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레포트
보고서
report
숙제
르뽀
레포
보고
뉴스
"
리포트
"(으)로 총 1,088건 검색되었습니다.
식중독 균 경고하는 파란 빛
과학동아
l
2016.11.11
이용해 몸에 해로운 음식을 빠르게 골라내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사이언티픽
리포트
’ 10월 12일자에 밝혔다. 미국 퍼듀대 식품과학과 브루스 애플게이트 교수팀은 특정 미생물과 만나면 색이 변하는 바이러스를 이용해 음식에 대장균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음식에 들어있는 대장균은 ... ...
마냥 귀엽지 만은 않다, 미어캣의 두 얼굴
2016.10.25
수도 있다는 진리가 새삼 와 닿는 것 같습니다. 위의 두 가지 연구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
’와 ‘바이올로지 레터스’에 발표되었습니다. ※필자소개 민혜영. YBM시사에서 각종 영어 학습 월간지 및 내셔널 지오그래픽 단행본의 에디터를 거쳐 현재는 프리랜서 외신 번역 및 에디터로 ... ...
하마 이빨에서 아프리카 초원의 미래를
과학동아
l
2016.10.16
초식동물의 이빨로 아프리카 초원의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티픽
리포트
’ 9월 12일자에 발표했다. 미국 유타대 켄드라 크리츠 연구원팀은 하마의 이빨에 함유된 탄소동위원소의 비율을 분석하면 당시 어떤 식물을 먹었는지 알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식물마다 탄소대사에 ... ...
지네를 닮은 로봇
수학동아
l
2016.10.05
지네처럼 꿈틀대며 움직이는 로봇. - Kyoto University 제공 ‘다리 많은 동물’ 하면 떠오르는 지네! 지네는 조종해야 할 다리가 적어도 15쌍이나 있는데도 민첩하게 움직 ... 실마리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 7월 22일 사이언티픽
리포트
온라인판에 실렸습니다 ... ...
“내 단백질 사진으로 그를 추모합니다”
2016.09.11
세상을 떠났다. 그녀의 마지막 논문은 그녀가 숨을 거둔지 100일 만에 학술지 ‘셀
리포트
’에 발표됐다. 흑사병, 에이즈 등 난치병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T세포의 생성과정을 밝혀낸 중요한 연구였다. 이 논문을 마지막까지 책임지고 마무리해 출판한 것은 그의 남편인 류성호 순천향대 교수. 류 ... ...
우리 아이는 혹시 자폐증? 스마트폰 게임으로 진단가능해진다
2016.09.08
덧붙였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에 발표되었습니다. 1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주어진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에서 학습 가능한 규칙이나 새로운 지식을 자동적으로 추출해 궁극적으로는 기계가 학습하는 효과를 얻도록 하는 것 ... ...
혈관 속 약물 배달할 ‘짚신벌레 로봇’ 나왔다
2016.08.02
지점까지 전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Scientific Reports)’ 7월 29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DGIST 연구팀이 짚신벌레의 섬모운동을 모방해 만든 마이크로로봇. - DGIST ... ...
까다로운 심근경색 진단…피 한 방울로 1분이면 '끝'
2016.07.29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2014년 개발하고 같은 해 10월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에 게재했다. 알츠하이머에 걸릴 인자를 갖고 있는 사람은 우리 면역계가 외부 세균에 맞서 싸우도록 하는 단백질인 ‘인터류킨’의 농도가 정상인보다 낮다. 이 점에 착안해 발병 이전의 알츠하이머를 ... ...
물고기가 사람의 얼굴을 알아본다?
과학동아
l
2016.07.18
Ltshears(W) 제공 특정 물고기가 사람의 얼굴을 구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런 능력이 새에게서 관찰된 적은 있지만 물고기에서 발견된 ... 복잡한 뇌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 온라인판 6월 7일자에 발표됐다 ... ...
모기와의 전쟁에서 살아 남는 법
2016.07.15
긴 침 맨 앞쪽에 후각수용체 2개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지난해 9월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에 발표했다. 안 교수팀은 모기가 이들 후각수용체를 이용해 멀리 떨어져 있는 동물이 발산하는 이산화탄소와 휘발성 물질을 확인하고, 가까운 곳에서 나는 땀 냄새를 맡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안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