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동기
기관
기계
기기
모터
engine
engin
뉴스
"
엔진
"(으)로 총 1,516건 검색되었습니다.
내달 27일 美본토서 유인 우주선 발사 9년만에 재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19
유인 우주선 '크루 드래건'이 이달 11일
엔진
점화 시험을 거치는 모습이다.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2011년 7월 우주왕복선 아틀란티스호의 마지막 비행을 끝으로 미국에서 중단된 유인 우주선 발사가 9년만에 재개된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내달 27일 플로리다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우주비행사 2명을 ... ...
"렘데시비르 여전히 '유망'…리바비린 '속빈' 강정" 코로나19 치료제 중간 점검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0.04.15
복제하거나 전사할 때 구아닌 대신 들어가 복제를 중단시킨다. 휘발유차에 경유를 넣어
엔진
을 멈추게 하는 것과 비슷하다. 연구팀은 “이 약물이 코로나바이러스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복제 중단 효과를 내려면 높은 농도로 투약을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사스를 ... ...
[주말N수학] "내 문제를 해결하는 수학교육 이뤄져야"
수학동아
l
2020.04.11
위한
엔진
이다. 그래서 직업과 관계없이 누구나 수학을 배워야 한다." Q. 사고를 위한
엔진
을 잘 돌아가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정답을 찾겠다는 생각보다는 천천히 오래 풀어보는 연습이 좋다. 그 과정에서 수학의 논리성이 주는 희열도 느낄 수 있다. 수학교육을 하는 입장에서는 학생들이 ... ...
[과학기술의 큰 걸음]"포니 프로젝트는 지금도 진행형"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당시 사용하던 미쓰비시의 전륜구동
엔진
을 버리고 완전히 다른 새로운 전륜구동
엔진
을 자체 개발했다. 이 전 사장은 “수천억 원의 비용을 추가로 들여야 하는 큰 결심이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투자는 결실을 맺었고, 1994~1995년 한국은 차체부터 섀시까지 전부 자체 개발한 명실상부한 진짜 ... ...
[뉴스페이스&뉴디펜스] 서비스업과 제조업 지형 바꿀 우주 모빌리티
2020.04.06
우주항공용 부품을 3D 프린팅으로 제작하는 모프스리디(Morf3D), 2020년 발사를 목표로 로켓
엔진
을 3D프린터로 제작하는 렐러티버티 스페이스(Relativity Space), 하이브리드 방식의 전기 비행기를 개발해 시험비행에 성공하고 하와이에서 실제 운영을 앞두고 있는 암페어(Ampaire) 등은 이 지역 우주항공 ... ...
[잠깐과학] 금보다 비쌌다고? 알루미늄 제련법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4.04
넘던 알루미늄 가격은 50년이 지나자 1달러 이하로 떨어졌다. 은박 포일부터 자동차
엔진
까지, 알루미늄이 우리 생활 모든 곳에 널리 쓰이는 것은 홀-에루 공정 덕분이다. 미국의 수도 워싱턴 D.C.에 있는 첨탑인 ‘워싱턴 기념비’. 1884년 완공된 높이 170m의 이 탑 꼭대기에는 2.6kg 짜리 알루미늄 ... ...
사상 첫 온라인에서 맞는 과학의 달
동아사이언스
l
2020.04.01
018년 누리호 시험발사를 성공적으로 이끈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한국형발사체 75t급 액체
엔진
의 웅장한 모습에 길을 지나던 시민들의 발걸음은 저절로 멈췄다. 한국형발사체의 심장이 서울 도심에 등장한 건 이날이 처음이다. 서울 도심에서 처음으로 '대한민국 과학축제'가 열리며 서울마당을 ... ...
일론 머스크, 스타십 새 모델 'SN3'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3.27
고도까지 비행하는 데 성공했다. 스페이스X는 스타호퍼의 성공 이후 다음 시제품으로 3개
엔진
과 그리드핀을 장착한 형태의 Mk1과 Mk2를 제작했다. 하지만 이후는 순탄치 않았다. Mk1은 지난해 11월 지상 테스트 도중 가스가 분출하는 사고를 겪었다. Mk1의 부품 중 일부가 하늘로 치솟기도 한 큰 ... ...
10만명 동시에 고화질 영상 본다…400 기가급 광 송수신
엔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3.25
주고받는 광 송·수신
엔진
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엔진
을 소형화해 한 통신 장비에
엔진
2개가 들어가게 했다. 이런 방식으로 최대 처리 용량도 현재 3.2테라바이트(TB)에서 25.6TB까지 끌어올렸다. 백용순 ETRI 광무선원천연구본부장은 "현재 5세대(5G) 이동통신망에 쓰이는 고속 신호 전달 광소자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폐열의 빛으로 전기 만든다
2020.03.24
보넷을 만지면 뜨거운 이유다. 우리는 이를 ‘폐열’이라고 부른다. 폐열은 자동차
엔진
뿐 아니라 발전소 터빈, 공장 설비, 가전제품 등 사실상 모든 장치가 작동할 때 발생한다. 실제 우리가 소모하는 에너지의 61%가 폐열로 흩어진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따라서 폐열의 일부라도 재활용할 수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