 개별적으로
이동
할 때보다 에너지 소모량이 적었다. 연구에 참여한 다니엘 골드만 연구원은 “캘리포니아 검은벌레의 움직임을 모방하면 로봇끼리 의사소통 없이도 군집을 이뤄 움직이게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