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흐름"(으)로 총 2,209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계이야기 ] 미래 인기 직업, 인구통계로 밝힌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바로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하고, 그 정보를 통해 시대 변화의 흐름을 전망해 보는 것입니다.미래를 알려 주는 지표, 인구통계그런데 왜 정보를 통해 미래를 예측해야 할까요? 정보는 생각의 방향을 바로잡아 주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보고 느끼는 세상은 일부분에 지나지 않아서, ... ...
- 3D 전자블록 딱킷으로 통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3호
- 딩동댕. 파이프처럼 생긴 입체 전기 회로라서 물의 흐름을 보듯 더 쉽고 생생하게 전기의 흐름이나 부품의 기능을 배울 수 있지. 간단히 LED를 켜는 조립을 해 보자. 이렇게 건전지 모듈에 I자형 연결관과 L자형 연결관, LED를 연결하면….으잉, 빛이 안 들어오잖아요!하하, LED는 극성이 있단다. ... ...
- 세라피아에서는 도자시도 융합스타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1호
- 세라피아는 세계 도자기 문화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지. 이곳에 오면 세계의 최신 도자기 흐름을 알 수 있거든. 도자기도 과학처럼 융합이 대세!이거 도자기 맞아? 호박 같은데, 도자기라고 하고, 동물 같은데 도자기 주전자라 하고….이건 기계장치 같은데 도자기로 모양을 낸 거라니… ... ...
- 혼자서 깜빡깜빡 스마트 램프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7호
- 트랜지스터의 작용으로 반대가 됐군요!섭섭박사 : 딩동댕. 트랜지스터가 전류의 흐름을 조절해 빛감지센서의 작용을 반대로 바꾸어 버렸단다.선재 : 스마트 램프가 혼자 깜빡깜빡했던 것은 섭섭박사님이 아니라 빛 때문이었네요.섭섭박사 : 무슨 소리야? 네가 손으로 센서를 계속 건드리고 있잖아~ ... ...
- 녹조비상! 물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7호
- 녹조 현상의 네 박자!녹조는 풍부한 영양물질과 높은 수온, 많은 일사량(햇빛), 느린물 흐름 네 박자가 맞았을 때 잘 나타난다고 해. 분뇨나 비료, 동식물의 사체에는 질소와 인이 많은데, 이들이 강이나 호수로 흘러들면 영양물질이 넘치는 부영양화 상태가 돼. 이러면 영양물질을 먹고 자라는 조류가 ... ...
- Part 2 . 새끼흑점의 서바이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의문을 풀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관측기가 최근 우리나라 기술로 개발됐다. 채층의 물질흐름을 관측할 수 있는 고속태양영상분광기(Fast Imaging Solar Spectrograph)다. 이 분광기는 2010년부터 세계 최대 태양망원경인 미국 빅베어 천문대의 신태양망원경(NST)에 달려 있으며 새끼흑점을 포함한 태양의 미세 ... ...
- Part 4. 검은 태양이 유혹하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온 하늘의 웅장한 아름다움을 이끌어내고 장엄한 하모니를 이루어 낸다. 시간의 흐름에 맞추어 이루어지는 해와 달, 지구의 움직임이 이보다 정교할 수 있을까. 천체들이 펼쳐내는 섬세하고 우아한 춤이었다. 그 춤의 마당에 나와 자연이 함께 참여한 것이다. 나에게 가장 아름다운 별을 ... ...
- 지구 자기장, 1000년 만에 역전된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작은 흐름들이 아무런 규칙도 없는 비쌍극자 자기장을 만든다. 그런데 만약 외핵 물질의 흐름이 변하면 어떻게 될까. 도성재 교수는 “외핵 속에서 일어나는 알 수 없는 변화가 누적되면 쌍극자 자기장의 힘이 점점 약해진다”며, “쌍극자 자기장의 세기가 비쌍극자 자기장만큼 약해지면 자기장이 ... ...
- 다가오는 방학, 어떤 교재 살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파악하는 서술형이 있죠. 요약형 책의 장점은 중요한 내용을 한눈에 볼 수 있고, 간단한 흐름을 파악하기 쉽다는 것입니다. 물론 필요한 내용이 생략되기도 하고, 설명이 줄어들기도 합니다. 서술형 책은 한눈에 들어오지는 않지만 읽으면서 내용이 자연스럽게 정리되고, 빠지거나 줄어드는 내용이 ... ...
- [12월] 과동 데스크의 썰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중심으로 기사를 풀어갔다. 내용이 명확하고 구체적이었지만 독자의 시선을 붙드는 글의 흐름은 아니다. 오히려 사회기반시설물의 하소연이라는 제목에 더 눈길이 간다. 특정 사회기반시설물이 맞닥뜨릴 수 있는 위험을 과학적으로 풀어냈으면 더 재미있는 기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서두에서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