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뉴스
"
큰
"(으)로 총 14,24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영상] 208 기가픽셀의 우주 지도
SEIZE
l
2024.10.19
우주 지도였다. 유클리드 우주 망원경은 2023년 7월에 우주로 나갔다. 목표는 역대 가장
큰
우주 입체 지도를 만드는 것. 이를 바탕으로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의 정체를 밝히는 것이 목표다. 본격적인 관측은 올해 2월 14일부터 시작했고 이번에 공개된 지도엔 3월 25일~4월 8일 사이 관측한 260건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 또한 지나갈 것…비극적 낙관주의
2024.10.19
영원한 것은 아무 것도 없다는 의미에서) 나는 계속 살아가게 될 것이라는 덤덤한 믿음이
큰
힘이 되는 것 같다. 어쩌면 그런 깨달음이 바로 심리학자들이 입을 모아 중요하다고 이야기 하는 삶의 의미감과 맞닿아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Leung, M. M., Arslan, G., & Wong, P. T. (2021). Tragic optimism as a buffer ... ...
불 나도 안 타는 배터리 나올까…배터리 화재 막는 기술 3
과학동아
l
2024.10.19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런데 전고체 배터리가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넘어야 할
큰
산이 두 개나 있다. 첫번째는 성능이다. 정 센터장은 "지금 쓰고 있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성능이 너무 좋다"며 "전고체 배터리의 용량이나 출력 등 성능을 높이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 ...
[어린이 우주인의 기록]⑤ 화성 샘플 회수 임무 맡은 워드화 박사와의 만남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19
지구로 화성의 샘플 가져오는 과정에서 샘플이 오염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가장
큰
기술적 도전이라고 말했다. 그는 샘플 오염을 막기 위해 NASA에서 고도로 정교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여러 단계의 보호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인터뷰 자리에서 어린이 우주 기자단은 워드화 ... ...
[현실이 된 영화 속 과학] ④인간 장기 대체품 만든다…'아일랜드(2005)'
동아사이언스
l
2024.10.18
장기 뇌 어셈블로이드의 구조를 나타낸 3차원(3D) 모델링 이미지. 미국 스탠퍼드대 제공
큰
범주에서 인공장기에 포함되는 장기유사체(오가노이드)는 새로운 치료기술의 효과와 안전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기 시작했다. 세르지우 파스카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은 오가노이드를 여러 개 합친 ... ...
[사이언스게시판] ETRI '자율성장 AI 경진대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18
제공. ■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2024 ETRI 자율성장 인공지능 경진대회 시즌5’를 개최해
큰
호응을 얻었다고 18일 밝혔다. 258개팀이 참가했으며 최우수상은 서울과학기술대 전기정보공학부 학생 등으로 구성된 VCL팀에게 돌아갔다. VCL팀은 특히 난이도 높은 연속학습 부문과 제로샷학습 부문에서 ... ...
"전기차 화재 잘 활용하면 오히려
큰
기회 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10.18
모범사례로 표준화될 수 있습니다. 이때 세팅한 한국의 기술도 같이 표준이 되면 오히려
큰
기회가 될 것입니다." 18일 최장욱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는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한국화학공학회 2024년도 가을 총회 및 국제 학술대회'에 참석해 최근 이어지는 배터리 화재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 ...
“새로운 촉매 제안해줘”…AI가 효율 높은 촉매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10.18
이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산화제로 사용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친환경적인 방법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연구팀은 먼저 ‘2원계’ 및 ‘3원계’ 금속 산화물에 대한 촉매 반응 성능 데이터를 수집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이를 바탕으로 ‘의사결정나무’라는 머신 러닝 회귀 모델을 ... ...
정자는 어떻게 난자에 달라붙을까…AI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8
점을 예측했다. 이 단백질 복합물질은 난자 세포에서 주노와 CD9라는 단백질과 더
큰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도 예측했다. 연구팀은 AI가 식별한 복합체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제브라피쉬와 쥐에서 TMEM81을 삭제하는 등의 실험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특정 단백질의 삭제는 ... ...
[IAC2024] 진격의 국내 우주기업…글로벌 무대서 달라진 한국 위상
동아사이언스
l
2024.10.18
거론하는 해외 관계자들이 많다는 사실을 피부로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역대 가장
큰
규모로 IAC2024에 모습을 드러낸 국내 우주기업들은 자신들의 기술과 서비스를 전세계 우주기관 및 기업 관계자들에게 소개했다. 글로벌 무대에서 한국 기업들의 달라진 위상을 느끼게 했다. 14일(현지시간)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