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1,494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의 비만치료제, 건강상 이점·위험성 지도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건강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야드 알 알리 미국 워싱턴대 의대
교수
연구팀은 체중 감량 효과를 일으키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수용체 작용제’의 이점과 위험성을 담은 지도를 구축하고 연구 결과를 20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슨’에 발표했다. GLP-1 수용체 ... ...
BCI칩 이식한 마비 환자, 게임에서 드론 정밀 조종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정밀 조종해 장애물 코스를 완주하는 데 성공했다. 매튜 윌시 미국 미시간대 신경외과
교수
팀은 복잡한 손가락 움직임을 인식하는 BCI 기술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20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신'에 공개했다. 사고나 질병 등으로 심각한 운동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기술 발달로 기본적인 ... ...
시야 제한 화재·재난 공간, 드론 통해 촉각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환경에서도 직관적으로 상황을 파악하고 드론을 제어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오일권
교수
는 “이번 기술은 시각장애인이 촉감을 활용해 길을 안내받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내비게이션 기법”이며 "착용형 햅틱 인터페이스는 입체적 공간정보를 촉감으로 전달해 재난, 화재 환경 또는 국방의 ... ...
한국인 DNA에 새겨진 변이 8개 발견…인간 유전체 진화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박지환 아주대
교수
연구팀, 김준·여민경 충남대
교수
연구팀과 함께 한국인 고유의 유전체 데이터를 생산·활용해 인간 유전체 진화 관련 구조 변이를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인간 유전체는 긴 DNA 서열을 한 번에 읽어낼 수 있는 기술인 ‘롱리드 시퀀싱’의 발전으로 약 8 ... ...
'무도병' 헌팅턴병 치료하는 샤페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그룹 CI(KAIST 생명과학과
교수
) 연구팀, 이성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과학과
교수
연구팀과 함께 단백질 공학을 이용해 헌팅턴병에 효과적인 치료용 샤페론을 개발하고 작동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20일 밝혔다. 여러 신체부위가 자신의 의도와 상관없이 움직이는 희귀질환인 헌팅턴병은 ... ...
[과기원NOW] 소셜챗봇과의 대화, 외로움·사회불안 완화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UNIST)은 정두영 의과학대학원
교수
팀이 조철현 고대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소셜챗봇 '이루다 2.0'과의 대화가 외로움과 사회불안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메디컬 인터넷 리서치’에 14일 온라인 게재했다고 20일 ... ...
"우울증 겪은 청소년, 성인 되면 기억력 떨어져"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청소년기 우울 수준이 높은 사람일수록 교육 성취가 낮다는 점도 확인됐다. 김
교수
는 “청소년이 경험하는 우울을 단순한 일시적 어려움이 아니라 성인기로의 전환과 이후의 삶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인식해야 한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 ...
근육에 지방 많으면 말라도 심장병 위험 커져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높았다. 피부 아래에 있는 피하 지방은 심장질환과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타케티
교수
는 “근육에 저장된 지방은 염증과 포도당 대사에 변화를 일으켜 인슐린 저항성을 높이고 대사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다”며 “이는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과 심장 근육 자체에 손상을 입힐 수 ... ...
스트레스로 생긴 혈관 내 세포변화 실시간 관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섬유성 막을 얇게 만들어 경화반의 불안정성을 높인다는 것을 입증했다. 유홍기
교수
는 “비접촉 방법으로 동맥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추정했다"며 "스트레스가 심혈관 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세포 수준에서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어 스트레스 관련 심혈관 질환의 발병 기전을 규명하고 새로운 ... ...
"LA 산불·뉴욕 폭설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동부 지역의 극심한 폭설·혹한 등 이상기후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윤
교수
는 “이번 연구는 기존 연구자들이 제시한 대기 순환 변화의 주요 메커니즘을 하나로 통합해 최근 관찰된 대기 순환 증폭 현상과 역학적인 인과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설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이러한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