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9,92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컷이 면역력 더 강한 이유, '단백질 활성화' 덕분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연구팀이 자기포식 활성화 정도가 성별에 따른 면역력 차이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발견
했다고 18일 밝혔다. 자가포식은 손상된 세포 구성 성분을 스스로 제거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인간의 생명 현상을 연구하는 생물인 예쁜꼬마선충을 활용해 성별에 따른 면역반응 차이를 연구했다. ... ...
'마술 버섯' 속 환각 물질, 정신질환 개선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나왔다. 조슈아 시겔 미국 워싱턴대 의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은 '마술 버섯' 등에서
발견
되는 환각 화합물인 실로시빈(psilocybin)이 뇌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17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했다. 실로시빈이 포함된 버섯을 섭취한 사람은 시공간과 자기 인식에 대한 ... ...
[과기원NOW] 포스텍-SAIT, 반도체 폐수에서 텅스텐 회수 공정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17
채굴돼 폐기물에서 텅스텐을 회수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연구팀은 주변에서 쉽게
발견
할 수 있는 곰팡이를 사용해 텅스텐을 포함한 금속을 용해했다. 이후 정제 공정 기술을 이용해 용액 속 텅스텐을 경제적으로 회수하는 데 성공했다. 한지훈 교수는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텅스텐 회수 공정의 ... ...
한국이 노리는 소행성 '아포피스' 탐사, 유럽이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4.07.17
Mission for Space Safety)'를 발표하고 이를 위한 준비작업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2004년에
발견
된 아포피스는 지름이 약 375m로 크루즈 여객선 크기다. 2029년 4월 13일 지구 표면에서 3만2000km 떨어진 곳을 지날 예정이다. 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10분의 1보다 가까운 거리다. 이때 유럽과 아프리카 대부분 ... ...
[과기원NOW] KAIST, 항암제 효과 평가할 종양모델 칩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현미경’을 개발했다. 이 현미경을 이용해 세포 내 엔도좀 회전 운동의 시간 패턴을
발견
했고 이를 통해 엔도좀 수송의 실시간 전략을 분석했다. 질병 세포 모델에 적용하면 질병 원인, 이해, 진단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에 게재됐다. ... ...
노태원 고등과학원장 "과학자 처우 개선에 집중"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서도록 기반 조성을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최고의 기술을 만들었으면 최초의 과학
발견
을 해야한다.' 과학계에서 자주 언급되는 문장인데요. 과학계가 더 발전하기 위해서 기존의 학문을 잘 하는 것을 뛰어넘어 새로운 학문 분야를 창출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혁신적인 연구에 노벨상이 ... ...
뇌세포 '골지체 이온채널'
발견
…"인지장애 치료 열쇠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골치체의 분자적 메커니즘을 정확히 이해하면 다양한 신경 퇴행성 뇌질환에서
발견
되는 인지장애에 대한 새로운 치료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지난 11일 온라인 게재됐다 ... ...
달 거대 구덩이에 동굴 확인…"달 기지로 유망"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나타났다. 실제로 탐사할 경우 접근이 용이할 것으로 예상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발견
한 지하 동굴과 구덩이는 달 탐사기지로 유망한 장소"라며 "같은 방법을 활용해 다른 달 구덩이에서 추가 동굴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550-024-02302-y ... ...
빛으로 '기억 소멸' 조절…외상후스트레스장애 치료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통해 기억 형성 단계에서 PLCB1 단백질이 활성화되면 공포 기억 반응이 감소한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KAIST 제공 연구팀은 PLCβ1이라는 단백질이 해마에서 기억 억제자로 작용해 과도한 기억 형성을 억제하는 데 주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PLCβ1이 결핍된 쥐는 전기충격 실험에서 ... ...
우연히 동결된 5만년전 매머드 피부, 고대DNA 3D구조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있다. 연구팀은 "주변에서 유리상태에 놓인 식품을 예로 들면 육포가 있다"며 "이번에
발견
된 동결된 매머드 피부 조각의 상태도 마치 육포 속에 염색체가 보존돼 있던 것과 같다"고 말했다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