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밧데리
축전지
건전지
전지
베터리
바테리
바떼리
뉴스
"
배터리
"(으)로 총 1,41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심재윤 포스텍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2.12
컴퓨팅 시스템(SoC) 설계 기술이 필수다. 심 교수는 나노 바이오센서와 루프안테나, 박막
배터리
등을 하나의 칩으로 만들어 SoC를 개발했다. 또 이를 이용해 인체에 삽입할 수 있는 임플란트형 초소형 나노와트 무선센서를 만들었다. 심 교수는 이 기술을 응용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실시간으로 당을 ... ...
현대기아차, 美스타트업 카누와 전기차 플랫폼 개발 협력
연합뉴스
l
2020.02.12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술 지원을 하는 내용이다. 현대·기아차에 따르면 카누는 모터와
배터리
등 전기차 핵심부품을 표준화된 모듈 형태로 끼우는 스케이트보드 플랫폼에 기술력이 있다. 특히 플랫폼 크기와 무게, 부품 수를 확 줄여서 실내공간을 넓히고 비용을 줄이는 기술에 집중하고 있다. ... ...
전기차 플랫폼 연구 ‘한우물’···지역 수평 협력네트워크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1
모듈러 아키텍처와 특허 기술을 꼼꼼히 살폈다. 핵심은 종횡 플랫폼이나 지상고,
배터리
모듈을 늘렸을 때 얼마나 안정적인 구조를 갖느냐다. 시간이 많이 걸렸다.” Q. 가변 아키텍처 플랫폼으로 어떤 전기차를 만들 수 있나. “하나의 플랫폼이 고정되는 게 아니라 유연하게 가변할 수 있는 ... ...
산속 조난자 구조하는 '드론 들것' 만든다면 이런 모양
동아사이언스
l
2020.02.11
구조대원이 등에 멘
배터리
팩과 연결된 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했다. 교체 가능한
배터리
를 외부에 배치해 들것의 무게를 줄이고 체공 시간은 늘리도록 설계했다. 프로펠러는 접을 수 있는 형태로 설계돼 구급차나 헬기 수송에 어려움이 없도록 했다. 차진희 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 ...
"스마트 로봇의족 신고 한라산 정상 다시 밟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2.07
의견을 적극 반영한 결과다. 크기와 무게도 20% 줄여 편리하게 착용하도록 개선했다.
배터리
도 종전보다 손쉽게 교체하도록 고쳤다. 사용자 대부분이 고령인 점을 감안한 조치다. 우 책임연구원은 “유공자들은 20~30년 이상 의족을 착용한 경우가 많아 불편한 점을 비교적 명확하게 지적한다 ... ...
"스마트폰 진달래7 음성인식 탑재"…북한말 AI비서 나오나
연합뉴스
l
2020.02.05
메아리'에 따르면 통강새기술개발소에서 개발한 이 스마트폰은 큰 액정화면과 넉넉한
배터리
용량이 특징이다. 다중얼굴인식 및 지문인식 기능도 탑재했다. ... ...
국가유공자들과 함께 개발한 로봇의족 5일 보훈병원서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2.04
크기와 무게도 20% 줄여서 착용을 간편하게 했다. 사용자 대부분이 고령인 점을 고려해
배터리
탈착방식을 변경해 조작을 쉽게 했다. 우 책임연구원은 “유공자분들은 일반 대상자보다 의족 사용경험이 많아 로봇의족 개선에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국가보훈처는 상반기 중 지방 ... ...
새로운 기능성 소재 설계 오차율 10%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9
개발하는 연구 분야에서 기초연구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며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배터리
소재, 에너지 전환 촉매 소재, 2차원 나노 소재 등 다양한 기능성 소재 설계 연구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 온라인판 10일자에 실렸다 ... ...
정부 R&D 성과 활용 혁신제품, 공공기관 수의계약 허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7
LED)를 개발해 전력 소비를 60% 절감한 제품을 프랑스에서 2014년 공공구매한 사례와,
배터리
가 필요없는 디지털 잠금 시스템을 핀란드가 2007년 구매한 게 대표적이다. ... ...
전기차·노트북 충방전 많이 해도 성능 안 떨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1
결과를 활용해 수십 번 이상 충전-방전해도 성능과 수명을 유지하는 차세대 리튬이온
배터리
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팀은 새로 개발한 양극소재를 상용화하기 위해서 합성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높은 전압대에서 산소의 안정성을 높이는 등 추가 연구를 할 계획이다. 이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