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뉴스
"
성공
"(으)로 총 10,014건 검색되었습니다.
닭 없이 달걀 만든다? 미생물 공장의 마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8.31
구우니 머랭 쿠키가 완성됐습니다. 연구팀은 미생물 용해물로 머랭쿠키를 만드는 데
성공
했다. KAIST 제공 정석영 KAIST 박사과정생은 “동물을 희생시키지 않고도 달걀을 생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연구”라며 “앞으로는 맛과 영양을 갖춘 대체 음식이 식탁에 오를 것”이라고 ... ...
"옷깃 스쳐도 고통" 신경병성 통증, 최대 65% 줄이는 약물
동아사이언스
l
2024.08.30
"현재 사용되는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제를 보완할 신약의 선도화합물을 개발하는 데
성공
했다"며 "기존 P2X3R 저해 약물과는 다른 결합 위치에 결합한다는 것을 최초로 확인해 P2X3R 관련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doi.org/10.1021/acs.jmedchem.4c0121 ... ...
블록처럼 특정 분자 결합해 발현 조절하는 바이오센서
동아사이언스
l
2024.08.30
약물, 항생제뿐 아니라 박테리아에서 생성된 특정 단백질(MS2)을 감지하는 바이오 센서를
성공
적으로 구현했다. 이 센서들은 타겟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반응하는 특이성뿐만 아니라 여러 센서를 함께 사용할 때 서로 간섭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직교성(Orthogonality)이 뛰어나다. 복잡한 유전자 ... ...
[동물do감] 짝짓기 앞두면 위험에 무뎌지는 '이 동물'
동아사이언스
l
2024.08.29
능력을 떨어뜨리고 짝짓기에 집중하도록 만든 것"이라며 "도파민 수치가 목표와의 거리,
성공
가능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후속 연구를 통해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도 확장돼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또 "산을 오르는데 정상에 가까워졌다고 ... ...
[과기원NOW] 리튬-황 배터리, 차세대 친환경 배터리로 거듭날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29
개발한 촉매를 활용해 리튬-황(Li-S) 배터리의 안정성과 충·방전 속도 등을 개선하는 데
성공
했다. 김원배 교수는 "고성능 리튬-황 배터리 기술 개발은 차세대 이차전지 원천기술 확보 경쟁에 있어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고 밝혔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AI정책전략대학원에서 인공지능(AI) ... ...
韓 독자 '양자컴퓨터 오류 정정' 기술 개발…"전세계서 가장 앞서"
동아사이언스
l
2024.08.29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결함허용 범용 양자컴퓨팅 아키텍처를 설계하는 데
성공
했다고 29일 밝혔다. 범용 양자컴퓨터 선두 기업인 사이퀀텀(PsiQuantum)의 최근 기술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성능 입증 결과도 나왔다. 연구결과는 8월 1일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공개됐다. 범용 ... ...
이노스페이스, 한빛 발사체 '메탄엔진' 연소시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8.29
또 다른 위성발사체 ‘한빛-나노(HANBIT-Nano)’ 발사체에 메탄엔진을 달아 연소시험을
성공
적으로 완료했다. 2단(상단부)에 추력 3톤급 메탄엔진 연소기를 달아 연소시험을 진행했다. 현재는 기존 개발모델에 메탄엔진의 소형화 및 경량화 설계를 적용해 신뢰도, 안정성 등의 성능검증을 위한 ... ...
고도 1400km서 인류 역사상 첫 민간인 우주 유영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4.08.28
안전하게 작동하는지 시험할 예정이다. 스페이스X와 우주 비행사들은 민간인 우주 유영
성공
을 위해 미국 뉴멕시코주 화이트샌드에 있는 NASA의 시험 시설에서 크루 드래건을 이용해 유영을 꾸준히 연습하고 수많은 기술을 테스트했다. 이밖에 우주 비행사들은 우주에서 뇌를 자기공명영상(MRI) ... ...
[과기원NOW] GIST, 냉각시스템 성능 저하 정확히 예측하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28
합성법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백금-마그네슘 합금 나노입자를 균일하게 합성하는데
성공
했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백금-알칼리 토금속 합금 촉매의 대량 합성과 개발이 가능하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8월 게재됐다 ... ...
화재 없는 친환경 배터리 나올까…수계아연전지 수명 10배 늘려
동아사이언스
l
2024.08.28
아연이 음극 표면에 균일하게 증착되도록 하고 덴드라이트 형성을 제어하는 데
성공
했다. 산화구리가 아연을 균일하게 분포시킨 뒤 아연의 무질서한 증착을 물리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구조물로 자체 변환되며 덴드라이트 형성을 지속적으로 방지하는 원리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을 적용한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