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작
행동
실행
몸짓
액션
작용
스페셜
"
작동
"(으)로 총 824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에 좋은 성격 이야기
2016.08.02
이 특성이 높은 사람은 민감도가 높은 레이다를 가지고 있다보니 사사건건 알람이
작동
한다고 보면 되겠다. 신경증이 높은 사람들은 늘 예민한 편이다. 이들은 작은 일에도 쉽게 걱정하고 스트레스를 받는다. 흔히 얘기하는 ‘늘 걱정이 많은 사람’들이 보이는 특성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신경증이 ... ...
케톤음료, 도핑검사 걱정없는 에너지원?
2016.08.01
지방, 단백질인데 케톤음료는 굳이 말하자면 지방으로 분류해야겠지만 실제 몸속에서
작동
하는 방식을 보면 그렇게 보기도 어려운 측면이 있다. 케톤은 탄소원자와 산소원자가 이중결합을 이루고 있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분자를 가리킨다. 보통 음식으로 섭취하는 영양소는 아니고 우리 ... ...
1941년 하이젠베르크는 왜 보어를 방문했을까
2016.07.19
이때 알베르트 슈페어 혼자 평가를 했습니다. 당시 우리는 원자로가 제대로
작동
한다는 첫 신호를 얻었죠. 처음으로 중성자가 늘어난 겁니다. 13퍼센트로 증가폭이 크지는 않았지만 아무튼 시작이니까요. 보어: 1942년 6월? 시카고의 페르미보다(1942년 12월) 약간 더 빨랐군. (중략) 마그리트: 당신은 ... ...
소수성-친수성, 두 가지 성질 동시에 갖는 신소재 개발
2016.07.03
“우리가 만든 신소재는 진공은 물론, 1000도가 넘는 고열 환경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
할 수 있어 실생활은 물론 우주공간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다. 이우상 기자 idol@donga ... ...
13만 km 혈관에 숨어 있는 삶과 건강
IBS
l
2016.06.01
수송한다. 과학자들은 이처럼 중요한 혈관이 어떻게 생성·분화·유지·재생하고, 제대로
작동
하는지 이해해고자 노력하고 있다. 건강한 삶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이 혈관의 비밀을 하나하나 밝혀가면서 생명에 대한 지식의 지평이 넓어지는 것은 물론 난치병 치료의 새로운 길도 열리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72] 보톡스 맞으면 뇌도 마비된다
2016.05.16
상대가 슬프다는 사실을 보다 확실히 인지하게 된다는 말이다. 즉 얼굴의 표정근육이
작동
해 피드백을 해줘야 우리는 상대의 감정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 ‘좀 엉터리 같은데...’ 체화된 인지 이론을 처음 접하면 이런 생각이 떠오르기 마련인데 뜻밖에도 이를 뒷받침하는 실험들이 많다. 예를 ... ...
양자역학 문제, 게임으로 푼다
2016.05.10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자컴퓨터는 액체헬륨으로 극저온 상태를 만든 환경에서만
작동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계산과정에서 원자를 옮겨 서로 상호작용하게 하는 광학격자 타입의 경우 옮기는 시간이 되도록 짧아야 한다. 시간을 끌면 양자상태가 바뀔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제는 ... ...
포기는 없다. 눈앞 문제부터 해결해 살아남으라.
IBS
l
2016.03.03
것이다. "알고 보니 마크 와트니가 사용한 방법은 실제로 하이드라진 로켓추진제의
작동
방식이더군요. 원작 소설에도 나오지만, 사실 이 방법은 위험하기 짝이 없습니다. 폭발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 독성이 강한 하이드라진에 중독되어 사망할 수도 있죠. 그러나 그런 위험을 무릅쓰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
2016.02.13
과학자들을 실망시켰지만(물론 어느 정도 예상한 일이었겠지만), 라이고가 제대로
작동
하는 시스템임을 확인시키면서 이어지는 업그레이드 작업에 박차를 가하게 됐다. 참고로 이번 진짜 중력파 사건은 ‘GW150914’로 명명됐다. 라이고 업그레이드 작업이 마무리되던 2014년 7월 17일자 ‘네이처’에 ... ...
레이저가 보여주는 전자들의 흔적을 찾아
IBS
l
2016.02.02
것을 이해한다면, 전자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현재 나노초에서
작동
하는 소자가 만약 아토초 범위에서 동작할 수 있다면 계산 속도 등이 향상된 ‘꿈의 소자’가 가능해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새해 들어 윤 연구위원은 새로운 연구목표를 세웠다. 광학에서 빛의 파형을 측정하는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