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산호도 씹어 먹는 돔의 비밀 밝혔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파랑비늘돔(parrotfish)은 강력한 이빨로 산호를 떼어낸 뒤 잘게 부숴 해초를 골라먹고 남은 가루는 뱉어내는 습성이 있다. 파랑비늘돔 한 마리가 이렇게 만드는 ... 재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 11월 15
일자
에 실렸다. doi:10.1021/acsnano.7b0504 ... ...
[과학뉴스] “목 말라요” 식물 대신 말해주는 센서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과학자들이 식물의 잎 뒷면에 있는 기공의 양옆에 잉크를 발라 식물에 수분이 충분히 공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센서를 만들 ...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랩온어칩(Lab on a chip)’ 11월 8
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doi:10.1039/C7LC0093 ...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노화를 막을 방법은 없다!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차지해 암세포로 발전할 수 있어요. 이 연구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 온라인판 10월 30
일자
에 실렸답니다. 아메바: 왕성하게 분열하는 세포를 없애도 기능이 둔화된 세포가 많아져 생물이 빠른 속도로 늙어가요. 다세포 생물은 노화를 피할 수 없고 언젠가는 죽음에 이른다는 뜻이지요. 노화와 죽음을 ... ...
[과학뉴스] 상처엔 꿰매지 말고 ‘엘라스틴’ 하세요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수술 중 절개하거나 상처가 난 부위를 꿰매지 않고 봉합하는 방법이 있을까. 최근 미국 과학자들이 상처를 간단하게 붙이는 접착제를 개발했다. 기존에는 절개 ... 임상시험을 앞두고 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중개의학’ 10월 4
일자
에 실렸다. doi:10.1126/scitranslmed.aai746 ... ...
[과학뉴스] 아프리카인 피부색 결정 유전자 확인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흔히 아프리카인의 피부색은 검다고 표현하지만, 실제로는 검은색의 정도가 다양하며 이런 피부색 차이를 유발하는 유전자 변이가 새롭게 확인됐다. 사라 티시코프 미국 ... 변이가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0월 12
일자
에 실렸다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개 정도로 보고 있다. 구글은 지난해 9큐비트 칩의 양자컴퓨터를 구현해 ‘네이처’ 6월 8
일자
에 발표했다. 1년 만에 큐비트를 5배 이상 늘릴 수 있을까. 지금까지 구글의 발전 속도를 보면 불가능한 일도 아니다. 3사 가운데 구글은 양자컴퓨터 개발에 가장 늦게 뛰어들었다. 2013년 캐나다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절차로, 만약 그랬다면 실제 중력파 신호가 아닐 수 있었다. 연구자들 사이에 논란이
일자
, 이례적으로 신호가 발견된 당일 당시 라이고 과학협력단 대변인 가브리엘라 곤잘레스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 교수가 “암맹주입은 없었다”고 확인했다. 더 정밀한 검증을 통해 중력파가 틀림없다는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강철보다 10배 이상 방탄 효과가 뛰어나다는 사실을 알아내 ‘사이언스’ 2014년 11월 28
일자
에 발표했다. 가볍고 강한 방탄재료는 우주에서도 쓰일 수 있다. 지구 저궤도에서 활동하는 우주인의 우주복을 방탄 소재로 만들면 극초음속으로 날아다니는 우주쓰레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첨단 방탄 ... ...
[과학뉴스] 빨리 배부르고 싶다면 OOOO 먹어라!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특정 아미노산이 포만감을 좌우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분자 대사학’ 8월 30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뇌척수액에서 당을 인식해 뇌로 신호를 전달하는 띠뇌실막세포(tanycyte)라는 뇌세포에집중했다. 연구 결과 이 세포가 당뿐만 아니라 아미노산도 인식할 수 있으며, 이때 뇌로 보내는 ... ...
[과학뉴스] 아기 부르는 엄마 음색은 인류 보편적?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어린 자녀와 이야기할 때 부모는 본능적으로 짧고 반복적인 구절을 사용하고 목소리의 높이를 과장되게 높인다. 최근 연구 결과, 이 때 음색도 특정 방식으로 ...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10월 12
일자
에 발표됐다. doi:10.1016/j.cub.2017.08.07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