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얼음에서 잘 미끄러지는 진짜 이유? 피겨스케이팅 속 물리학과학동아 l2020년 02호
- tuning fork)로 진동을 유도하면서 구슬과 빙판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과 액체층의 점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액체층의 점도가 일반 물보다 최대 두 배 크다는 사실을 발견해 ‘피지컬 리뷰 X’ 2019년 11월 4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03/PhysRevX.9. 041025연구팀은 액체층 속에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
- 10만 명 게놈 분석 아시아 첫 유전자 지도 공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요인으로 부작용이 나타나는 사람은 출혈이 지속된다. 와파린의 경우 약물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이 비교적 정확해 부작용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편이지만, 자칫 그렇지 못한 경우는 위험할 수 있다. 유전자 변이의 빈도에 근거한 예측이기 때문에 한국, 일본 중국인 중 실제로 많은 사람이 부작용을 ... ...
- 눈에 보이지 않는 유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수 있습니다. 최대 2m 깊이에 있는 지름 10cm 크기 작은 돌을 찾을 수 있을 정도로 세밀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드론으로 패턴을 읽다 GPR과 더불어 큰 주목을 받고 있는 고고학 신기술은 ‘드론측량’입니다. GPR이 땅속을 보는 탐사법이었다면, 드론은 하늘 위에서 우리가 미처 발견하지 못한 큰 ... ...
- [매스미디어]룰도, 심판도 없다...스토브리그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야구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으로, 타율, 출루율, 수비력 등의 지표를 측정한 뒤 지표 사이의 인과 관계를 찾아 팀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다. 그래서 필요한 지표를 골라 합리적으로 분석하는 게 중요하다. 원칙과 소신에 따라 팀을 바꾸는 백승수가 임동규를 방출하려고 결정한 ... ...
- [수학뉴스] 드론의 장애물 회피 기술 나방에게 배운다!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조밀하게 배치된 숲 영상을 보여준 뒤 비행하게 하면서 나방의 위치와 비행 방향을 측정했습니다. 그리고 그에 맞춰 영상을 움직s이거나 확대해 정말 숲에 있다고 착각하게 만들었죠. 8마리의 박각시나방에게 똑같은 실험을 반복해 데이터를 모았고, 나방의 움직임을 묘사하는 수학 방정식을 ... ...
- 발굴 현장에서 지도를 그려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선으로, 선을 면으로 만들어 지도 완성! 컴퓨터 작업의 첫 단계는 점 데이터에 GPS 측정기로 얻은 절대 좌푯값을 입히는 겁니다. 각 지점 에서 얻은 최초의 점 데이터는 스캐너가 촬영한 위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좌표계를 갖기 때문에 GPS 기준의 좌표계로 통일시켜야 비로소 의미 있는 ‘정보’가 ... ...
- 펭수야, 너 진짜 펭귄 맞니? 펭수 vs. 펭귄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성염색체(암컷은 ZW, 수컷은 ZZ)를 확인할 수도 있다. 김 책임연구원은 “몸 크기 측정이나 유전자 분석은 펭귄을 직접 포획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며 “다만 짝짓기 상황을 목격한다면 위에 있는 개체가 수컷, 아래에 있는 개체가 암컷”이라고 설명했다. 김 책임연구원은 “펭수가 혈액이나 ... ...
- [진로체험] 박영용 씨젠생명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수학동아 l2020년 01호
- 해가 그리는 그래프와 아주 유사하다는 점에서 착안했죠. 즉 제가 만든 알고리듬은 측정 결과가 이 그래프와 얼마나 유사한지 일치율을 비교해서 질병이 있는지를 확인한답니다.30만 건 이상의 실험 데이터를 이용해 기존 분석 방법과 비교한 결과 기존 방식에서 발생하는 판정 오류를 99% 이상 ...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셈이다. 연구에 돌입한 장영실은 행성과 별의 위치, 시간, 고도 방위를 더 정밀하게 측정하는 간의를 개발했다. 간의가 개발되자 세종은 경복궁 경회루 북쪽에 높이 9m, 너비 약 9m, 길이 14m에 이르는 천문관측소인 ‘간의대’를 만들라고 지시했고 1433년 8월 세자가 간의대에 가서 정초 등과 ...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판단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은 기본적으로 갖춰야 합니다. 그리고 위치 인식 및 위치 측정 기술과 힘 조절 제어 기술 등이 구현돼야 합니다. 지금 당장 실현하기 힘든 이유가 무엇인가요?기술이 정형화돼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정해진 위치에서 똑같은 동작을 하는 로봇은 현재 기술로도 얼마든지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