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뉴스
"
저장
"(으)로 총 2,64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발명하면서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다. 작물화와 가축화가 진행되면서 씨나 지방 같은
저장
조직이 비정상적으로 비대해지며 야생 동식물보다 미네랄 농도가 약간 떨어졌겠지만 큰 문제는 아니었다. 그런데 도정 기술이 발전하며 낟알의 속껍질을 벗겨내자 주식에서 얻는 미네랄 양이 급감했고 설탕, ... ...
다누리가 쏘아 올릴 작은 공, 달 착륙기지 결정할까
과학동아
l
2023.01.21
담아가야 한다. 물은 무게가 무거워 발사에 큰 부담이 된다. 물을 산소와 수소로 분리해
저장
할 수 있다면 활용은 더 다양해진다. 김 책임연구원은 “수소는 수소전지로 활용할 수 있고, 산소는 달에서 발사될 우주발사체에 사용할 수 있다”며 “사용할 수 있는 물이 충분히 있다면 달을 기반으로 ... ...
국내 첫 '바이오파운드리' 베타시설...박테리아 합성부터 대량생산까지 '원스톱'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자동화 실험 장비를 만들기도 하고 기존 실험장비에 머신러닝을 적용하거나 데이터를
저장
·처리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면서도 "합성생물학 연구 진행 속도에 비해 바이오파운드리 연구는 기술 성숙도가 아직 부족하다"고 말했다. 비교적 후발주자인 한국은 향후 구축될 공공 ... ...
원전 확대 필수조건 '사용후핵연료' 처분...기술은 '성숙' 실증은 '아직'
동아사이언스
l
2023.01.16
고리·한빛 원전은 2031년, 한울 원전 2032년, 신월성 원전 2044년, 새울 원전 2066년 임시
저장
시설 포화가 예상된다. 이를 모두 심층처분하기 위해 필요한 면적은 6.01km2로 여의도 면적(4.5km2)보다 큰 부지가 필요하다. 처분장의 면적을 줄이기 위한 연구개발도 활발하다. '파이로프로세싱'이 대표적이다. ... ...
韓·中 연구팀. 30여년간 못했던 '오목한 탄소 소재' 합성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1.12
위한 중요한 단서를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탄소 슈왈차이트는 다량의 에너지를
저장
할 수 있는 커패시터(축전기), 내부 빈 공간을 이용해 약물을 체내로 전달하는 운반체, 넓은 표면적을 갖춘 효율 높은 촉매 등 산업적 응용가치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루오프 단장은 "이번 연구는 신물질인 ... ...
이평구 지질연 원장 "우주자원·배터리 핵심광물 확보 기술 책임질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01.11
그동안 성과를 거두며 역량을 입증했다고 강조했다. 우주분야에선 수소에너지 대용량
저장
기술을 개발했으며 핵심광물 분야에선 국내 함바나듐 티탄철광상 신규 광체를 탐사하는 데 성공했다. 해저자원 분야에서는 3차원 분지 지질 및 석유시스템 모델링을 개발해 자원 확보 기술을 성장시켰으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산화탄소로 만드는 생분해플라스틱
2023.01.10
질소 같은 다른 영양 성분은 부족하면 증식이 어려우므로 대신 세포 내에 PHA를 많이
저장
해 훗날을 도모한다. 실험 결과 질소와 탄소의 공급비가 1:100일 때 PHA를 가장 많이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PHA의 합성과 분해에 관여하는 유전자 네트워크를 건드려 합성 관련 유전자 네 개의 발현량은 ... ...
1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윤광희·조현석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하는 데 기여했다. 윤 수석부장은 "국내 생산 소재를 사용해 국내 중소기업에서 LNG
저장
용기를 만들고 선박 탑재와 수출로 이어지는 국내 산업의 선순환을 통해 앞으로도 조선업계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조현석 실리콘마이터스 이사는 국내 최초로 인터페이스 전력관리 반도체 ... ...
전기차 주행거리 1.5배 늘릴 리튬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특히 100회 충·방전에도 약 80%에 달하는 용량 유지율을 보이는 등 빠른 충·방전에도
저장
용량 감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바나듐 산화물을 양극소재에 적용한 고성능 리튬 배터리를 구현했다. 이 배터리는 무게당 에너지 밀도가 1kg당 592Wh(와트시)로 기존 리튬이온전지 대비 50% ... ...
아연·망간으로 수명 제약 없는 레독스흐름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방식으로 작동한다. 기존 이차전지와 달리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는 부분과 전기를
저장
하는 부분을 구분해 출력과 용량을 독립적으로 설계할 수 있고 전지의 대용량화도 가능하다.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화재·폭발 위험이 없다는 장점도 있다. 현재 레독스흐름전지의 주요 핵심소재인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