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뉴스
"
학자
"(으)로 총 3,964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해야할 일 미루는 사람들의 특성
2022.08.13
않을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 '그냥 하기' 법칙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또한 많은
학자
들이 지적한 바, 의지력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을 피하는 것도 중요하다. 아이들은 아직 욕구를 억제하는 능력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았고 어른들의 경우에도 온전히 의지력에 기대어 유혹에서 벗어나기란 여간 ... ...
[주말N수학] 데이터통신 최대 정보량, 수학으로 풀어낸 91세 수리물리
학자
수학동아
l
2022.08.13
수리물리학을 가르쳤습니다. 40년간 매달려 푼 문제 리브 교수에게 수
학자
를 꿈꾸는 학생들에게 어떤 조언을 해 주고 싶냐고 물으니 “호기심은 시작일 뿐 연구를 이어가는 데에는 인내가 더 중요하다”는 답변이 돌아왔습니다. 실제로 그는 무려 40년간 매달려서 고체물리학의 ‘보즈 입자의 ... ...
적색초거성 '베텔게우스' 표면 일부 날아가는 대폭발 겪어
연합뉴스
l
2022.08.12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센터' 선임 천체물리
학자
안드레아 듀프리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허블 우주망원경을 비롯한 다수의 망원경 관측 자료를 분석해 얻은 이런 결론을 정식 출간 전 논문을 수록하는 온라인 저널 '아카이브' (arXiv.org)에 공개했다. 이 ... ...
[김우재의 보통과
학자
] (마지막회) 보통과
학자
론, 과학을 지탱하는 사람들
2022.08.11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엘리트스포츠는 국민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는 것은 물론이고 국위 선양의 첨병으로서 국민에게 기여하는 정서적 효과 ... 다닌다. 과
학자
가 되는 새로운 방식의 플랫폼, 타운랩을 준비 중이다. 최근 초파리 유전
학자
가 바라보는 사회에 대한 책 《플라이룸》을 썼다. ... ...
한국 최초 지질도 '조선지질도' 복원
동아사이언스
l
2022.08.08
대한 면밀한 조사가 이뤄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 광복 후인 1956년 순수 국내 지질
학자
들에 의해 발간된 축척 100만대 1의 ‘대한지질도’의 모태가 됐다. 이에 더해 한반도 전체 지질분포와 지하자원 탐사 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된 점을 인정받아 지난 2014년 등록문화재 603호로 지정됐다. ... ...
[주말N수학] 전자기기에 관심 많았던 12세 소년 '수
학자
들의 수
학자
'로 불리다
수학동아
l
2022.08.06
배리 메이저 미국 하버드대 교수. 국제수학연맹 제공 '천상'은 평생 동안 순수수학 분야에서 최고의 업적을 남긴 수
학자
에게 주는 공로상입니다. 2022 천상의 주 ... 교수의 다큐멘터리 필름 보기 https://youtu.be/QtmJij-imzs ※관련기사 수학동아 8월호, [천상] 수
학자
들의 존경받는 스승, 배리 ... ...
학교 밖 과학을 사랑한 예술가들 ‘외계공작소’
과학동아
l
2022.08.06
외계공작소의 공식 메일은 alienlab5050@naver.com다. 천체물리
학자
인 이나라 교수와 생물
학자
인 우보민 대표가 우주개발을 두고 설전을 벌이는 ‘발사 6개월 전’ 속 한 장면. 외계공작소 제공 ※관련기사 과학동아 8월호, [이지사이언스] 학교 밖 과학을 사랑한 예술가들 ... ...
[한국 첫 달궤도선] 다누리가 156만km까지 돌아 가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2.08.05
통해 목표 궤도인 100km까지 진입해야 한다. 항우연 제공 BLT는 미국의 수
학자
이자 천체물리
학자
인 에드워드 벨브루노가 개발한 방법이다. 달의 공전속도와 비슷하게 천천히 접근해 달의 중력장에 포획되면서 저절로 달 공전궤도를 형성한다. 지구에서 아무리 높은 곳에 물체를 쏘아 올려도 다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스타벅스 캐리백 논란...엄습한 발암물질 공포
2022.08.03
인체에 위험할 수 있다. 실제로 ‘독성학의 아버지’로 알려진 르네상스 시대의 독성
학자
파라켈수스는 ‘용량(dose)이 독을 만든다’고 했다. 아무리 좋은 약이라도 너무 많이 먹으면 독이 되고, 아무리 치명적인 독이라도 충분히 적은 양을 섭취하면 오히려 약이 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설탕과 ... ...
'외계인 흔적일까'…호주 농장에 떨어진 괴물체 정체는
연합뉴스
l
2022.08.02
상태다. 2일 호주 ABC 방송과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호주국립대에 근무하는 천체물리
학자
브래드 터커는 최근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 달게티에서 양 농장을 운영하는 사람에게서 어딘가 그을린 듯한 물체를 발견했다는 연락을 받았다. 터커는 이전에도 종종 우주 발사체의 잔해를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