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저"(으)로 총 7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일본의 화산과학동아 l1987년 01호
- 이 이론에 의하면 해양 플레이트가 대륙플레이트 아래로 잠겨 파고들게 된다. 태평양의 해저가 아시아대륙의 밑으로 잠겨 파고 드는 것이다. 지구 내부로 파고든 해양 플레이트는 대륙 플레이트 접촉면과의 마찰이나 엄청난 압력에 의해 고온이 되고 거기다 지열도 가해져 그 일부가 녹아 마그마를 ... ...
- '86세계와 한국의 과학계 희망과 좌절이 엇갈린 한 해과학동아 l1986년 12호
- 광케이블 부설작업을 줄기차게 밀고 나갔으며 87년에 대서양 바닥에 3천7백마일의 해저 광케이블이 깔리며 북미대륙과 유럽은 광통신망으로 연결된다.식물에도 눈을 돌린 생명공학유전공학을 이용한 인형(人型) 인슐린에 이어 지난 해 '제넨테크'사는 유전공학을 이용한 성장호르몬의 양산에 들어 ... ...
- 자비에 피숑 선장 인터뷰 대재앙 예고된 일본 열도과학동아 l1986년 11호
- 마그마의 하강과 상승, 그에 따른 대지진, 일본열도를 언제 집어삼킬지 모르는 태평양 해저의 불안정성 등. 지진에 대한 연구때문인지 일본인들은 피숑박사를 '쥘 베른느'의 소설 주인공으로 추앙하고 있고 미국사람들은 피숑 박사에게 미국지질학회 대상을 수여하기도 했다. 이 상은 지질학분야에 ... ...
- 첨단산업시대의 직업 미래를 알아야 성공한다과학동아 l1986년 10호
- '로렌스 시몬즈'이다. 새롭게 식품생산에 뛰어든 사람들은 대부분 해양을 이용한 어장, 해저농원, 기타 양식업을 하게 된다. 이 중 일부는 이미 실현되고 있다. ④ 레이저기술자 미 연방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레이저 테크놀로지는 가장 급격한 신장세를 보이고 있는 분야 중 하나로서 앞으로 ... ...
- 해양정보시스템 태풍 피해의 최소화과학동아 l1986년 10호
- 속도는 수심에 따른 장파의 진행속도와 굴절 등을 계산하여 비교적 정확히 구할 수 있다. 해저지진의 진원지(위도, 경도)와 발생시간을 입력시키면 우리나라 동해의 각 주요항에 쯔나미의 도달시간이 스크린에 바로 나타난다. (그림5)는 1983년도의 동해 해일의 경우, 지진 진원지의 위치와 발생시간을 ... ...
- 한국의 원자력 발전은 안전한가과학동아 l1986년 09호
- 5천5백드럼인데 앞으로 15년이면 저장고는 꽉 차게 된다. 이에 정부는 내년중 무인도나 해저에 3개소의 영구 처분장을 착공, 95년 완공할 계획을 세우고 입지선정 등 기초조사를 벌이고 있다. 수명이 다한 원자로는 가장 처치가 곤란한 폐기물이다. '콘크리트로 덮어씌워 기념비로 만들자' 는 제안도 ... ...
- 제3의 통신, 중력파 전파통신의 불가능을 해결한다과학동아 l1986년 08호
- 한계는 있다. 지구상의 '어느 곳에서도'라고 할 수는 없는데 예를들면 태평양의 깊은 해저에 있는 사람과 전파로 통신하기란 월면에 있는 우주비행사와 통신하기보다 훨씬 어렵다. 왜냐하면 공기나 진공 중에는 전파가 쉽게 통하지만 바닷속은 무척 통하기 어려운 때문이다. 지구의 중심을 지나 ... ...
- 기암의 대륙 오스트레일리아과학동아 l1986년 08호
- 5억년전)의 퇴적암이다. 바위 표면에 힘줄 같은 홈이보이는데 이것이 퇴적층이다. 원래는 해저에 수평으로 되어 있었던 것이 지각변동으로 직립에 가까운 85도로 세워진 것이다. 주위의 평탄한 땅에는 옛날 몇줄기 강이 흘렀던 흔적이 있다. 침식에 비교적 강한 이 암석 부분이 대지에 새겨 남겨진 ... ...
- 광통신(光通信)의 혁명과학동아 l1986년 08호
- 연구 되어야 한다.공중 통신 중에서도 근거리 방식에 이어 장거리 대용량 전송이나 해저 광통신으로의 연구가 진행중에 있고, 데이터 통신 팩시밀리 혹은 화상 통신 등 전화 이외의 서어비스의 진전에 따라 범용성이 높은 경제적인 가입망이 개발되고 있다.광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기초적 기술은 7 ... ...
-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다는 스웨덴 포스마크 원전과학동아 l1986년 06호
- 면밀히 관찰할 수 있다. 포스마크 1, 2호기에서 나오는 열폐수는 초당 86㎦나 되는데 해저터널을 통해 이 호수로 유입된 후 외해로 방출된다. 방출된 냉각수로 호수가 더워져 주변 해역보다 온도가 8~10℃ 높아 겨울에도 얼지 않는다. 인공호 옆에는 국립환경보전국이 감독하는 현지연구소가 설치돼 ... ...
이전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