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d라이브러리
"
인공적임
"(으)로 총 718건 검색되었습니다.
'87 노벨 의학·생리학상 수상자 도네가와 스스무(利根川 進)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1987년도 노벨 의학·생리학상 수상자로 미국 매서추세츠공대(MIT)교수인 일본과학자 '도네가와 스스무'(49세)를 선정했다는 발표가 나왔을 때 전문가들 사이의 반응은 뜻밖에도 조용했다. 1976년이래 3년간에 걸쳐 발표된 그의 면역에 관한 새로운 이론은 면역학분야에 하나의 혁명적인 업적이었다. 학 ... ...
PART 3 오존층이 파괴되고 있다 구멍뚫린 생명의 보호막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염화불화탄소를 규제하려는 국제적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지구를 지켜주는 생명의 엷은 막에 구멍이 뚫렸다. 강력한 자외선을 성층권에서 흡수해오던 오존층이 남극상공에서 급격히 감소한 것. 오존층파괴는 이제 세계적 관심사가 쏠린 환경문제로 부각돼, 지난해 9월에는 캐나다의 몬트리올에 ... ...
이상한 사고가 자주 일어난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갑자기 택시미터기가 고장나는가 하면 안구의 온도가 높아지고 로봇이 사람을 죽인다.전자공학의 발달이 인류의 풍요로운 삶에 큰 보탬이 돼온 것은 사실. 그러나 전자제품이 범람하게 됨에 따라 예기치 않았던 부작용들이 꼬리를 물고 나타나고 있다. 그 가운데 최근 주목받고 있는 것이 소위 '전 ... ...
컴퓨터 근육자극법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페트로프스키 교수가 교통사고로 휠체어생활을 하고 있는 여성을 실험대에 올려 근육을 컴퓨터로 자극하는 방법을 개발중이다. '위대한 한발'은 이미 내딛었다. 그 완성도 바로 눈앞에 온 것 같다.미국 오하이오주 데이턴시는 비행기를 발명한 라이트 형제의 출신지다. ... ...
초능력의 세계를 본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초자연현상인 「오라」의 존재가 특수 촬영법으로 확인됐다.초능력 또는 초자연 현상을 보거나 체험했다는 사람들을 우리 주변에서 종종 만날 수 있다. 가장 널리 알려진 예가 5~6년전 초능력자 '유리 겔라'가 방한했을 때. 사람들은 숟가락을 구부리고 고장난 시계를 고치는 '초능력'이 도처에서 벌 ... ...
미생물학은 생명과학의 총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생명의 본질에 대한 호기심과 인류에 기여한다는 신념에서 이 분야를 택했다."우리나라의 미생물학은 그 역사가 짧은 탓인지 아직도 꽤 많은 사람들에게 생소하게 느껴지는 학문이다. 그러나 지금으로부터 41년전 필자가 미생물학에 흥미를 갖게되고 기초 학문의 한 분야로서 미생물학을 전공으로 ... ...
황금과 불로장생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황금을 소유하려는 욕망은 어쩌면 인간에 공통된 감정일지도 모른다. 그것도 남보다 더욱 많이 그리고 한없이 소유하려는 욕망인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인간이 소유욕이 고개를 들기 시작한 것은 농사를 짓기 시작했던 신석기 시대부터였다. 이시대부터 사유재산이 사회적으로 인정되었기 때문이 ... ...
유전자는 재형성되면서 항체를 만든다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도네가와의 연구업적은 항체를 생산하는 유전자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변화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도네가와가 지난 76년 발표한 '항체생성의 다양성에 대한 유전학적 원리'는 그당시까지만해도 인체의 유전자는 일생동안 변화하지 않은채 면역체계를 조절하는 수백만개의 유 ... ...
염료이야기 신비롭고 아름다운 색깔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식물에서 얻던 천연염료는 합성화학의 발달에 따라 인공염료로 대체되었다.여름날 비가 내린 뒤 산 중턱에 걸린 무지개를 보는 순간 사람들은 그 신비로움과 아름다움에 도취된다. 또 장미꽃이나 철쭉꽃을 볼 때도 같은 심정일 것이다. 그 때마다 사람들은 그 아름다움과 신비로운 색깔을 자신들의 ... ...
인간이 발디딘지 18년 달의 신비, 얼마나 벗겨졌나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인간에게 가장 친근하면서도 아직 모르는 것이 많은 달.지난 18년간 밝혀진 새로운 사실과 앞으로의 이용계획 등을 한가위를 맞아 알아본다.한가위의 보름달을 보면서 우리들은 곧잘 떡방아를 찧고 있는 옥토끼나 계수나무를 머리에 그리곤 한다. 사실 달표면의 얼룩덜룩한 무늬를 잘 들여다 보면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