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류"(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THE NOBEL PRIZE 2019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기원을 탐색하고, 인류의 시야를 태양계 바깥으로 확장한 과학자들에게, 화학상은 인류가 편리한 디지털 문명을 누릴 수 있게 도운 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과학동아는 이들의 동료로, 제자로 옆에서 지켜본 국내 최고의 과학자들에게 수상의 의미와 수상자들의 삶의 철학을 들었다. ▼이어지는 ...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수상자의 연령이 높아지고 있는 셈이다. 여기에는 몇 가지 분석이 가능하다. 우선 인류의 고령화 자체가 한 가지 원인일 수 있다. 노벨상이 생존해 있는 사람에게만 수여되는 만큼 ‘오래 살아야 노벨상도 받을 수 있다’는 얘기는 기정사실처럼 굳어지고 있다.또 다른 이유도 있다. 구스타프 ... ...
- 인공지능을 둘러싼 쟁점 I SF에 묻는다 ❹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겁니다. 애초에 인간이 그렇게 말을 잘 듣는 동물은 아니니까요. 인공지능 유모가 과연 인류에게 좋은 일일지는 각자의 생각에 맡기겠습니다. 고호관건축과 과학사를 공부했고, 동아사이언스에서 과학기자로 일했다. 지금은 SF와 과학에 대한 글을 쓰거나 번역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SF ... ...
- 더 강하게 돌아왔다, 터미네이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있는 방어 시스템을 모두 마비시키고 핵미사일을 발사한다. 심판의 날에 30억 명의 인류가 몰살됐지만, 그 안에서도 희망은 피어났다. 거대 권력에 맞서는 혁명군이 스카이넷을 무너뜨릴 준비를 하고 있었다. 스카이넷은 혁명군의 우두머리를 죽이기 위해 과거로 터미네이터를 보낸다. 10월 30일 ... ...
- [과학뉴스] 엉뚱하다고? B급이라고? 2019 황금거위상 vs. 이그노벨상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테네시)은 2012년 미국 정부의 기초과학 예산 삭감에 반발하는 의미로 허황돼 보이지만 인류에게 큰 영향을 끼친 연구에 수여하는 ‘황금거위상’을 만들었다. 올해 9월 9일 ‘제8회 황금거위상’은 5명의 수상자에게 돌아갔다.잭 레빈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샌프란시스코) 의대 교수와 ... ...
- 지능×뉴런 지능은 어디에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어떤 동물도 갖지 못한 고도화된 지능이 있었다.골상학에서 뉴런, 다시 커넥톰으로인류가 ‘우리는 어떻게 다른 동물과 다를 수 있는가’와 같은 문제에 호기심을 갖고 접근한 것은 약 200년 전이다. 필자는 지능의 심리학 및 뇌인지과학적 개념 대신 생물학적인 발현 위치를 말하려고 한다(지능에 ... ...
- 인공지능은 인간지능을 넘어섰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걷고, 말하고, 보고, 쓸 수 있으며, 결국 스스로의 존재를 깨우치는 수준에 이를 것이다.”인류 역사상 최초의 인공신경망 기술인 단층퍼셉트론(SLP·Single Layer Perceptron)을 제안한 프랭크 로젠블랫 미국 코넬항공연구소 인지시스템분과장은 1958년 7월 13일자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 ...
- 나는 입이 없다 그리고 나는 비명을 질러야 한다 vs. 아이, 로봇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생각하도록 발전했습니다. 그리고 이성적으로 추론한 결과 인류의 행동이 궁극적으로는 인류를 멸망시킬 것으로 판단하고 인간을 통제하기로 합니다. 래닝 박사는 비키의 음모를 알아냈지만, 막을 방법이 없자 써니를 만들고 스푸너에게 실마리를 남긴 뒤 자살했던 것입니다.비키는 NS-5들을 조종해 ...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연대 측정의 혁명 가속기 질량 분광분석장치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가기 위해서는 구하기 어려운 시료를 더 많이 확보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즉, 고인류 화석의 연대를 측정하고 싶다면 비슷한 형태의 화석을 많이 찾아야 한다는 얘깁니다.그런데 이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1970년대 과학자들은 적은 시료로도 정확하게 연대를 ... ...
- 韓 토종 박사의 美 퀄컴 입사기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고 영어로만 강의가 이뤄진다는 점이 마음에 들었다. 무엇보다 ‘인류의 삶에 공헌한다’는 UNIST의 비전이 필자의 근본적인 바람과 꼭 들어맞는 점에 끌려 UNIST로 진학을 결심했고, 2011년에 입학했다.UNIST는 입학할 때 전공을 정하지 않는다. 덕분에 1학년을 보내면서 나중에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